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빛’ 제어해 ‘철통 보안’ 달성한다 [후방 위상 일치형 제2차 조화파] 빛을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것은 인류의 고차원적 지적 활동이다. 인간은 광기술 연구를 통해 정보를 원하는 방향으로 보내는 기술인 와이파이 통신을 실현하였고, 광학 라이다 기술을 활용하여 가까운 미래에는 자율형 자동차의 등장을 예고하고 있다.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연구팀이 빛의 위상정보와 세기를 자유자 2021-01-26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연구성과 POSTECH 김철홍‧김형섭‧염한웅‧용기중‧황인환 교수, 국가연구개발 우수연구성과 100선 선정 POSTECH 연구팀들이 우수연구성과에 대거 선정됐다. 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팀·생명과 황인환 교수팀·화학공학과 용기중 교수팀·창의IT공학과 김철홍 교수팀·물리학과 염한웅 교수(기초과학연구원)팀의 연구가 최근 ‘국가연구개발 우수연구성과 100선’에 뽑혔다. 국가연구개발 우수연구성과 100선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과학기술인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국가연구개발 2018-11-071,519 연구성과 화학 박문정 교수팀, 황을 잡아두는 연결고리로 6분 만에 완전 충전 가능한 배터리 구현 [리튬-황전지 양극재 활용가능한 가황고분자 합성] 전기자동차, 무인항공기를 오랜 시간 동안 움직이게 하고, 태양과 풍력과 같은 친환경 에너지를 저장해 상용화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 있다. 바로 뛰어난 효율을 가진 대용량 2차 전지 개발이다. 전 세계 많은 과학자가 2차 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찾기 위해 오늘도 연구 중이다. 화학과 박문정 교수·통합 2018-10-29728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소용돌이빔을 만들어내는 메타렌즈 개발 [빛을 공구처럼 움직이는 ‘소용돌이 빔’] 올해 노벨물리학상의 화제는 단연 ‘빛’이었다. 손에 잡히지 않는 빛으로 세포를 움직이거나 안과 수술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들이 노벨상의 주인공이 된 것이다. 이 중에서도 레이저 빔을 쏜 뒤 렌즈의 초점을 맞춰 물체를 가두는 ‘광학집게’가 많은 화제를 모았다. 이 광학집게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등을 고정하거나, 분자 2018-10-18811 연구성과 창의IT 백창기 교수팀, 누출된 유독물질 불소·불산 5초 만에 감지 원천센서기술 개발 [저가·고성능 신속 정확한 센서 개발 기대] 2012년 구미의 불산 누출사고는 인명 피해는 물론 반경 700미터 이내 지역이 초토화되는 무서운 결과를 가져왔다. 불소와 불산은 철강, 화학,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산업 전반의 생산 공정에서 핵심 물질로 활용되고 있지만 대표적인 유독물질이기도 하다. 구미 사고처럼 불소·불산은 누출되자마자 바로 조치해야 2018-10-18473 연구성과 환경 국종성 교수팀, “1년 반 뒤 일어날 엘니뇨 예측할 수 있다” [대서양 온난역 통한 엘니뇨 예측 모델 제시] 열대 태평양의 해수면의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의미하는 엘니뇨는 열대지역 뿐만 아니라, 전지구적으로 강수량과 대기순환에 영향을 주며 이상기후를 일으키거나, 생물권에도 영향을 미쳐 어장을 파괴하거나 농작물의 흉작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문제는 이런 엘니뇨를 고작 6개월 전에야 예측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환경공학부 2018-10-10647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얼굴인식 핵심 기술 ‘점 구름(Point Cloud)’ 세계 최초 메타표면으로 초소형화 성공 [스크램블링 메타표면으로 초경량으로 구현] 최근 발표된 애플의 새로운 아이폰 모델은 사용자의 얼굴을 바탕으로 자신을 닮은 나만의 이모지를 만들 수 있는 미모지 기술을 선보였다. 사용자의 얼굴과 머리 길이, 특징을 쏙 빼닮은 이모지를 만드는 이 기술의 핵심은 ‘점 구름(Point Cloud)’ 생성 기술인데 복잡하고 부피가 큰 스캐닝 시스템 때문에 2018-09-28883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암 조직에 달라붙는 스프레이형 나노항암제 [생체접착 나노입자의 간편한 스프레이 분사만으로 항암치료효과 극대화] 화공 차형준 교수팀은 홍합접착단백질을 기반으로 하는 생체접착 나노입자를 스프레이형 제제로 적용, 원하는 부위에만 약물을 전달하여 항암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일반적으로 암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과적 수술 후에 약물치료를 진행하지만, 약물의 전신적 투여로 인한 2018-09-21824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김동성 공동연구팀, 인간의 근육 모방한 체외 인공근육 재생 기술 개발 [기존보다 2배 유사한 인공 근육 개발 성공] 근육 질병 치료제 개발을 위해 전 세계에서 동물을 상대로 실험하고 있지만 윤리적인 논쟁과 효과에 대한 의문은 늘 따라다니고 있다. 루게릭병과 같은 근육관련 질병의 경우 동물 실험에서는 성공적이었지만 인간에겐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많아 대체할 수 있는 방법 개발이 시급하다. 기계공학과 조동우·김동성 교수, 2018-09-17686 연구성과 신소재 조문호 교수팀, 빛으로 2차원 반도체 전도도 10만 배 높여 [레이저로 원자두께 반도체 도핑 성공…단일 집적회로 구현도] 신소재 조문호 교수팀 (기초과학연구원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단장 염한웅) 부연구단장)은 2차원 반도체에 빛을 쪼이면 스스로 도핑*1이 되는‘레이저 도핑’기술을 개발했다. 수 초간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만으로 도핑을 할 수 있어 쉽고 경제적인 기술로, 연구진은 2차원 반도체 단일 집적 회로* 2018-09-17639 연구성과 화공 박태호 교수팀, 세계 최초로 화약 노화 원인과 막을 방법 찾았다 [화약 노화 기작 및 안정성 화학적 차원에서 연구] 2016년 울산의 한 군부대에서는 오래돼서 폐기해야 하는 화약 5kg을 부대원들이 한 곳에 모아두는 일이 발생했다. 알 수 없는 점화원과 접촉하자 화약이 폭발했고 근처에 있던 병사 20여 명이 다치는 일이 발생했다. 우리나라 국방비의 많은 부분이 노후로 성능이 떨어진 화약과 같은 무기를 폐기하거나 관리 하 2018-09-03767 First PagePrevious21222324252627282930Next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