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AI로 비표지 광음향 영상을 공초점 현미경 영상처럼: 세포 이미징 기술의 새로운 지평 [POSTECH 김철홍·장진아 교수팀, 딥러닝 기반 고해상도·가상염색 영상 기술 개발] 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IT융합공학과 박사과정 박은우 씨, IT융합공학과 삼파 미스라(Sampa Misra) 박사,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응용기술센터 황동규 박사 2025-01-17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학 황승준 교수팀, 4전자 산화환원 활성 가능한 친환경 촉매 개발 화학과 황승준 교수 연구팀이 주족원소*1인 인(P)을 기반으로 한 촉매*2의 리간드*3 협동 반응성을 통해 4전자 산화환원 촉매 시스템을 구현했다고 밝혔다. 화학반응에서의 가용 전자 수는 반응 메커니즘과 생성물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전자 수가 많을수록 화합물을 만들기에 유용한데, 여기에는 반응을 매개할 수 있는 촉매가 꼭 필요하다. 현재 널리 이용되 2024-04-18487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초고속 전자를 갖는 유기반도체 개발 [POSTECH · IBS 공동 연구팀, 전도성 이차원 고분자 내 초고속 전자 관측 성공] 화학과 김기문 교수 · 심지훈 교수 · 이연상 박사, 물리학과 김준성 교수(기초과학연구원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연구단) 공동 연구팀은 그래핀(graphene) 수준의 전자 이동속도를 갖는 전도성 이차원 고분자를 개발했다. 이 연구는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켐(Ch 2024-04-16972 연구성과 물리 박경덕 교수팀, 전염병 바이러스, 분자지문 찾아가며 실시간 검출한다 [POSTECH·UNIST, 기존 한계 넘는 광대역 초고감도 능동형 나노분광센서 원천기술 개발] 물리학과 박경덕 교수 · 통합과정 문태영 · 주희태 씨 연구팀은 잘 휘어지는 연성물질을 이용하여 빈틈제어가 자유자재로 가능한 ‘광대역 나노빈틈 금 분광센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술을 이용하면 전염병 바이러스 등 온갖 종류의 물질들을 단 하나의 나노분광센서만으 2024-04-15433 연구성과 생명/융합 조윤제 교수팀, 난청 이겨내는 희망의 시작을 알리다 [POSTECH·경희대·美USC·英Oxford, 청각 기능 관련 단백질 GPR156 구조 규명] 생명과학과 조윤제 교수 연구팀이 경희대 응용화학과 김광표 교수 연구팀,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대(USC) 브셰볼로드 카트리치(Vsevolod Katritch) 교수 연구팀, 영국 옥스포드대(University of Oxford) 캐롤 로빈슨(Carol V. Rob 2024-04-11442 연구성과 기계/화공/전자 노준석 교수팀, 온라인 보안 미래, AI와 메타표면이 지킨다 [노준석 · 김영기 교수팀, 색과 모양 바꾸는 능동형 메타홀로그램 구현] 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 전자전기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소순애 박사(現 고려대 교수) · 통합과정 김주훈 씨, 화학공학과 김영기 교수 · 통합과정 임준형 씨 연구팀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메타표면 기술과 층상 꼬임형 액정을 결합해 10가지 색의 10개의 홀로그램을 2024-04-09619 연구성과 물리 박경덕 교수팀, ‘빛+물질’ 야누스(Janus) 입자, 광디스플레이 산업 성능한계 극복할까? [박경덕 교수팀, 빛-물질 혼종입자인 폴라리톤 상온 전기적 제어 성공] 물리학과 박경덕 교수 · 통합과정 이형우 씨 연구팀이 새로운 초분해능 분광기술을 개발하여 빛-물질 혼종 입자인 폴라리톤을 상온에서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폴라리톤은 빛 입자인 광자의 특성과 고체 물질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반 빛-반 물질‘의 혼종 입자이다. 이 2024-04-051,037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세포 내에서는 어떤 대화가?“ 소기관 간 소통을 이끄는 단백질 분석 연구 [POSTECH · 대구가톨릭대 · 서울대, 특정 시간과 장소에서 활동하는 단백질 식별 기술 개발] 우리 몸은 복잡한 세포들의 네트워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세포들 간의 원활한 소통은 건강 유지에 필수적이다. 마치 사회에서 정보의 잘못된 전달이 오해와 갈등을 일으키듯, 세포 내 소기관들 간의 소통 또한 정확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의 오류는 심각한 질병을 2024-04-05579 연구성과 신소재/반도체 최시영 교수팀, “원자 결함으로 2차원 소재 물성을 바꾼다” [POSTECH · 연세대 공동 연구팀, 결함 엔지니어링 및 통계적 원자 구조 분석 성공]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및 반도체공학과 최시영 교수 · 오동고 프란시스 응곰메 오켈로(Odongo Francis Ngome Okello) 박사 · 통합과정 양동환 씨, 연세대 정밀의학과 및 보건대학원 양세정 교수 · 의공학과 통합과정 추유성 2024-04-021,182 연구성과 기계/화공/전자 노준석 교수팀, 레고처럼 조립하는 메타물질로 환경 지킬까 [POSTECH · 성균관대 공동 연구팀, 탈부착 가능한 조립형 탄성 메타물질 개발]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지 않거나 버려지는 에너지로 전기를 만드는 친환경 기술이다. 태양광과 풍력뿐 아니라 자동차 엔진이나 기차가 지나갈 때 발생하는 진동으로도 전기를 생산하는데, 최근 레고처럼 조립이 가능한 메타물질로 에너지 2024-04-02683 연구성과 신소재 김용태 교수팀, 높은 스펙의 고순도 양극재, 과연 필요한가? [김용태 교수 연구팀, 이차전지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획기적인 대안 제시] 이차전지 셀 메이커들(LG엔솔, 삼성SDI, SK온 등)은 양극재 소재 업체에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납품할 것을 요구하면서 매우 높은 수준의 고순도 스펙을 제시해 왔다. 사실 양극재 순도 스펙은 기업비밀로 부쳐져 왔으나, 실제 이러한 높은 스펙이 필요한지에 대한 검토는 적극적으로 이 2024-03-25688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