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AI로 비표지 광음향 영상을 공초점 현미경 영상처럼: 세포 이미징 기술의 새로운 지평 [POSTECH 김철홍·장진아 교수팀, 딥러닝 기반 고해상도·가상염색 영상 기술 개발] 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IT융합공학과 박사과정 박은우 씨, IT융합공학과 삼파 미스라(Sampa Misra) 박사,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응용기술센터 황동규 박사 2025-01-17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생명/융합 임신혁 교수팀, IMB001 효능 및 작용기전 규명 “높은 기술력 입증” [POSTECH 임신혁 교수팀, 김치 유래 유산균 IMB001 “종양 부피 감소 확인”] [자체 개발 플랫폼 기술 ‘Avatiom(아바티옴)’ 적용해 신약 개발 전 주기 기술력 입증] 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임신혁 교수, 바이오미래기술혁신연구센터 (B-IRC) Garima Sharma 박사 연구팀이 신약 후보물질 & 2024-05-09680 연구성과 기계/화학/전자 노준석 교수팀, 메타렌즈, 빛을 넘어 소리까지 제어하다 [POSTECH 노준석 교수팀, 세계 최초 수차 없는 광(wide) 청야각 음향메타렌즈 구현] 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 전자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이동우 박사, 박사과정 오범석 씨 연구팀은 기존 음향 메타렌즈의 한계를 극복하고, 넓은 청야각(Field-of-Hearing) 메타렌즈를 처음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최근 국제 학술지 2024-05-08467 연구성과 생명 장지원 교수팀, 세포 반응의 숨겨진 메커니즘 밝혀냈다 [POSTECH 장지원 교수팀, 기계적 자극을 감지해 줄기세포 분화 조절하는 ETV4 발견] 생명과학과 장지원 교수 · 통합과정 양승복 씨는 기계적 자극에 대한 세포 반응을 조절하는 새로운 인자를 찾고, 관련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는 세포생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중 하나인 ‘네이쳐 셀 바이올로지(Nature Cell Biology)’ 온라 2024-05-08427 연구성과 화학 박선아 교수팀, 아이스 아메리카노와 반도체 공정의 공통점? [POSTECH·美 오리건대, 가공성과 전기전도도 모두 우수한 새로운 금속-유기 구조체 개발] 아이스 아메리카노의 계절이 다가오고 있다. 커피 분말이 물에 고르게 녹아야 끝까지 맛있는 커피를 즐길 수 있듯 전자나 반도체 분야에서도 구조체를 용매에 잘 녹여야 이를 공정에 활용할 수 있는데,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 미국 오리건대(Universi 2024-05-07435 연구성과 기계/화공/전자 노준석 교수팀, 자외선 홀로그램 대량 생산을 위한 최적 조건 찾아라 [POSTECH 노준석 교수팀, 자외선 메타표면 제작 위한 나노복합체 조성 탐색] 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 전자전기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강현정 · 전나라 씨, 박사과정 오동교 씨 연구팀은 최근 자외선용 메타표면 제작 공정에서 최적의 프린팅 재료를 찾기 위한 정량적 분석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나노기술 분야 국제 학술지인 ‘마이크로시 2024-05-03631 연구성과 화공 정대성 교수팀, 오작교 아닌 광(光)작교, 트랜지스터를 구현하다 [POSTECH 정대성 교수팀, 분자스위치에 광 가교제 도입해 안정적인 딥 트랩 구현] 견우직녀 설화에는 견우와 직녀의 애틋한 사랑을 지키기 위해 까마귀와 까치가 만든 ‘오작교’가 나온다. 그런데, 화학공학 분야에도 까마귀와 까치처럼 둘을 잇기 위해 다리를 만든 고마운 분자들이 있다. 화학공학과 정대성 교수 · 사이드 자히드 하산(Syed Zahid Has 2024-04-30538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팀, 신장 출혈과 회복 돕는 지혈 밴드, 해답은 신장에 있었다 [POSTECH·대구한의대, 신장 유래 기질로 신장 지혈과 회복 돕는 소재 개발]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융합대학원 시스템생명공학부 통합과정 김재윤 씨,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Tugce Sen(투우체 센) 씨 연구팀은 최근 대구한의대 반려동물보건학과 이재연 교수팀과의 연구를 통해 신장 내 출혈 부위를 빠르게 지혈하고, 창상 회복도 돕는 소재를 개발했다. 이 2024-04-25593 연구성과 생명 김종경 교수팀, 비만으로 인한 염증과 대사기능 장애, 세포 단위로 낱낱이 파헤치다 [POSTECH·서울대·연세대·美WSU·부산대, 지방조직 염증반응 조절 메커니즘 밝혀] 최근 생명과학과 김종경 교수 · 통합과정 정유진 씨 연구팀이 서울대 약대 이윤희 교수 · 최철준 씨, 연세대 의대 현영민 교수 · 박경민 씨, 미국 웨인 주립대(WSU) 그라네만(Granneman) 교수팀, 부산대 약대 정영석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비만으로 인한 2024-04-24612 연구성과 반도체 20년 난제 해결한 POSTECH 노용영 교수, 세계 최고 학술지 Nature 논문 게재 [텔루륨-셀레늄 복합 산화물로 고성능 비정질 p형 산화물 반도체 개발 성공] 화학공학과 노용영 교수 · Ao Liu(아오 리우) 박사(포항공과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現 중국 전자과기대 교수), Huihui zhu(휘휘 주) 박사(포항공과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現 중국 전자과기대 교수) 연구팀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김용성 박사, 포항가속기연구소 김민규 박사와의 2024-04-231,807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 교수팀, 고무처럼 죽죽 늘어나는 에너지 저장 소자, 레이저 기술로 완성하다 [POSTECH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레이저 기술로 신축성 에너지 저장 소자 개발] 화학공학과 김진곤 교수 · 김건우 박사,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양찬우 박사 · 박성주 석사 공동 연구팀은 신축성이 우수한 소형 에너지 저장 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전자 공학 분야 세계적인 학술지인 ‘npj 플렉시블 일렉트로닉스(npj Flex 2024-04-1962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