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세계가 인정한 K-재생의료!” POSTECH 장진아 교수, 한국인 최초 바이오머티리얼즈 ‘젊은 연구자상’ 수상 [재생의료·생체재료 분야 연구 국제 학계 인정받아… 美 하버드의대 Wei Tao 교수와 나란히 선정]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재생의료 및 생체재료 연구 분야의 세계적 권위 학술지인 ‘바이오머티리얼즈(Biomaterials)’의 ‘젊은 연구자상(Biomaterials Award for Young 2025-01-2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생명 이승우 교수팀, 고형암에 이중항체 사용할 방법, 드디어 찾았다 [POSTECH · 강원대 · 네오이뮨텍, 고형암 치료제 효능 높이는 후보 물질 발굴] 최근 생명과학과 이승우 교수, 통합과정 이건주 씨는 네오이뮨텍 최동훈 연구소장, 강원대학교 김대희, 최선심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고형암에서 이중항체 치료제 효능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증명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의료 연구 분야 국제 학술지인 ‘ 2024-05-22524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리튬 금속 배터리를 위한 새로운 이정표 [POSTECH·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포스코 미래기술연구원, 리튬 금속 전지를 위한 다공성 구조체 개발] 마치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방향과 거리를 알려주는 표지판처럼 ‘이정표’는 어떤 상황에서 사람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준다. 최근 화학 분야에서도 이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구조체 연구가 발표되어 학계의 주목을 모으고 있다. 화학과 박수진 교수 · 2024-05-20501 대학소식 POSTECH 이기택 교수, 제12회 ‘바다 식목일’ 기념 행사서 홍조근정훈장 수훈 환경공학부 이기택 교수가 지난 10일 열린 ‘제12회 바다식목일 기념 바다숲 블루카본 국제포럼’에서 ‘홍조근정훈장’을 수훈하였다. 이기택 교수는 해양의 탄소 및 질소순환 연구 분야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보였고, 국제 탄소순환 연구회 활동으로 해양수산의 지평을 확장하는 등 크게 기여한 공로로 수훈의 영예를 안았다. 충남대에서 해양학과를 졸업하고 사우스플로리다대 2024-05-17588 대학소식 POSTECH, 천신일 세중그룹 회장에 명예공학박사 학위 수여 [대학 설립 시 캠퍼스 부지 기증, 장학금 제정 등 POSTECH 발전 및 인재 양성에 크게 기여] POSTECH이 17일 오후 2시 대학 내 포스코국제관에서 천신일 세중그룹 회장 명예공학박사 학위수여식을 개최한다. POSTECH은 탁월한 리더십으로 국가와 산업 발전을 이끌고, 이공계 인재 양성에 크게 공헌한 천신일 회장의 공로를 인정해 명예공학박사 학위를 2024-05-172,006 연구성과 물리 송창용 교수팀, “빠른 빛으로 물질의 융해를 새롭게 바꾸다” 초고속 융해의 신비 [POSTECH 송창용 교수팀, 광(光) 유도 비평형 융해의 뒤집어진 핵 생성 관측] 물리학과 송창용 교수 · 통합과정 황준하 씨, 화학과 임영옥 연구부교수 연구팀은 초고속 광 유도 융해과정에서 일어나는 독특한 현상을 관측하고, 초고속 융해를 이해를 위한 연구 기반을 구축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2024-05-17399 대학소식 POSTECH 소통과 공론 연구소, 2024 정기 심포지엄 개최 [글로벌 대학 리버럴아츠 교육에 비추어 본 POSTECH 인문사회교육의 미래 탐색] 소통과 공론 연구소가 24일 정기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심포지엄은 대학 내 무은재 기념관에서 오후 1시부터 6까지 진행된다. 올해 심포지엄의 주제는 ‘포스텍 리버럴아츠(Liberal Arts) 교육 미래를 논하다’이다. 기초 교양이나 인문사회 분야를 포함하는 리버럴아츠 교육 2024-05-17268 연구성과 신소재/반도체 최시영 교수팀, 원자 사이의 숨바꼭질, 도펀트를 찾아라! [POSTECH·KRICT·LG에너지솔루션, 전기차 배터리 양극 도핑 안정화 메커니즘 규명] 신소재공학과 · 최시영 교수, 통합과정 김소연 씨, 양유정 씨는 KRICT(한국화학연구원) 최성호 박사, LG 에너지솔루션 이소라 팀장, 조치호 책임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단일 원소 도핑(doping)*1으로 인한 고용량 고니켈 양극 소재의 표면 구조 안정화 메커니 2024-05-17386 연구성과 환경 감종훈 교수팀, 가뭄의 비극: 저수지가 탄소 농도를 높인다? [감종훈 교수팀, 농업용 저수지 저수량과 총 유기 탄소 시공간적 분석 성공] 환경공학부 감종훈 교수 · 박사과정 이광훈 씨 연구팀은 국내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량과 수질 데이터를 분석해 극심한 가뭄이 수자원 관리 시스템에 미치는 수(水)문학적 영향을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수자원 분야 국제 학술지인 ‘물 연구(Water Research)’에 최근 게재됐다. 2024-05-13348 연구성과 물리 신희득 교수팀, 새로운 시선으로 양자 기술의 미래를 열다 [신희득 교수팀, 기존과 다른 NOON 양자얽힘 관측 성공] 최근 물리학과 신희득 교수, 이동진 박사 연구팀은 양자 과학 분야의 핵심기술인 NOON 양자얽힘을 새로운 형태로 구현하였다. 이 연구는 광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Light: Science & Applications’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양자역학은 원자와 분자, 광(光)자 등 미시 2024-05-13395 연구성과 신소재/친환경 강병우 교수팀, “금속과 공기로 전기를 만드는 마법” 골칫덩이였던 탄산염이 한 건 했다! [POSTECH 강병우 교수팀, 고에너지 · 고효율 전고체 Na-공기 전지 플랫폼 개발] 동요 ‘과수원길’에 나오는 아카시아꽃은 사실 아까시나무의 꽃이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벌꿀 대부분 아까시나무꽃 벌꿀일 정도로 쓰임새가 많은데, 이 나무가 처음에는 쓸모가 없어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았다고 한다. 최근 과학계에서 아까시나무처럼 천덕꾸러기였던 탄산염이 새롭게 2024-05-0958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