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연구실적 주요수상실적 주요연구실적 신소재 이장식 교수팀, 플래시 메모리 한계 넘는 ‘강유전체 메모리’ 나왔다 [강유전체 낸드 플래시 메모리 개발]초지능·초연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고집적·고성능 메모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낸드 플래시는 전하 트랩 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높은 전압에서 동작하는 데다 속도가 느리고 반복적인 동작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에서 기존 플래시 메모리보다 4 2021-01-14 READ MORE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화학 이인수 교수팀, 단일촉매로 정밀의약품 제조 공정 줄인다 [금속-유기-골격체 기반 통합형 나노촉매 플랫폼 개발]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국제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으로 전 세계가 공포에 떨고 있다. 항바이러스제를 비롯한 의약품의 빠른 배포가 요구되는 시점이지만, 복잡한 생산공정으로 인해 이들을 단기간에 대량생산하 2020-02-10516 화공 박태호 교수팀, 물로 ‘늘어나고 구겨지는’ 온도센서 만든다 [물 용매 용액공정 가능하고 열에 안정적인 신축성 이온 전도체 개발]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으로 그 어느 때보다 검역·방역이 강조되고 있다. 신체의 변화를 감지할 때 가장 먼저 체온을 측정하게 되는데, 정확하고 빠르게 체온을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옷을 입거나 악수를 하는 등 단순한 접촉만으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온도측정센서나 인공근육의 2020-02-06473 POSTECH AI대학원, 세상을 바꿀 AI 싹틔우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본격적으로 도래하며 AI(인공지능) 분야 인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가운데 POSTECH의 인공지능대학원(이하 AI 대학원)이 본격적인 활동을 앞두고 있다. AI 대학원은 우수한 인재 양성을 위해 정부와 대학이 만든 프로그램으로 지난해 9월 POSTECH이 추가 선정됐다.POSTECH AI 대학원은 풍부한 AI 교육 경험과 노하우, 2020-02-042,850 기계 김동성 교수 공동연구팀, 번개에 버금가는 정전기, 배터리에 저장한다 - 접촉대전 나노발전기 에너지량 높이는 신기술 제시- 나노임프린팅 공정-폴링공정 동시 사용해 고효율 변환회로 개발‘찌릿찌릿’ 겨울이면 더욱 기승을 부리는 정전기. 서로 다른 물체의 마찰로 생기는 정전기는 사랑하는 연인 사이에도 불청객일 수밖에 없다. 사실 정전기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치명적인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그 전압은 수만 볼트(V)에 달해 번개와 2020-01-30746 화공 김원배 교수팀, 이산화탄소 ‘공장 굴뚝에서’ 다이어트한다 [이산화탄소 직접 처리 가능한 고체산화물 전해전지 촉매 개발]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를 태울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생태계 오염과 기후변화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고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분해해 산업적 활용가치가 높은 다른 물질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계속돼왔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발전소나 2020-01-28606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영화가 현실로’ 양방향으로 정보 보내는 메타홀로그램 - 멀티플렉싱 가능한 메타홀로그램 광학 소자 개발- 서로 다른 위치에, 서로 다른 정보 전달...공연용, 전시용, 차량용으로 접목홀로그램 기술은 이미 일상 속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지폐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홀로그램 스티커, 자동차 앞 유리에 직접 투영돼 길을 안내하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내비게이션, 가상의 세계에서 2020-01-21489 화공 차형준 교수 공동연구팀, 물 속에서 ‘스파이더맨’ 보다 강한 홍합, 그 이유는 ‘시너지’ - 표면접착단백질의 표면접착력-응집력 조절 메커니즘 제시- 홍합 접착 분자들의 시너지 밝혀...“기존보다 강력한 수중생체접착제 나올 것”마블에서 가장 오랫동안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캐릭터는 ‘스파이더맨’이다. 스파이더맨에게서 가장 큰 능력은 역시 끈끈한 거미줄을 발사하여 벽에 붙어 다니거나 건물 사이를 날아다니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물속에서도 이 2020-01-15696 화학 김기문 교수팀, 레고 블록처럼 자기조립하는 인공 미세소관 개발 [분자 간 새로운 자기조립 원리 규명]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단순한 형태를 갖춘 레고 블록은 자동차에서부터 함선, 로켓, 거대한 성이나 놀이동산 등 셀 수 없을 만큼 다양한 종류의 창작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 단순한 블록을 한 조각씩 조립해 복잡한 형태의 구조물을 만들고, 이를 모아 다시 조립한 결과다. 이처럼 여러 단계를 거쳐 새로운 구조를 만드는 ‘조립 2020-01-14620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피 뽑지 말아요! 빛을 이용한 당뇨 진단 및 망막증 치료 - 스마트 LED 콘택트렌즈 개발 - ㈜화이바이오메드, 美 스탠포드 대학과 웨어러블 의료기기 사업화 추진당뇨 환자들은 식사 전후에 채혈을 통해 혈당을 측정해야 하고, 당뇨로 인해 여러 가지 합병증에 걸리기 쉽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것만으로 당뇨 진단이 가능하고, 당뇨성 망막질환이 치료되는 '스마트 발광다이오드(LED) 콘택트 2020-01-10741 환경 국종성 교수팀, 지구온난화가 대형 산불의 ‘불쏘시개’ -POSTECH 국종성연구팀, 북극진동에 의한 시베리아 산불 원인 규명-봄철 산불 활동 예측 가능...탄소 방출·지구 온난화 방지에 도움지난 해 11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발생한 산불은 2주 동안 서울 면적에 버금가는 산림을 태웠고, 건물 500채 이상을 파괴했다. 2018년 발생한 캘리포니아 남부 6곳에서 동시다발로 발화한 산불은 사방으로 퍼지면서 3일 2020-01-09407 First PagePrevious11121314151617181920Next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