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기계 조동우 교수-창의IT 장진아 교수팀, 인공동맥혈관으로 몸 밖에서 동맥경화 본다 [인-배스(In-bath) 동축 세포 프린팅 기법 이용한 생체 외 죽상동맥경화증 모델 개발] 오래된 수도관에 녹이 슬거나 이물질이 침착하면 지름이 좁아지거나 막혀 수도관이 터져버린다. 인체의 혈관도 이와 같은데, 죽상동맥경화증은 혈관의 가장 안쪽 막에 콜레스테롤 침착해 혈관 내피세포의 증식이 일어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질환이다. 이런 혈관을 관찰하기 위 2021-01-18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대학소식 POSTECH 일주수학학교 개최 [1월 26일부터 2월 2일까지 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서] POSTECH 포항수학연구소(PMI, 소장 최윤성 교수)는 1월 26일부터 2월 2일까지 대전 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에서 제13회 일주수학학교를 개최했다. 일주학술문화재단와 국가수리과학연구소의 후원으로 매년 개최되는 이 겨울수학학교는 국가수리과학연구소 겨울학교로 선정됐으며, ‘바나흐 공간 2018-01-26391 대학소식 도시의 운명, 대학에 달려 있다 [유니버+시티 Univer+City ‘대학과 도시의 상생발전’ 대학총장16인∙지역단체장 7인 뜻 모아… 사회적 동참 제안] 러스트 벨트(Rust Belt)는 제조업발달의 중심지였던 미국 오대호 지역 도시들을 일컫는 말이었다. 미국이 ‘후기 산업사회(post-industrial era)’에 접어들면서 제조업 발달의 중심지였던 오대호 지역 도시들의 공장이 멈춰 2018-01-241,312 대학소식 IT분야 영재 키우는 ‘포스텍 컴퓨터공학 사고력 캠프’ 개최 POSTECH은 IT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1월 21일부터 24일까지 컴퓨터 공학적 사고력과 창의성을 키우는 ‘제3회 컴퓨터공학 사고력 캠프’를 POSTECH 캠퍼스에서 개최했다. 이 캠프는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80여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컴퓨터공학 사고력 배양 프로그램 △인공지능, 머신러닝, 블록체인 등 교수특강 △알고리 2018-01-241,096 대학소식 POSTECH 나노융합기술원, 4차 산업혁명 이끌 미래 인재 양성을 선도하다 [2017년도 나노융합기술인력양성 6개인프라 통합 수료식 개최] POSTECH 나노융합기술원은 1월 24일, 나노융합기술원 대강당에서 ‘2017년도 나노융합기술인력양성 6개 인프라 통합수료식’을 개최했다. 이번 통합수료식은 특성화고 대상 나노융합기술인력양성사업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 전국 6개 나노인프라가 한 자리에 모여 교육생들의 수료를 축하하고 격려하기 2018-01-24931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더 선명한 홀로그램으로 철통 보안 가능해진다. [선명도 높이고 효율 높인 가시광 메타표면 제작 홀로그램 활용해 다양한 차세대 보안 디스플레이 활용 가능 기대] 전 세계의 비밀 요원들이 한 자리에 홀로그램으로 모여 회의를 하고, 주인공이 망토를 두르자 몸이 감쪽같이 사라진다. 영화 킹스맨, 해리포터 속 홀로그램이나 투명망토를 실현하는 이 기술은 메타표면이 핵심 기술이다. 메타 표면에 반사된 빛이 한 곳에 2018-01-23859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소화제 ‘버블’로 막힌 혈관 촬영하고 뚫는 스텐트 개발 [3D프린팅 기술 이용, 스마트 스텐트 상용화 추진]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박사과정 금도희 씨는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창의IT융합공학과 김철홍 교수와 공동으로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진단·치료용 스마트 스텐트를 개발, 창업경진대회에서 연이어 대상을 수상하며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 평가받고 있다. 스텐트는 좁아진 혈관이나 장기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2018-01-22834 연구성과 화공 이진우 교수팀, ‘증발’ 이용해 6분 만에 충전하는 배터리 만든다 [계층형 다공성 금속 산화물로 고출력·고용량 전극 개발] 홍채나 얼굴인식, 음성인식을 통한 스마트 비서 서비스 등, 스마트폰의 기능은 갈수록 첨단화되어가고 있지만, 기능보다는 다소 속도가 늦은 분야가 있다. 바로, 스마트폰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다. 기능이 고도화될수록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만큼, 용량이 크면서도 빠르게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에 대한 2018-01-151,382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하이퍼렌즈로 살아있는 뉴런 관찰 최초 성공 [뉴런 실시간 관찰 가능한 초고해상도 이미징 모듈 개발 나노임프린팅으로 도장 찍듯 렌즈 배열해 마이크로미터의 작은 물체도 쉽게 관찰]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물체를, 좀 더 밝고 정밀하게 보기 위한 과학계의 시도는 계속됐다. 현미경은 빛을 이용하는 광학현미경과 전자빔을 사용해 사물을 관찰하는 전자현미경으로 구분되는데 일반 광학현미경에 손쉽게 붙여 초고해상도 2018-01-12686 연구성과 물리 김승환 교수팀, 살짝 눌러도 “아야!”…폭발적으로 동기화하는 ‘뇌’ 때문? [POSTECH-美 미시건대 공동연구팀, 섬유근육통 원인 밝힌 논문으로 “주목”] ‘동기화’는 리듬을 가진 다양한 개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함께 시계를 맞추는 현상을 일컫는다. 이런 동기화 현상 중에서도 아주 작은 자극에도 폭발적으로 연쇄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폭발적 동기화(explosive synchronization)’라고 부르는데, 갑작스러운 2018-01-111,006 연구성과 환경 민승기 교수, Journal of Climate 편집위원 선임 [기후 분야 최고 저널…1988년 창간 이래 첫 한국인 편집위원] 환경공학부 민승기 교수가 미국 기상학회가 발행하는 ‘저널 오브 클라이미트(Journal of Climate)’ 편집위원으로 선임됐다. 기후과학 분야에서 최고 저널로 손꼽히는 이 저널이 1988년 창간 이래 한국인을 편집위원으로 선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민승기 교수는 독일 본대 2018-01-08576 First PagePrevious51525354555657585960Next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