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물리 송창용 교수팀, 하나보다는 둘, 데이터도 이제는 팀 케미스트리 [송창용 교수팀, 다중 촬영법으로 나노 입자 3차원 기공 구조 촬영 성공] 최근 막을 내린 한국시리즈 결과가 말해주듯 팀 스포츠에서는 개인의 뛰어난 역량보다 팀워크(teamwork)가 중요하다. 책 <팀 케미스트리(Team Chemistry)> 저자인 조앤 라이언은 팀워크를 ‘팀 전력을 끌어올리는 보이지 않는 능력’이라고 말한다. 최근 POSTE 2023-11-28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환경 조강우 교수팀, 수소 생산을 위한 “싸고 빠른” 촉매 개발 [POSTECH-GIST 공동 연구팀, 니켈-철 스피넬 산화물의 이리듐 도핑을 통한 산소발생 활성과 안정성 향상] 세계 곳곳에서는 나타나고 있는 이상기온 현상이나 가속화되는 지구온난화를 막을 방법은 없다. 그 속도를 늦추는 것이 인류의 과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온실가스의 주성분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화석연료 대신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기 2023-02-01425 연구성과 화공 이준구 교수팀, 세포 밖에서 단백질 아닌 ‘고분자’ 합성한다 [POSTECH 연구팀, 무세포 시스템에서 리보솜을 이용한 피리다지논 올리고머 합성] 우리가 쉽게 구할 수 있는 진통제, 감기약, 소화제, 항생제와 같이 여러 화학 물질을 적절히 배합해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합성한다. 이런 소형 화합합성 의약품은 파마코포어(pharmacophore)라고 하는 약효를 내는 부분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의약품 분자 2023-01-31604 연구성과 신소재 김용태 교수팀, 수전해조 열화, ‘희생금속’으로 막는다 [김용태 교수팀, 부하변동시의 수전해조 역전류로부터 열화를 방지하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시스템 개발] “야구는 유일하게 희생을 덕목으로 하는 스포츠”라는 말이 있다. 희생번트, 희생플라이와 같이 다른 스포츠와 달리 경기 중 자신을 죽이고 타인을 살리는 전략이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금속의 부식을 막기 위해서도 ‘희생’이 필요하다. 부식을 막기 위한 금속 2023-01-30383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녹내장 안압 진단 및 치료 스마트 콘택트렌즈 [한세광 교수팀, 녹내장 환자 안압 모니터링 및 조절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녹내장은 안구 내 안압 조절에 문제가 생겨서 높아진 안압에 의해 시신경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고 이로 인해 주변 시야부터 좁아지다가 악화되어 심할 경우 시력을 잃게 되는 대표적인 안질환이다. 따라서, 녹내장 환자들은 평생 안압을 관리해야 되는데 녹내장 환자의 안압을 자동으로 2023-01-26456 연구성과 POSTECH-건국대, ‘각막궤양’ 각막 이식 없이 빛으로 꽉 채워 치료한다 [POSTECH 조동우, 장진아‧건국대 김준영 교수팀, 각막재건 위한 세포외기질 기반 점착성 실란트 개발] 콘택트렌즈는 우리나라 인구의 약 10%(5~600만명, 대한안과학회 통계)가 사용하는 대중적인 시력 교정기구다. 콘택트렌즈 사용자가 흔히 저지르는 실수가 바로 렌즈를 낀 상태에서 잠을 자는 행위인데, 이는 눈 각막 상피의 저항력을 약화시켜 감염을 일으 2023-01-19466 연구성과 POSTECH, 열로 증착하는 “착한 반도체” 개발 [화공 노용영 교수팀, 나노단위 칼코젠 반도체 친환경 공정 개발] 스마트폰, 컴퓨터는 물론, 자동차에도 들어가는 반도체는 이제 우리 삶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필수적인 존재가 됐다. 문제는 반도체의 기능이 향상되고, 더 많은 반도체를 만들어내려 할수록 환경비용이 늘어난다는 점이다. 반도체 제조 과정에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온실가스와 폐기물은 심각한 환경문제로 2022-12-16964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끊임없이 움직이는 심장에 딱 붙는 심근경색 치료 패치 개발 [심장기능 향상 위한 인간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시트 이식 및 활성화 성공]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은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협착 또는 폐색되어 심장 조직이 괴사되는 허혈성 질환으로써, 혈류 차단의 시간적인 경과에 따라 심근의 비가역적 손상이 증가하게 된다. 세포증식이 불가능한 심근세포의 특성상 손실된 심장조직은 자연 2022-12-161,008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수분 머금으면 변하는 요술 디스플레이, 도장 찍듯이 찍는다 [노준석 교수팀, 습도 따라 홀로그램 이미지 밝기·색깔 바뀌는 디스플레이 개발] [“한 번만 찍으면 끝…홀로그램 이미지 무제한 프린팅할 수 있어”] 수분을 머금으면 홀로그램 이미지가 변하는 ‘요술 디스플레이’가 나왔다. 홀로그램 이미지를 도장 찍듯이 무제한으로 찍어낼 수 있어 디스플레이의 상용화 가능성을 한층 앞당겼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2022-12-06817 연구성과 신소재 강병우 교수팀, “꿈의 전지” 산화물 전고체전지, ‘리시콘(LiSICON)’구조로 해법 찾는다 [강병우 교수팀, 전고체전지 이온 전도도 개선 방안 제시] 대기환경 보호와 에너지 절감의 효과로, 이미 올해 전세계적으로 1천만대 이상 판매될 것으로 알려진 전기차의 가장 큰 단점은 바로 배터리의 안전성이다. 이미 최근 5년간 우리나라에서 보고된 전기차 화재 건수는 69건으로 매년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다. 이 화재의 주 원인 중 하나는 리튬이온 배터리에 2022-11-231,617 연구성과 화공 정규열 교수팀, ‘세포공장’ 생산 막는 미생물 간 싸움, ‘가이드’ 유전자 회로로 “화해”시킨다 [정규열 교수팀, 유전자 회로 이용한 생물공정 생산성 제고 기술 개발] 세균, 바이러스, 미세조류는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 작은 생명체로, 흔히 백신이나 식품의 발효제로 활용된다. 2010년, ‘마이코플라즈마 마이코이즈(Mycoplasma mycoides)’라는 인공 미생물이 개발되면서, 대장균이나 효모 등의 산업 미생물을 의약품이나 석유 대체 화학물질로 만 2022-11-08712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