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으로 보는 POSTECH 타일형 리스트형 화공 조길원 교수팀, 손보다 뛰어난 감각을 가진 ‘전자 피부’ [POSTECH∙울산대 연구팀, 인간 손가락 모사해 인공 전자 피부 개발] ‘상자 속 물건 맞추기’ 게임을 해본 적이 있는가? 인간의 손가락은 압력, 인장, 진동 등 다양한 종류의 자극을 민감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는 손가락 피부 표면에 존재하는 지문이 외부 자극의 크기를 증폭시키고, 피부 내부에 분포된 다양한 종류의 감각수용체가 이를 감지하기 때문이다. 2021-02-23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연구성과 창의IT 정성준 교수팀, 잉크젯 프린팅으로 ‘방광암’ 만들다 [잉크젯 세포프린팅을 이용해 방광암 이질성 분석] 3D 바이오프린팅은 3D 프린팅과 생명공학이 융합된 기술로서, 살아 있는 세포를 원하는 형상으로 쌓아 올려 생체조직이나 인공장기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다.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질병을 극복하고, 손상된 조직을 치료하며, 신약개발 과정에서 약물에 대한 안정성 및 유효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2020-07-13399 연구성과 물리 이길호 교수팀, 예측만 무성한 미스테리 속 ‘물질’, 실제로 존재했다 [韓‧美‧獨‧香 공동연구팀, 고차원 위상부도체 실존 여부 최초로 관측] ‘겉과 속이 다른 물질’로도 불리는 위상부도체(topological insulator)는 고체 물리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물질이다. 위상부도체는 원래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이지만, 위상이 다른 두 물질의 경계에서 전도성을 갖는다. 이 독특한 성질 때문에 양자 컴퓨터 등 미래 과학 분야의 2020-07-09677 연구성과 신소재 김용태 교수팀, 수소차 내구성 문제 말끔히 해결한다 [선택적 전극촉매반응을 통한 자동차용 연료전지 내구성 향상] 자전거가 비에 젖으면 프레임과 체인 등이 부식되거나 녹이 슬어 오래 쓸 수 없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주기적으로 기름칠을 해줘야 한다. 전지(cell, 電池)는 이런 산화반응과 환원반응*1이 분리되어 일어나도록 고안한 장치로 전자를 이동시켜 전기에너지를 만든다. 하지만 이 역시 산소를 만나면 부 2020-07-081,288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실리콘보다 전도성 4배 높은 ‘유사 그래핀’ 합성 [활용 목적에 맞게 물성 조정 가능…‘맞춤형’유기 반도체 소재 기대] 그래핀과 똑 닮은 새로운 유기 반도체 소재가 개발됐다. 화학과 김기문 교수팀(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장)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진은 분자의 자기조립 자기조립(Self-assembly)*1 특성을 활용해 실리콘보다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2차원 전도성 고분자 2020-07-03460 연구성과 POSTECH-KCC, 국내 최초 공장 폐열로 전기 만든다 – 무기단열재 생산 김천공장에서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만드는 열전발전 실증 실험 성공 – 창의IT융합공학과 백창기 교수 연구팀의 ‘열전모듈 기반 에너지 회수기술’ 적용 – 산업 현장의 폐열 활용한 열전발전 가능성 확인,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주목 POSTECH과 KCC가 산학협력을 통해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해 전기에 2020-07-02395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효과적으로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꾸는 포피린-풀러렌 4분자체 발견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살아가는데, 이는 잎에 있는 엽록소가 빛에너지를 흡수해 양분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이처럼 식물의 광합성을 모방한 ‘인공광합성’ 기술은 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태양에너지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광합성을 모방해 빛을 양분으로 만드는 태양전지용 초분자체를 발견 2020-07-02516 연구성과 신소재 이장식 교수-첨단재료 이동화 교수 공동연구팀, 차세대 메모리 위한 할로겐화물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설계 [낮은 동작 전압, 고성능 저항변화메모리 ··· 차세대 정보저장매체 상용화 앞당긴다] 전 세계에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넷플릭스(Netflix)는 총 4,200만여 편의 영상물을 보유하고 있고, 가입자만 약 1억 6천만 명에 달한다. 30분짜리 시트콤 한 편을 내려받는데 단 몇 초면 되고, 방영 중인 드라마가 끝나고 15분 이내 다시보기가 2020-06-29598 연구성과 화학 김성지 교수팀, 자연의 색 그대로 담는 퀀텀닷 비밀 풀렸다 – POSTECH-연세대 공동 연구팀, QLED TV소재 친환경 양자점 생성 원리 밝혀 – 초미세 나노결정 진화 거듭할수록 양자점 구조에 가까워져 최근 자연의 색을 재현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중 하나로 QLED가 주목받고 있다. QLED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도 크기와 전압에 따라 스스로 다양한 빛을 내는 수나노미터(1나노미터=10 2020-06-24695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방광 질환 치료하는 ‘나노모터’ [생체효소-도파민고분자 나노모터 개발] 체내에 장치를 삽입하여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거나 막는 장치 삽입술은 피임이나 당뇨 치료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렇다면 생체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며 병을 치료하는 나노로봇은 가능할까? 최근 POSTECH 연구팀이 방광 속에서 질병을 치료하는 나노모터를 개발했다.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 최현식 박사 연구팀은 인체 2020-06-18598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나노섬유 마스크’ 알코올 뿌리기만 해도 여러 번 사용 가능하다 [POSTECH – 일본 신슈대학교 공동연구팀, 나노섬유 필터와 멜트블로운 필터의 에탄올 세정에 따른 여과 성능 평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전 세계에 확산되고 있다. 이제 마스크는 비말(침방울)을 통해 공기 중으로 전파되는 바이러스나 세균으로부터 호흡기를 일차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필수 개인 위생품이 됐다. 마스크, 한 번 쓰고 버리기에는 2020-06-17921 First Page12345678910Next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