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AI로 비표지 광음향 영상을 공초점 현미경 영상처럼: 세포 이미징 기술의 새로운 지평 [POSTECH 김철홍·장진아 교수팀, 딥러닝 기반 고해상도·가상염색 영상 기술 개발] 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IT융합공학과 박사과정 박은우 씨, IT융합공학과 삼파 미스라(Sampa Misra) 박사,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응용기술센터 황동규 박사 2025-01-17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창의IT 김철홍 교수, 국내 최초 ‘IEEE EMBS 젊은 과학자상’ 수상 창의IT융합공학과 김철홍 교수가 미국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산하 의학생명공학회(EMBS, Engineering in Medicine & Biology Society)가 선정, 수여하는 ’젊은 연구자상‘ (Academic Early Career Ac 2017-06-26978 대학소식 화공 차형준 교수, ‘올해의 발명왕’ 수상 [홍합에서 유래한 생체접착소재 발명으로 봉합실 없이도 손상된 조직 접합 가능해져]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가 특허청이 개최하는 제52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올해의 발명왕’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차 교수는 바다의 홍합에서 유래한 생체접착단백질 소재를 세계 최초로 개발, 국가 산업신소재 기술 확보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했다. 기존 의료용 접착제로 2017-06-221,015 대학소식 취업준비생 대상 AI 무료교육 [국내최초 산·학 협업 차세대 인재육성 무료 강좌] POSTECH은 POSCO와 함께 ‘취업 준비생 대상 IoT·빅데이터·AI 인재양성 무료교육’ 프로그램을 자체 개발하고, 무료교육을 실시해 4차산업혁명의 빠른 확산에 따른 차세대 인재양성과 함께 취약계층 청년취업을 전폭 지원키로 했다. 이번 ‘취업준비생 대상 IoT·빅데이터 2017-06-201,565 연구성과 신소재 이종람 교수팀, 플라스틱 기판에 나노막대 제작 원천기술 개발 플라스틱 기판에서의 빛의 흐름을 통제하여 태양전지나 LED와 같은 광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막대 제작 기술이 개발됐다. 이 고효율 나노막대는 웨어러블 스마트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어 크게 주목 받고 있다. 신소재공학과 이종람 교수, 박사과정 박재용 씨 연구팀은 전기회로들로 구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기판에서 나노막대를 기존보다 수백배 빠르게 제작할 2017-06-151,215 대학소식 유레카, 아르키메데스 스크류로 배수로 막힘을 방지하고, ‘자이로드롭’ 닮은 드론택배로 아파트 배달까지… [국토교통기술아이디어 공모전서 하석진·김건호·김경준 학생 최우수상, 김준환·이강산·최진혁 학생 장려상 수상] 유레카를 외친 아르키메데스가 발명한 스크류를 이용하여 홍수 때마다 발생하는 배수로 막힘을 방지하고, 우리가 즐겨 타는 놀이기구인 자이로드롭의 원리를 활용하여 드론으로 아파트에서도 택배를 받을 수 있는 참신한 아이디어가 나왔다. 신소재공학과 학부생 하 2017-06-141,820 연구성과 화공 오준학 교수팀, 개인정보 유출, 하드웨어에서 원천봉쇄 시킨다 [보안 강화된 광통신용 원편광 광센서 개발] 최근 컴퓨터에 침입해 저장된 문서를 모두 암호화해버리고 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가 퍼지며 컴퓨터 보안이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다. 방화벽이나 보안시스템 업데이트로 이를 대비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해킹으로 인한 보안은 큰 걱정거리 중 하나다. 이런 걱정을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하드웨어에서 원천봉쇄할 수 있는 기술이 2017-06-081,278 연구성과 기계 임근배 교수팀, 자연의 아름답고 화려한 구조색을 손쉽게 만들어 낸다! [저비용 용액공정으로 쉽게 구조색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 개발] 우리가 주위에서 접할 수 있는 나비의 아름다운 날개, 주위 환경에 따라 피부색을 바꾸는 카멜레온, 보는 방향에 따라 찬란하게 다른 빛을 발하는 보석, 곤충들의 화려한 색깔 등 자연이 주는 색은 단순히 색소에 의해 정해지지 않는다. 이는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라는 아주 작은 단위의 입 2017-06-012,389 연구성과 창의IT 김철홍 교수팀, ‘바이러스’도 볼 수 있는 광학현미경 개발 [초고해상도 가시영역 광활성 원자간력 현미경 개발] 우리가 무언가를 보기 위해서는 물체에서 반사한 빛이 눈으로 들어와야 한다. 그런데 물체의 크기가 빛 파장의 절반보다 작으면 빛은 반사되지 않고 뒤로 돌아가 물체로 보여 주지 않고 통과해 버린다. ‘회절한계’라고 부르는 이 현상 때문에 독감 바이러스 등 수 나노미터(nm)에 불과한 바이러스는 실험에서 흔히 2017-06-011,739 대학소식 전자 김영진 교수, IEEE 저널 편집위원 선임 전자전기공학과 김영진 교수가 전기·전자기술 분야 최대 학술단체인 IEEE(국제전기전자공학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IEEE 트랜젝션 온 스마트 그리드(IEEE Transaction on Smart Grid)’ 편집위원(Associate Editor)으로 선임됐다. 김 교수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아르곤국립연구소(Argonne 2017-06-011,696 대학소식 국내 최초 Teach the Teachers 프로그램 출범 “창의적 사고 길러줄 온라인 공개 교육” POSTECH-여시재-충남교육청-충청남도, 미래인재 육성 위한 MOU 체결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모든 기술이 융합해 사람과 사물, 공간이 이어지는 차세대 산업혁명, 4차산업혁명은 인류 역사에서 큰 전환점을 가져올 것으로 예측되고있다. 4차산업혁명이라는 대변화의 시기를 맞아 가장 중요한 과제는 교육 2017-05-251,068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5115215315415515615715815916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