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으로 보는 POSTECH 타일형 리스트형 화공 차형준 교수팀, 구조 전환 DNA 기반의 진단용 ‘맞춤형’ 당(糖)칩 만든다 [POSTECH·영남대 공동연구팀, pH 감응형 DNA 링커 활용 복합당칩 개발] 당칩(glycan chip)은 고체 표면에 고밀도로 당(糖, glycan)*1을 고정해 암과 같은 질병 발생에 대한 진단 등 당과 관련한 상호작용을 빠른 속도로 한꺼번에 분석할 수 있는 마이크로칩(microchip)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당칩을 간단히 ‘맞춤형’으로 만들 2021-03-04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연구성과 생명 김상욱 교수팀, 항암제 치료효과 예측하는 머신러닝 기술 개발 [환자유래 인공 미니장기의 항암제 반응성과 항암제 표적 단백질과 연관된 유전자의 전사체 정보 학습] 약물유전체학*1의 등장으로 기존에 축적된 다양한 약물반응데이터를 토대로 자체적인 알고리즘을 도출, 사람마다 다른 약물 반응성을 예측하는 머신러닝 연구가 활발하다. 사람의 생체반응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양질의 학습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 2020-10-30797 연구성과 신소재 정운룡 교수-화학 박수진 교수 공동연구팀, 늘어나는 배터리, 늘어나는 회로와 만나다 [늘어나는 배터리로 작동되는 독립형 전자 장치 개발] <스파이더맨>, <토르>, <카멜리칸> 등 마블 영화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뭐니 뭐니 해도 주인공의 화려한 액션이다. 조금 면밀히 살펴보면, 이런 화려한 액션은 역시 ‘옷빨’이다. 몸에 딱 붙어서 힘을 강화하거나 전기를 발생시키기도 하고, 총알을 막아내기도 한다. 그렇다면 2020-10-27438 연구성과 POSTECH 경북씨그랜트센터, 똑똑한 물질로 바다의 여인 지킨다 [첨단 IT 기술 활용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개발] POSTECH이 경북지역 해녀 문화를 보전하고, 물질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첨단 I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해녀 안전시스템을 개발해 보급에 나섰다. 경북 동해안에 사는 해녀는 1,500여 명으로 제주를 제외하고 가장 많다. 하지만 60대 후반이 넘는 고령자가 대부분이며, 해마다 장시간 물질이나 무리 2020-10-22721 연구성과 전자 양현종 교수팀, ‘AI 전자현미경’이라면 초보자도 척척!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전자현미경 개발] 인간의 지적 욕망은 현미경의 개발로 더 작은 것, 미세한 것 심지어 살아 움직이는 것까지 들여다볼 수 있게 됐다. 여기에 한 발 더 나가 인간의 눈(휴먼 비전) 한계를 넘어서 기계의 눈(머신 비전)을 장착한 인공지능 현미경이 나왔다. 초보자가 활용해도 전문가 수준의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전자전기공학과 양현종 2020-10-20453 연구성과 신소재 강병우 교수팀, 전기차 6분이면 90% 충전할 수 있다 [입자 크기 줄이지 않고 부피당 고에너지 밀도와 고출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이차전지 양극 소재 비밀 밝혀] 최근 테슬라(Tesla)를 필두로 하여 세계적으로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기차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이차전지의 동력만으로 자동차를 움직이기 때문에 배터리의 성능이 곧 자동차의 성능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느린 충전 시간과 2020-10-19562 연구성과 화공 정대성 교수팀, 자유롭게 색 재현하는 OPD 광센서 나온다 [화학적 도핑 이용한 광다이오드의 자유로운 색 조절] 포토다이오드는 빛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센서이다. 유기 포토다이오드는 응답속도가 빠르고, 색 대응 파장대의 조절이 가능해 컬러필터 없이 색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보고된 색 조절 기술들은 대부분 포토다이오드를 두껍게 만들어 광 왜곡을 일으키기 때문에 작고 얇은 화면 2020-10-15343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화공 김진곤 교수 공동연구팀, 햇살이 뜨거워도 온도 떨어지는 단열재 나왔다 [POSTECH-고려대 공동연구팀, 에너지 소비 없는 주간 복사 냉각 소재 개발] 바야흐로 가을이 깊어지고 있다. 아침저녁으로 일교차가 크게 나타나는데 이것은 지표면의 복사 냉각에 의한 기온역전 현상 때문이다. 낮 동안 태양으로부터 열을 받아 기온은 올라가며, 해가 진 밤 동안에는 지표면의 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최근 POSTECH‧고려대 공동연구팀이 낮 2020-10-13487 연구성과 신소재 최시영-물리 이대수 교수 공동연구팀, AI로 세상에 없던 메모리 소자용 재료 만든다 [AI로 원자 구조 변이 제어해 새로운 물리 현상 구현] “땅의 길을 열어준 재료가 고무라면, 하늘길을 열어준 재료는 알루미늄”이라는 말이 있다. 인류사를 바꾼 전환점에는 항상 새로운 소재의 발견이 있었다. 메모리에 적용되는 소재 역시 도핑된 실리콘 소재, 저항변화 소재, 자발적 자화소재, 그리고 자발적 분극소재 등 새로운 재료가 나타나면서 혁신적으로 진화 2020-10-12575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줄기세포시트 단 2일이면 수확한다! [POSTECH-포항세명기독병원 연구팀, 온도감응형 나노구조 세포 배양 플랫폼 개발] 줄기세포는 끊임없이 반복해서 분열하며 세포를 만드는 세포공장이다. 손상된 장기에 인위적으로 이 줄기세포를 이식하게 되면 새로운 조직을 재생시켜 치료가 가능해 질 수 있다. ‘세포 시트(cell sheet)’ 공학 기술은 줄기세포를 세포들만으로 이루어진 시트 형태로 손상부위 2020-10-06596 연구성과 물리 이길호 교수팀, 초고감도 마이크로파 검출기(볼로메터, bolometer) 개발 – 최상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게재 – 마이크로파를 이론적 한계 수준에서 검출할 수 있는 검출기 물리학과 이길호 교수팀, 미국 Raytheon BBN Technologies, 하버드대학교,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스페인 바르셀로나 과학기술연구소, 일본 NIMS 물질재료연구기구로 이뤄진 국제 공동 연구팀이 마이크로 2020-10-011,963 First Page12345678910Next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