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AI로 비표지 광음향 영상을 공초점 현미경 영상처럼: 세포 이미징 기술의 새로운 지평 [POSTECH 김철홍·장진아 교수팀, 딥러닝 기반 고해상도·가상염색 영상 기술 개발] 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IT융합공학과 박사과정 박은우 씨, IT융합공학과 삼파 미스라(Sampa Misra) 박사,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응용기술센터 황동규 박사 2025-01-17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환경 이형주 교수팀, 락다운 기간 대기오염의 사회적 불평등 감소, 지속가능한 정책의 필요성 제시했다 [이형주 교수팀, 이산화질소 농도 감소에 따른 대기오염 노출 불평등 분석] 환경오염은 모두에게 평등하게 영향을 미칠까? 바로 이를 뜻하는 것이 1970년대 미국에서 등장한 ‘환경 정의(Environmental justice)’다. 이 개념은 특정 집단과 지역에 환경 문제가 집중되지 않는, 환경적 공평성과 공정성을 설명한다. 미국은 엄격한 규제와 정책으로 대 2024-02-02835 연구성과 화공 손재성 교수팀, 링커 이온의 친화력으로 미세 공정의 한계를 극복하다 [POSTECH · KIST 공동 연구팀, 무기 소재 활용 가능한 3D 마이크로프린팅 기술 개발] 얼마 전 한 기업이 구인 공고에 선호하는 MBTI를 작성해 화제가 됐다. MBTI는 사람의 성향을 열여섯 가지로 구분하는데, 실제 사회는 훨씬 더 다양한 개성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조직이 발전하려면 이를 아우를 2024-01-31609 연구성과 화공 정대성 교수팀, 100배 저렴한 센서, 자율주행 자동차 대중화 이끌까 [정대성 교수팀, 단파 적외선 신호 분석 가능한 유기 포토다이오드 개발 성공] 최근 성황리에 종료된 ‘CES 2024’에서 HD현대는 인공지능과 자율주행 기술로 운행하는 굴착기와 트럭 등을 선보였다. 이처럼 스스로 주행하는 무인 자동차의 핵심은 장애물과 주변 도로 상황을 분석하는 센서다. POSTECH 연구팀은 최근 기존 대비 최대 100배 저렴한 센서를 2024-01-31525 연구성과 화공·융합 차형준 교수팀, 체내 부착용 접착제, 이제는 맞춤형 제작도 가능하다 [POSTECH · K-MEDI Hub 연구팀, 홍합접착단백질로 맞춤형 수중 생체접착패치 개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접착제는 종이용과 섬유용, 목재용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중에서 사람들은 용도에 따라 가장 잘 붙는 접착제를 선택한다. 이처럼 의료용 접착제도 체내 상처조직 봉합 그리고 센서나 의료기기를 체내에 삽입할 때 사용되는데, 최근 인체에 안전하 2024-01-30475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1,000km 달리는 꿈의 전기차, 젤로 가능하다 [박수진 교수팀, 전자빔 활용하여 일체형 실리콘-젤 전해질 시스템 개발] 얼마 전 막을 내린 ‘CES(정보기술·가전 전시회) 2024‘에서 인공지능과 헬스케어 등 최첨단 과학기술이 소개됐다. 이러한 혁신적인 기술의 핵심은 효율적인 전기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배터리 기술에 있다. 특히 배터리 기술이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는 분야는 전기차다. 지금까지 출시된 2024-01-30438 연구성과 기계·IT융합·생명·융합· 장진아 교수, 기계 조동우 교수팀, 3D 바이오 프린팅으로 환자 맞춤형 위암 치료법 개발한다 [POSTECH · 연세대 공동 연구팀, 혈관 구조와 체내 환경을 재현한 위암 모델 제작] 국제암연구소에 의하면 위암은 동양인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병 중 하나로 2020년 한국인의 위암 발생률은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다. 최근 POSTECH·연세대 공동 연구팀은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로 위암과 암세포를 둘러싼 생체 환경을 완벽하게 구현함으로써 임상 전 단 2024-01-30386 연구성과 물리 박경덕 교수, 극성 반도체 입자인 ‘트라이온’의 생성 원리 찾았다 [POSTECH · UNIST · 충북대, 나노광학공진기 이용 트라이온 능동제어 및 생성원리 규명] 차세대 반도체로 주목받고 있는 2차원 반도체는 불과 단일 원자층 수준의 두께로 인해 단위 부피 당 광특성이 매우 우수하고 유연하기까지 하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면, 첨단 유연 소자(flexible device), 나노광소자, 태양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2024-01-25392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나노 축구공, 2차원 소재 연구 골문을 흔들다 [POSTECH · UNIST 공동 연구팀, 2차원 나노 시트 ‘모서리-모서리’ 조립 기술 개발] 지난주 아시안컵 바레인전에서 이강인 선수의 발끝을 떠난 공이 골문을 흔드는 순간, 전 국민이 열광했다. 세계를 놀라게 한 이 원더골처럼 최근 POSTECH·UNIST(울산과학기술원) 연구팀은 2차원 반도체 소재의 ‘모서리-모서리’ 조립을 통해 만든 축구공으로 2024-01-25258 연구성과 물리 이대수 교수팀, 전기장, 전기 덜 쓰는 반도체 개발 이끌까 [POSTECH·서울대·숭실대 연구팀, 금속성 물질 내 전기 분극과 극성 상태 유도 성공] 일반적으로 분극*1 현상과 극성*2 상태는 절연체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금속에서도 분극과 극성을 유도할 수 있다면 반도체로 인한 전력 손실을 줄이고, 전자 기기에 내장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학계에서는 금속 내 분극과 극성을 구현하기 위한 연 2024-01-25323 연구성과 기계 김석 교수팀, 놀라운 암기력으로 만든 맞춤형 스탬프 [POSTECH · 美 UIUC, 형상 기억 고분자로 표면 형태나 구조에 상관없이 전사 성공] 형상 기억 고분자(이하 SMP, Shape Memory Polymer)는 마치 사진을 찍듯이 물질의 형태를 기억하고, 그 기억을 재현하는 독특한 소재다. 이 소재는 온도에 민감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물체의 형태를 임시로 변형시키고, 다시 특정 온도 이상 가열되는 2024-01-15452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