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글로벌 반도체 리더를 육성하라” POSTECH 반도체공학과 개소식 개최 POSTECH 반도체공학과 개소식이 지난 15일 진행됐다. 개소식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백인규 포항시의회 의장, 김병욱 포항시 국회의원, 최혁준 경상북도 메타버스과학국장, 김선식 삼성전자 부사장, 김성근 총장, 이병훈 반도체공학과 주임교수 등이 참석했다. 반도체 소자 · 재료와 공정, 회로설계 등 반도체 전 분야에 걸쳐 특화된 교육을 제공하는 반도체공학과는 2023-09-21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보도자료]POSTECH, 가천의과대, 가천의대길병원과 MOU체결 23일 가천의대서 공동연구 양해각서 체결 세계적인 연구중심대학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백성기)과 한국을 대표하는 의과학대학과 연구중심병원인 가천의대(총장 송석구), 길병원(원장 이태훈)이 난치성 질병 제어 기술 개발에 함께 나선다. POSTECH과 가천의대, 길병원은 23일 인천 송도 이길여암․당뇨연구원에서 공동연구와 융합교육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다. 이번 협정체결에 따라 이들 기관은 △공동연구 개발 △인력 교류 및 양성 △공동 교육 지원 등에 긴밀하게 협력한다.특히 이들 … 더 보기 "[보도자료]POSTECH, 가천의과대, 가천의대길병원과 MOU체결" 2011-03-231,632 대학소식 [보도자료]POSTECH 동문 이재상 박사, 환경 국제권위지 부편집장 선임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동문 이재상 박사(35)가 신진연구자로서는 이례적으로 환경분야의 국제적 권위지 ‘저널 오브 해저더스 머터리얼즈(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지의 부편집장으로 선임됐다.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물환경센터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 박사는 앞으로 매년 이 저널에 투고되는 6,000여편의 논문 심사와 게재 여부를 결정하는 업무를 편집장과 함께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저널 발간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부편집장으로 특히 30대 중반의 국내 신진연구자가 선임되는 것은 … 더 보기 "[보도자료]POSTECH 동문 이재상 박사, 환경 국제권위지 부편집장 선임" 2011-03-221,605 대학소식 [보도자료]새로운 개념의 물리실험실 개관 POSTECH, 기초과학 강의 다시 ‘틀 깼다’토론식 실험환경 갖춘 일반물리실험실 개관 POSTECH(포항공과대학교)이 지난해에 이어, 일선 대학에서 획일적 강의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기초 과학강의의 틀을 깨는 실험을 다시 시작했다. POSTECH 물리학과는 1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물리실험 수업을 위한 ‘디자인 앤 빌드 물리실험실(Design and Build Physics Lab)’을 17일 개관, 학생들이 자유롭게 토론하며 스스로 실험을 진행하는 새로운 개념의 강의에 들어간다고 … 더 보기 "[보도자료]새로운 개념의 물리실험실 개관" 2011-03-171,627 대학소식 [보도자료]‘세계 뇌주간’ 맞아 다양한 행사 개최 POSTECH, “신비로운 뇌 이야기 들어보세요”18일 ‘세계 뇌주간’ 맞아 다양한 행사 개최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뇌연구센터(센터장 김대진 컴퓨터공학과 교수)와 계산뇌과학회는 ‘세계 뇌(腦) 주간(World Brain Awareness Week)’행사의 일환으로 오는 18일 오후 7시부터 국제관 대회의실에서 ‘신비로운 뇌 이야기’라는 주제로 공개 강연을 갖는다. 중․고교생 및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이날 강연에서는 △뇌, 인간 그리고 사회 (POSTECH 물리학과 김승환 교수) △뇌를 알면 공부도 … 더 보기 "[보도자료]‘세계 뇌주간’ 맞아 다양한 행사 개최" 2011-03-171,546 연구성과 국가과학자 김광수 교수팀, 인간게놈 1시간 안에 해독 가능한 혁신적 방법 발표 (2011.2.7)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誌, 그래핀 이용한 혁신적 정보해독방법 제시 사람의 모든 유전자 30억쌍을 1시간 안에 해독 가능한 혁신적이고 새로운 DNA 염기서열 분석법이 국내 연구진을 통해 발표돼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특히 이 분야는 지난 2003년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선진국들이 막대한 연구비를 투자하며 경쟁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분야일 뿐 아니라 여러 난치병이나 희소병 치료에도 필수적인 분야로, 생명과학에 변혁을 … 더 보기 "국가과학자 김광수 교수팀, 인간게놈 1시간 안에 해독 가능한 혁신적 방법 발표 (2011.2.7)" 2011-03-171,431 연구성과 "내맘대로" 열고닫는 신개념 약물전달장치 개발 (2011.2.8) 불임, 갑상선병, 당뇨, 골다공증 등 호르몬 치료 “기대” 전기 자극을 이용해 나노 기공을 마음대로 열고 닫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몸 밖에서도 리모컨으로 조절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약물전달장치가 개발돼 눈길을 모으고 있다. 화학공학과 블록공중합체 자기조립연구단 김진곤 교수․박사과정 전금혜씨 연구팀은 전기 자극에 따라 나노 기공막의 구멍이 개폐되는 원리를 이용, 약물 방출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약물전달 … 더 보기 ""내맘대로" 열고닫는 신개념 약물전달장치 개발 (2011.2.8)" 2011-03-171,008 연구성과 뇌종양, 약물치료 가능한 시대온다 (2011.2.21) 약물전달체 이용한 항암제, 종양제거에 큰 효과 뇌종양 같은 난치성 뇌질환을 약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새롭게 개발됐다.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2월 22일 POSTECH 정성기 교수 연구팀이 뇌종양(Globlastoma)을 가진 생쥐를 대상으로 치료 약물을 입으로 투여하는(경구투여) 실험을 해온 결과, 투여된 약물이 종양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실험에서 사용된 항암제는 항암효과가 높은 파클리탁셀(Paclitaxel)로 ‘혈뇌장벽(Blood-brain … 더 보기 "뇌종양, 약물치료 가능한 시대온다 (2011.2.21)" 2011-03-171,049 연구성과 "내 몸에 딱 맞는 약" 찾아주는 나노물질 개발 (2011.2.28) 초고밀도 나노채널 이용한 SNP의 고감도 검출 내 체형에 딱 맞는 옷을 입듯, 내 체질과 질병에 딱 맞는 약을 찾을 수 있는 ‘맞춤 의료’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환자 별로 적합한 감기약을 찾는 것은 물론, 암 환자에게 투여하는 새로운 항암제의 효과를 투여 전 미리 파악할 수 있고, 의료사고의 3%가 사망하는 혈액응고방지제 관련 사고도 막을 수 있는 유전자 … 더 보기 ""내 몸에 딱 맞는 약" 찾아주는 나노물질 개발 (2011.2.28)" 2011-03-172,097 연구성과 POSTECH-보스턴대 공동연구팀, ‘성공의 법칙’ 물리학으로 풀었다 (2011.1.3) 정우성 교수, “스포츠, 석학 성공에도 모두 초기 과감한 지원이 중요” 미국 메이저리그와 NBA, 영국 프리미어 리그 등 세상에서 가장 냉혹한 경쟁이 펼쳐지는 프로스포츠의 세계에서 성공한 선수와 실패한 선수에는 특별한 ‘물리학적 법칙’이 숨겨져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눈길을 모으고 있다. POSTECH 기술경영대학원 정우성 교수와 미국 보스턴대 유진 스탠리 교수 공동연구팀은 ‘성공에 대한 마태복음효과의 양적-실증적 입증(Quantitative and empirical … 더 보기 "POSTECH-보스턴대 공동연구팀, ‘성공의 법칙’ 물리학으로 풀었다 (2011.1.3)" 2011-03-171,187 연구성과 물리학과 생화학의 융합연구로 ‘DNA 염기쌍 오류 복구 메커니즘’ 밝혀내 (2011.1.31) DNA 염기쌍 오류 복구에 관련된 근본적인 질문 중의 하나인 ‘DNA 효소들이 어떻게 특정 위치를 찾아내고 그 신호를 전달하는지’에 대한 해답이 국내 연구진의 물리학과 생화학 융합연구로 밝혀졌다. 포스텍 이종봉 교수, 박사후 연구원 정철현 박사, 박사과정 조원기 씨가 주도하고 포스텍 반창일 교수팀과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리차드 피셸 (Richard Fishel) 교수팀이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오세정)이 … 더 보기 "물리학과 생화학의 융합연구로 ‘DNA 염기쌍 오류 복구 메커니즘’ 밝혀내 (2011.1.31)" 2011-03-171,221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9119219319419519619719819920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