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테키안 타일형 리스트형 최신호 보기 지난호 보기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2020 가을호 / 공대생이 보는 세상 공대생이 보는 세상 / 도서관 공대생이 보는 세상 ① 생명과학과가 본 도서관 Dept. of Life Sciences 도서관에서 공부하다 보니까 피곤하네…. 이럴 때는 에너지 드링크 한 캔을 마시면서 힘내서 열심히 해 볼까? 역시 에너지 드링크를 마시니까 확실히 잠이 깨는 기분이네. 에너지 드링크에는 어떤 성분이 있고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주는 걸까? 에너지 드 2020-10-2089 2020 가을호 / 복면과학 노벨상 수상자가 된 길거리의 부랑아 마리오 카페키 Mario Renato Capecchi 한때는 먹을 것을 찾아 길거리를 떠돌다가 영양실조로 죽을 뻔했지만 남다른 끈기와 인내로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가 있습니다. 바로 유전자 적중 기술을 개발한 마리오 레나토 카페키 Mario Renato Capecchi입니다. 그가 온갖 역경들을 이겨내며 소위 말하는 ‘인생 역전’에 성공 2020-10-2063 2020 가을호 / 지식더하기 ① 반응 속도와 아레니우스 식 Arrhenius Expression 화학반응을 일으킬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는 반응속도입니다. 반응속도를 나타낼 때 우리는 일반적으로 반응속도상수와 반응물의 몰농도를 이용해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냅니다. 이때 A, B는 반응물입니다. 여기서 반응속도상수 k는 온도에 따라 값이 변화하게 되는데요. 이렇게 화학반응에서 반 2020-10-20109 2020 가을호 / 지식더하기 ② 결정 결함 Crystal Defect 우리는 구매한 제품에 결함이 있으면 그 결함을 고치거나 새 제품을 받아오곤 합니다. 제품상의 결함은 기본적으로 ‘있어서는 안 될 것’, ‘고쳐야 할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죠. 그런데 이 ‘결함’이라는 것이 언제나 이렇게 부정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 알고 있었나요? 고체를 이루는 결정에 존재하는 결함은 재료의 특성을 2020-10-2091 2020 가을호 / 알.쓸.신.잡 알쓸신잡 ① 멍은 왜 시간이 지나면 색깔이 변할까? (헤모글로빈의 분해) 우리 몸의 일부가 어딘가에 부딪히면 시퍼런 멍이 생기게 되는데요. 뾰족한 것에 찔릴 때와는 다르게, 면적이 넓은 것에 부딪히게 되면 피부는 손상되지 않고 압력에 의해 모세혈관이 파괴됩니다. 파괴된 모세혈관에서 혈액이 나와 표피 아래에 고이게 되면 멍이 생기는 거죠. 이렇게 몸에 멍이 생겼을 때, 멍의 2020-10-2082 2020 여름호 / 포스텍 에세이 포스텍 에세이 / 삶 속의 제어공학 우리는 살아가면서 ‘인과관계’라는 단어를 수없이 듣게 됩니다. 현재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결과에는 그에 해당하는 원인이 항상 존재한다는 의미이지요. 이 의미를 우리들의 삶에 적용하여 조금 더 확장해서 생각해 본다면, 오늘의 결과는 내일의 원인이 될 수 있기에 이러한 ‘인과관계’가 끊임없이 반복되는 루프 Loop 속에 우리는 살고 있다고도 2020-07-28304 2020 여름호 / POST IT POST IT / 에드믹바이오 대표 이사 하동헌 선배님 원하는 것을 뚝딱 출력해 주는 3D 프린트, 독자 여러분들도 이미 잘 알고 계실 거라 생각되는데요. 그렇다면 3D 프린트로 조직이나 장기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 있다는 것도 알고 계셨나요? 최근 살아있는 세포를 쌓아서 장기를 만드는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이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이번 post it 코너에 2020-07-28246 2020 여름호 / 알리미가 만난 사람 알리미가 만난 사람 / 이정모 관장님과의 만남 “우리가 도서관과 미술관을 가듯 일상적으로 가는 과학관을 만들고 싶어요.” 책이나 강연 등의 매체를 통해 가지게 된 관심이 진로 선택의 자양분이 되는 경우가 있다. 필자의 경우 문·이과를 선정하기 전이었던 고등학교 1학년 때 이정모 관장님의 강연을 듣고 이공계 분야에 본격적인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번 알리미가 만난 사람은 안 2020-07-28139 2020 여름호 / 알리미가 간다 알리미가 간다 / 알리미가 세종특별자치시에 떴다 전국을 순회하며 고등학생 친구들의 다양한 고민을 들어주고 해결해주는 알리미! 이번에는 세종특별자치시에 가게 되었습니다. 세종시에서 만난 친구들은 진로에 관해 많이 고민하고 있었는데요. 친구들과 함께 어떤 이야기를 나누었는지 궁금하지 않나요? Q1. 아직은 꿈이나 희망 학과가 없어서 생활기록부를 어떤 방향으로 써야 하는지, 또 2020-07-28139 2020 여름호 / 선배가 후배에게 선배가 후배에게 / 나뭇가지에 앉은 새 대학교에 입학한 이후, 자기소개를 할 일이 참 많았습니다. 무슨 학과, 몇 학번, 출신은 어디고…. 다들 엇비슷한 과정을 거치면서 대학에 오게 되었을 텐데, 각자 자신만의 특징이 뚜렷하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항상 제 차례가 올 때까지 ‘어떻게 하면 나도 인상 깊은 자기소개를 할 수 있을까’ 고민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닙니다. &h 2020-07-27186 First Page12345678910NextLast Page 2020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20년 [168호] 가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우주 탐사 / 알리미가 만난 사람 _김무환 총장님과의 만남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의료기기혁신센터 2020-10-200 2020년 [167호] 여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빅데이터 기술, 미래의 선거 / 포스트 잇_에드믹바이오 대표이사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지능로봇연구센터 2020-07-270 2020년 [166호] 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코로나19 / 알리미가 만난 사람_닥터프렌즈와의 만남 / 학과탐방_생명과학과, 물리학과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세포막단백질연구소 2020-05-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