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생명 박상기 교수팀, ‘조현병’ 태아 신경발달 과정에서 발생한다 [POSTECH-한국뇌연구원-KAIST 공동 연구팀, 조현병 원인인자 MAD1에 의한 대뇌피질 발생 중 신경세포 이동성 조절]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와 행동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고,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관심이 필요한 병이다. 여기서 조현(調絃)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 라는 뜻으로, 조현병 2023-02-0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이배용 이사장, 12일 POSTECH서 강연 펼친다 [문명시민강좌 5강 ‘역사에서 길을 찾다’ 예정] 문명시민교육원은 12일 이배용 한국의 서원 통합보존관리단 이사장을 초청, 문명시민강좌 다섯번째 강연을 진행한다. ‘역사에서 길을 찾다’라는 주제로 강연을 펼치는 이배용 이사장은 역사 유물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로 대한민국의 과거, 현재, 미래의 길을 잇는 문화 대사로 불린다. 이화여대 13대 총장을 지냈으며 2022-05-11140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사람도 ‘피카츄’처럼 전기 만들 수 있을까? [노준석 교수팀, 메타물질로 압전 에너지 수확 효율 높이는 방법 소개] [“진동·소리로 전기 생성 가능성 有…향후 웨어러블 기기 적용 기대”] 피카츄는 잠을 자면 양쪽 뺨에 전기가 생겨난다. 머지않아 우리도 피카츄처럼 특정 행동으로 전기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 모른다. 우리 곁에 진동이나 소리 형태로 존재하는 파동 에너지는 마찰이나 열에 의해 쉽게 사라지는데 2022-05-11520 연구성과 생명 김종경 교수팀, “새살이 솔솔”…상처 난 위(胃) 되돌리는 유전자 찾았다 [POSTECH·IBS·美 밴더빌트대 공동연구팀, 위 줄기세포 활성 조절하는 유전자 밝혀] 음식을 소화시키는 위(胃)에 문제가 생기면 식사를 하는 것조차 고통스러운 일이 된다. 다행히 우리 몸은 스스로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데, 위장에 있는 줄기세포인 위장주세포는 일반적으로 활동하지 않다가 조직에 상처가 나면 활발히 치료를 돕는다고 알려졌다. 다만 어 2022-05-10258 대학소식 기계 정완균 교수팀, 자유자재로 조립하는 인공장기 시대를 연다 [정완균 교수 연구팀, 산업기술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사업 선정] 연구팀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0년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테마 중 하나인 ‘면역거부 없는 소프트 임플란트’의 본 연구에 선정되어 바이오프린팅 기반 개인 맞춤형 인공장기와 이를 자동화할 수 있는 로봇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알키미스트 프로젝트는 역사적으로 철로 금을 만들려고 했던 연금술사 2022-05-10436 대학소식 컴퓨터비전 연구실, 2022 CVPR서 국내 최다 논문 발표 [곽수하·박재식·조민수 교수 지도] 컴퓨터비전 연구실(Computer Vision Lab)이 2022 CVPR(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국제 컴퓨터비전·패턴인식 학술대회)에서 국내 최다 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와 국제컴퓨터비전재단(CVF)이 1983년부터 공동으로 주최하는 CVPR 2022-05-09596 연구성과 환경 감종훈 교수팀, 덥고 습한 ‘겨울’, 범인은 바로 너(?) [감종훈 교수팀, 2019~2020년 러시아 서북 지역의 덥고 습한 겨울 원인 밝혀] [“기후 모델 미래 전망 데이터 분석 결과, 인류 활동에 따른 지구 온난화가 원인“] 찌는 듯한 더위의 여름엔 찬 바람이 쌩쌩 부는 겨울이 그리워진다. 강한 추위와 더위 모두 우리를 고통스럽게 하지만, 겨울 날씨가 습하고 따뜻하더라도 또 다른 문제가 생긴다. 가령 2019 2022-05-09232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더 세게, 더 멀리’ 스핀하는 적외선 찾았다 [노준석 교수팀, 근적외선 영역에서 최고 효율의 광스핀홀 효과 구현] [“빛 이동량은 파장 10배, 효율은 70%…고효율 초소형 광학 소자에 적용 기대”] 국내 연구진이 ‘더 세고, 더 멀리’ 스핀하는 적외선을 찾아냈다. 근적외선 영역에서 최고 효율의 광스핀홀 효과를 구현한 것인데, 광스핀홀 효과란 빛이 굴절할 때 입사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빛이 이동하는 2022-05-04279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팀, 3D 프린팅 ‘지방조직’으로 비만 잡을까 [POSTECH·부산대 공동연구팀, 인-배스 3D 바이오프린팅으로 체외 지방조직 개발] [비만 환자와 유사한 환경에서 배양 시 실제 생리학적 변화 나타나…비만 치료·신약 개발에 활용 기대] 다이어트는 거의 모든 사람에게 평생의 숙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공의 적’인 지방조직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러한 일이 머지 않을지도 2022-05-02471 대학소식 IT융합·기계 장진아 교수, 美 생산공학회 ‘젊은 생산공학자상’ 수상 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 장진아 교수(35)가 최근 미국 생산공학회(Society of Manufacturing Engineers, SME) ‘젊은 생산공학자상(Outstanding Young Manufacturing Engineers)’을 수상했다. 올해 수상한 22명 중 한국인은 장 교수가 유일하며, 이번 수상으로 10여 년 만에 한국인 수상자가 나왔다 2022-05-02765 대학소식 수학 최영주 교수, 과학기술훈장 혁신장 수상 수학과 최영주 교수(62)가 최근 ‘2022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과학기술훈장 혁신장을 수상했다. 이화여대를 졸업한 뒤 미국 템플대(Temple University)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최 교수는 1990년에 POSTECH에 부임해 수학과의 발전을 이끄는 것은 물론, 한국여성수리과학회장,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회 심의위원 등 우리나라 수학 발전에 2022-04-2845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