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수학 김진수 교수, ‘베일에 싸인’ 세포 활성화의 비밀 밝혔다 [韓·美 공동연구팀, 확률 모델로 뉴클레오솜의 활동 원리 예측] [“수학적 모델로 예측 후 실험 통해 검증”…국내 수학자 활약 돋보여] 드라마 ‘유미의 세포들’에서는 주인공 유미의 모든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들의 모습이 나온다. 일할 때나 중요한 대화를 할 때 나오는 ‘이성세포’뿐만 아니라 ‘사랑세포’, ‘출출세포’까지, 때에 따라 등장하는 귀여 2022-08-08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기계 이승철 교수, 물리 이론 학습하는 인공지능 탄생, 응용문제도 ‘척척’ [KRISS‧포스텍 공동연구팀, 물리 이론 학습하는 AI 음향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음향‧소음‧진동 실시간 감지 및 최적화 가능해 스마트 팩토리, 디지털 트윈에 활용 전망]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박현민)과 포항공과대학교 공동연구팀이 음향 물리 이론을 학습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AI 2022-06-13413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이슬을 톡’…물방울로 전기 만든다 [POSTECH·경희대·안동대 공동연구팀, 연잎 모사한 물방울 기반 발전기 개발] [물방울 기반 발전기 중 최고 효율(13.7%) 달성…6µL 빗방울로도 작동] 여름이 되면 더욱 생각나는 강과 바다. 우리에게 시원한 풍경을 선사할 뿐만 아니라, 전기 에너지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는 ‘착한’ 에너지원이다. 그동안 전기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선 이처럼 대량의 물 2022-06-13388 연구성과 IT융합‧전자‧기계 김철홍 교수팀, 빛 이용해 ‘두근두근’ 뛰는 손가락 혈관 본다 [POSTECH·삼성종합기술원 공동연구팀, 광혈류측정기·광음향현미경 결합 시스템 개발] [“맥파 신호 변화에 따른 혈관 이미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손목에 차기만 해도 우리의 건강 상태를 수시로 알려주는 스마트워치. 이 스마트워치는 빛을 이용해 측정한 맥파 신호를 바탕으로 심박수를 알려준다. 이때 심박수의 변화는 수치로만 확인할 수 있다는 한계가 2022-06-09233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IT융합 장진아 교수팀, “통증은 이제 그만”…인공 조직으로 어깨 되살린다 [POSTECH·美 하버드의대 공동연구팀, 파열된 회전근개 회복 위한 복합 조직 플랫폼 개발] 하루 종일 책상 앞에서 일하는 대부분의 직장인은 몸 이곳저곳이 쑤시기 마련이다. 특히 과거에 주로 나이가 많은 사람들이 겪던 어깨 통증은 최근 젊은 사람들에게서도 적잖게 나타나고 있다. 어깨에 통증이 생기면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기 어려워 옷을 갈아입기조차 힘들어진 2022-06-02438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빛과 소리만으로 용액 위에서 ‘미로’ 찾을 수 있다 [POSTECH·IBS 연구팀, 빛·소리에 의해 화학반응 조절하는 기술 개발] [“색깔로 패턴 시각화…복잡한 길 따라 물체 움직일 수도 있어”] 물 위에 검은콩 하나가 떠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콩은 일정한 규칙 없이 그저 물 위를 둥둥 떠다닐 것이다. 그런데 이 콩과 같이 액체 위에 떠 있는 작은 물체를 빛과 소리만으로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는 기술이 2022-05-311,127 연구성과 산경 정우성 교수팀, 출판사도 한통속?…부실 학술지 인용 ‘뻥튀기’ 잡았다 [POSTECH·숭실대·KISTI 공동연구팀, 논문 4천만 건 분석해 출판사의 인용 카르텔 최초로 밝혀] 혼자 하는 것보다 함께 하는 것이 쉽다. 좋은 일뿐 아니라 나쁜 일도 그렇다. 최근 돈만 내면 수준에 부합하지 않는 논문도 출판해주는 부실 학술지 논란이 일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피인용지수가 높은 논문은 모두 우수 논문으로 인식되는 오해를 악용해, 부 2022-05-301,353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절단된 신경, 빛과 홍합이 바로 이어 붙여 재생한다 [POSTECH·이화여대·가톨릭의대 공동연구팀, 홍합접착단백질 기반의 신경재생용 광(光)가교 하이드로젤 의료접착제 개발] [무봉합 신경문합술로 신경재생 효과 ‘쑥쑥’] 절단된 신경을 수술용 봉합실 없이 바로 이어붙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홍합접착단백질을 이용한 이 기술은 의료진의 시간적 부담을 덜 뿐만 아니라, 봉합실에 의한 환자의 2차 손상을 막을 수 2022-05-26480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앙버터’처럼 시너지 효과 내는 촉매로 수소 ‘더 많이’ 만든다 [이인수 교수팀, 철·니켈 이중층 수산화물 표면에 납작한 백금 더한 촉매 개발] [수소 생산 효율↑…기존 촉매보다 활성 11.2배 높여] 버터와 팥을 납작하게 겹친 앙버터는 버터의 부드러움과 팥의 달콤함이 더해져 새로운 맛을 낸다. 수소를 만들어내는 촉매 또한 서로 다른 물질을 ‘앙버터’처럼 겹쳐 만들면 각각의 장점으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때 철 2022-05-25430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화공 김영기·전자 김욱성 교수팀, 머리카락 세 가닥 위에서 오색찬란한 이미지 펼쳐진다 [연구팀, 얇은 두께에서도 선명한 이미지 볼 수 있는 메타표면 컬러필터 개발] [스마트폰(500PPI)의 120~170배 달하는 해상도(60,000~85,000PPI) 기록] 머리카락 세 가닥에 불과한 아주 얇은 두께에서 사진처럼 선명한 컬러 이미지를 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연구팀은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물질인 ‘메타표면’으로 고성능 스마트폰의 120 2022-05-24273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 교수팀-신소재 정운룡 교수팀, “정전기는 당신의 움직임을 알고 있다” [김진곤·정운룡 교수팀, 고분자와 자외선 이용해 정전기 촉각 센서 개발] [“단 하나의 전극으로 다양한 신체 움직임 감지해”] 예기치 못하게 나타나 더 따갑게 느껴지는 정전기. 불청객으로 느껴지는 이 정전기도 쓸모가 있다. 신체의 움직임으로 전기적 신호를 만들어내는 정전기 소자(Triboelectric nanoagenerator, TENG)*1가 전력 공급 2022-05-23382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