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테키안 타일형 리스트형 최신호 보기 지난호 보기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2020 가을호 / Creative Postechian 얼떨결에 시작한 창업 후기 적응 교육을 위해 포항에 도착해 처음 우리 학교를 한 바퀴 돌아보던 날, 박사까지 최소 10년을 다녀야 하는 곳으로는 퍽 심심한 동네일 것 같다고 생각했던 기억이 납니다. 자고로 대학이라면 주변에 하나씩 있다는 번화가도 없고 칙칙한 대학 건물들을 실망감으로 바라보았을 때도, 이후 동아리 활동 차 강남의 스타트업 대표님들을 만나 그들의 무용담을 2020-10-2078 2020 가을호 / Hello Nobel 리튬 – 이온 배터리 2019 노벨 화학상 M. Stanley Whittingham x John B. Goodenough x Yoshino Akira 2019년 노벨 화학상은 스탠리 위팅엄 교수(뉴욕 빙엄턴대), 존 구디너프 교수(텍사스대), 요시노 아키라 교수(메이조대)가 수상했습니다. 이들은 휴대전화부터 랩톱, 노트북 컴퓨터와 전기차 등의 기기에 꼭 필 2020-10-2091 2020 가을호 / 최신 기술 소개 Latest Technology – ① 창문을 태양 전지로 만드는 기술 투명한 태양 전지의 개발 여러분은 태양광 에너지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태양광 에너지는 대표적인 친환경 에너지로, 태양에서 나오는 빛 에너지를 의미한답니다. 그리고 이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꿔 인간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태양 전지라는 장치도 있죠. 그런데 이 태양 전지를 투 2020-10-2081 2020 가을호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 의료기기혁신센터 의료기기혁신센터는 포스텍 내 6개 우수 성과 의료기기 – 헬스케어 연구실을 더욱 수준 높은 학술적 교류와 건실한 연구 설비 공유를 위해 대학 부설 연구소로 설립하였고, 교육부 주관 2020 대학중점연구소 사업에 선정되었다. 차세대 기술 개발과 실용화를 위해서는 기술의 융복합이 필수적이며, 인간의 기대 수명 연장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질병의 2020-10-2083 2020 가을호 / 세상찾기 ① 세상찾기 ① 내 전공은 수학?! 저는 고등학교 때부터 힙합에 관심을 가지고 친구들과 같이 가사를 쓰고 곡을 만드는 활동을 틈틈이 해 왔었습니다. 이런 저에게 대학교에 들어오고 나서 흑인 음악 동아리 ‘피펑크’에 들어가서 활동하는 것은 굉장히 자연스러운 일이었습니다. 그 이후 동아리에서 많은 사람을 만나고 다양한 음악 활동들을 해 왔습니다. 물론 음악 활동이라고 해서 사람 2020-10-2082 2020 가을호 / 세상 찾기 ② 세상 찾기 ② 경험, 개구리가 우물 안에서 벗어나는 법 안녕하세요. 저는 컴퓨터공학과 18학번 송문경입니다. 포스테키안 잡지의 한 코너로 여러분과 만날 수 있게 되어 반갑습니다. 여러분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시나요? 저는 보통 큰 틀에서 다음의 방식으로 해결하곤 합니다. 0) 문제가 복잡하고 클 경우에는 작은 문제로 나눈다. 1) 현상을 통해 문제의 원인을 예측 / 2020-10-2069 2020 가을호 / 포동포동 수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동아리 마르쿠스 반갑습니다, 포스테키안 구독자 여러분! 저는 2020학년도 MARCUS 회장을 맡은 수학과 18학번 노동준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여러분께 포스텍에서 수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동아리, MARCUS에 대해 소개하려고 이렇게 인사를 드립니다 : ) 여러분은 혹시 수학을 좋아하시나요? 아마 많은 분이 고개를 저으실 2020-10-2068 2020 가을호 / 웹툰 화학공학과 19학번 박서연 2020-10-2043 2020 가을호 / 문화 거리를 걷다 단순한 취미에서 아이디어스 작가까지 4학년이 되어 제 대학 생활을 되돌아보니 참으로 다양한 활동을 했다고 느낍니다. 그림을 그리는 것은 저의 다양한 취미 중 하나였습니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했지만, 고등학생이 된 이후부터는 취미 생활보다는 대학교 입시가 우선순위가 되었기에 그림을 한동안 그리지 못했습니다. 대학교 입학 후 또한 마찬가지였습니다. 새로 2020-10-2054 2020 가을호 /Science black box 취미로 과학 하는 사람들 여러분은 과학이 취미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과학의 대중화에 많은 사람이 힘쓰고 있지만, 여전히 사람들에게 과학은 어려운 학문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또, 과학 분야의 성과는 오랜 시간 한 분야에 몰두한 사람들만이 이뤄낼 수 있는 것이라고 여겨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과학을 취미로 즐기다가 큰 성과를 이뤄낸 사례들이 많은데요! 뜻밖의 2020-10-2062 First Page12345678910NextLast Page 2020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20년 [168호] 가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우주 탐사 / 알리미가 만난 사람 _김무환 총장님과의 만남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의료기기혁신센터 2020-10-200 2020년 [167호] 여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빅데이터 기술, 미래의 선거 / 포스트 잇_에드믹바이오 대표이사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지능로봇연구센터 2020-07-270 2020년 [166호] 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코로나19 / 알리미가 만난 사람_닥터프렌즈와의 만남 / 학과탐방_생명과학과, 물리학과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세포막단백질연구소 2020-05-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