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신소재 이장식 교수팀, 플래시 메모리 한계 넘는 ‘강유전체 메모리’ 나왔다 [강유전체 낸드 플래시 메모리 개발] 초지능·초연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고집적·고성능 메모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낸드 플래시는 전하 트랩 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높은 전압에서 동작하는 데다 속도가 느리고 반복적인 동작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에서 기존 플래시 메모리보다 2021-01-14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연구성과 신소재 정운룡 교수팀, 보다 실제 피부처럼 “느낄 줄 아는” 전자피부 나왔다 – POSTECH-스탠포드 공동연구팀, 온도-기계 자극 구분하는 ‘다기능성이온-전자피부’ 개발 -다양한 움직임 측정 가능…휴머노이드 피부, 온도센서 등 다양한 분야 활용 우리에게 만약 피부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촉각도, 추위도, 통증도, 느낄 수 없어 브레이크가 없는 차처럼 어떤 상황에서도 전혀 대응할 수 없게 된다. 피부는 단순히 장기를 보호 2020-11-23355 연구성과 화학 김경환 교수팀, ‘존재한 적 없던’ -70℃의 “물” 찰나(刹那)의빛으로 보다 – POSTECH-스톡홀름대 공동연구팀, 4세대방사광가속기로 과냉각물 실험적 관측 성공 – 영하 70℃물로 ‘무거운 물’-‘가벼운 물’로 상변이 과정 관측…학부생 참여 ‘눈길’ 생명의 탄생과 유지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지구 생명체에게 필수적인 존재, 물은 아직도 신비에 싸인 존재다. 영하 20도에 달하는 한파 속, 강 표면은 얼어붙어도 2020-11-23312 대학소식 POSTECH-KREEMO-SKT-CORNING 등 차세대 5G 컨소시엄 결성 [5G 생태계 구축 ‧5G 사업확장 위한 세계 첫 개방형 컨소시엄 마련] 밀리미터파(mmWave)를 사용하는 5G는 광대역 전송이 가능한 통신으로 단순히 빠른 무선인터넷 연결에 그치지 않고, 자율주행차나 스마트팩토리, 디지털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통신 방법이다. 지난 2019년 전 세계적으로 5G가 상용화되면서 국내뿐 아니라 해외의 이동통신 2020-11-20238 대학소식 환경·화공 최원용 교수, 2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선정 [권오민, 박주현, 이상문 교수 등 대학 동문 3명도 포함돼] 환경공학부·화학공학과 최원용 교수가 지난 해에 이어 올해에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로 선정됐다. 정보분석 서비스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이하 클래리베이트)는 ‘웹오브 사이언스(Web of Science)’ 데이터를 기반으로 논문 피인용 횟수를 분석, 상위 1%에 해당하는 연구자( 2020-11-20828 대학소식 POSTECH 인문사회학부 심포지엄 개최 [‘시민과 국민의 기원을 찾아서: 인문학자의 역사기행’ 주제로 현대와 인문사회학 고찰] 인문사회학부(학부장 권수옥)는 17일 오후 5시 포스코국제관 국제회의장에서 ’시민과 국민의 기원을 찾아서: 인문학자의 역사기행‘이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 심포지엄은 POSTECH 석좌교수이자 사회학자인 인문사회학부 송호근 교수의 < 2020-11-18182 연구성과 화공 김원배 교수 공동연구팀, “산소 빈자리“ 많을수록 온실가스 전환 잘 된다 [망간산화물 촉매의 CO2 전환반응 성능 향상] 세계 각국에서는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를 줄이고, 이를 부가가치가 높은 물질로 전환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POSTECH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공동연구를 통해 최근 이산화탄소를 연료나 플라스틱 등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원료물질인 일산화탄소로 바꿀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 화학공학과 김원배 교수· 2020-11-17367 대학소식 POSTECH ‘2020 청소년 CEO 온라인 메이킹톤’ 성료 [지역 중고생 메이커 문화 확산, 창의적 아이디어 창출] POSTECH 강소연구개발특구 이노폴리스캠퍼스사업단에서 개최한 ‘2020 청소년 CEO 온라인 메이킹톤’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지역 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메이커 문화를 확산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진행된 이번 메이킹톤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 2020-11-16121 연구성과 화공 조길원 교수팀, ‘효율’과 ‘내구성’ 두 마리 토끼 잡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재 개발 [유기스페이서 분자설계를 통한 고성능∙고안정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구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저비용 공정이 가능하며 우수한 광전기적 특성을 가져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핵심 소재인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이 빛과 수분에 취약하여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의 광전효율과 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할 2020-11-13351 대학소식 환경・화공 최원용 교수, 두산연강 환경학술대상 수상 환경공학부・화학공학과 최원용 교수가 (재)두산연강재단이 시상하는 두산연강 환경학술대상을 수상했다. 최교수는 이산화티타늄 나노튜브 광촉매 필터를 이용한 실내공기정화기 개발에 관한 논문발표로 광촉매 공기정화 신기술 개발에 기여한 바가 인정되어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최원용 교수는 광촉매를 이용한 환경‧에너지 기술의 기초를 공고히 한 공로로 2018년 한국공학상, 2020-11-12141 대학소식 ‘세계 유일’ POSTECH 철강대학원, 에너지 더해 글로벌 소재 교육‧연구거점 거듭난다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으로 개편…교원‧학생 증원] 세계 유일의 철강 전문대학원인 POSTECH 철강대학원이 에너지소재 분야를 더한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으로 확대 개편됐다. 이에 따라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은 철강뿐만 아니라 첨단금속소재, 에너지소재 융합교육‧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또,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에너지소재 분야(양극‧음극 소재 개발, 차세대 전지 2020-11-12671 First Page12345678910Next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