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소리와 빛으로 진단하다” 광음향 영상 기술 총망라 [김철홍 교수팀, 의료 영상의 미래를 변화시킬 핵심 기술 광음향 영상 리뷰 논문 보고] 전자전기공학과 · IT융합공학과 · 기계공학과 · 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전자전기공학과 박정우 박사후연구원(現 경북대 의생명융합공학과 교수), 인공지능연구원 최성욱 박사후연구원(現 미국 스탠포드대 박사) 연구팀이 최근 독일 에를랑겐대 병원(University Hospi 2024-10-15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팀, 인공지능이 깬 메타표면의 한계 [노준석 교수팀, 메타홀로그램 세계 최대 정보량 구현] [단일 메타표면에서 다색 홀로그램 최대 9개까지, 단색 홀로그램 최대 18개 이미지 인코딩 성공] ‘역설계’란 데이터 학습을 통해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물질이나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설계를 새롭게 디자인하는 것이다. 최근 공개된 Chat GPT(챗 지피티)는 인공지능을 통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 2023-03-30925 연구성과 신소재 오승수 교수팀, 원하는 대로 척척… DNA·단백질도 3D 프린팅하는 시대 [오승수 교수팀, 세계 최초 3차원 나노 해상도 프린팅 핵심 기술 개발] 3D 프린터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3D 프린터로 건축물을 만들기도 하고, 인공장기를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미세 영역으로 들어가는 경우, 생체 고분자(DNA, 단백질, 효소)들은 각각 고유한 구조와 성질을 갖고 있어 이를 인위적으로 제어하기 어렵다. 과연 미 2023-03-29683 연구성과 물리 박경덕 교수팀, 뜨거운 침 한 방으로 트랜스포머 반도체입자 만든다 [박경덕 교수팀, 이종접합 2차원반도체의 준입자를 능동제어하는 나노현미경 개발] 영화 <스파이더맨>의 슈트처럼 얇고 부드러우면서도 다양한 전기적‧광학적 기능을 갖춘 웨어러블 기기는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이를 위해서는 기존 성능 한계를 훨씬 넘어서는 새로운 소재를 구현하는 것은 물론, 이 소재의 물리적 특성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원천기술을 확보해 2023-03-28596 연구성과 화학 장영태 교수팀, 암, 이제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다 [POSTECH·싱가포르 A*STAR 공동 연구팀, TiY의 종양줄기세포 염색 효과에 이어 치료 효과 입증] ‘암’은 더 이상 불치병이 아니다. 그러나 작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1년 우리나라 사망자의 사망원인 1위는 바로 ‘암’이다. 여전히 우리는 ‘암’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암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빠른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매우 2023-03-271,178 연구성과 물리 임지순 교수팀, 이산화탄소와 유해가스 골라 먹는 다공성 물질 개발 [OSTECH 연구팀, 저밀도 기둥구조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화합물] POSTECH 연구팀이 이산화탄소와 각종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다공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화합물 합성에 성공했다. 물리학과 임지순 교수와 화학공학과 조길원, 박석환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이 물질(SPOIC, Sparsely Pillared Organic-Inorganic 2023-03-24997 연구성과 화학 최창혁 교수팀, 연료전지 백금 촉매의 수명연장 실마리 찾아 [최창혁 교수팀, 백금 부식 완화를 통한 연료전지 내구성 향상 전략 제시] 백금은 견고하고 아름다운 백색의 금속으로, 부식이 잘되지 않아 장신구에 널리 사용되는 최고의 귀금속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신구로서의 사용은 전체의 30%에 불과하며, 대부분은 다양한 산업에 걸쳐 화학 촉매로서 주로 활용된다. 특히, 백금은 수소경제 사회의 핵심으로 여겨지는 연료전지 2023-03-23843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장진아 교수팀, 약물 독성 미리 알아보는 인공신장 개발 [조동우·장진아 교수팀, 동축 세포 프린팅 기반 인간 사구체 모델 개발] 신장은 체내 대사 과정에서 생긴 노폐물 등 생체에 유독하고 불필요한 물질을 소변으로 배설함으로써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관이다. 하지만, 약물에 대한 독성을 가장 먼저 일으키는 기관이기도 한데, POSTECH 연구팀이 약물 반응을 미리 관찰할 수 있는 ‘인공신장’을 개발했다. 2023-03-22578 연구성과 생명 장지원 교수, 인간 만능줄기세포 분화의 핵심 기전 규명 [POSTECH-UCSB 공동연구팀, 인간 만능줄기세포의 역분화 막는 분자 장벽 ‘ZBTB12’ 발견] 인간 만능줄기세포는 분화를 통해 다양한 체세포를 만들어낸다. 만능줄기세포의 분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생명 활동의 기초원리를 밝히는 것뿐만 아니라 질병의 치료법을 찾는 데도 매우 중요하다.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연구팀이 미국 2023-03-21876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주행거리 10배 이상 늘리는 배터리 나온다 [POSTECH-서강대 공동연구팀, 층상 전하 고분자를 통한 안정한 고용량 음극활물질 개발] 2022년 전 세계 전기차 매출이 누적 1조 달러(약 1,283조 원)를 돌파했다. 국내 판매량도 10.8만 대를 넘어서는 등 전기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에 따라 주행거리를 늘리는 고용량 배터리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 POSTECH과 서 2023-03-201,055 연구성과 화학 장영태 교수팀, 암 진행 돕는 ‘얄미운’ 대식세포만 골라 염색한다 [장영태 교수팀, 수송 지향 세포 식별을 통한 M2 대식세포 형광 프로브 개발] M1, M2는 대표적인 대식세포(大食細胞)로 세균 등을 잡아 소화해 면역정보를 림프구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서로 반대의 성격을 가진다. M1은 세균을 집어삼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암을 공격하지만, M2는 활성된 면역반응을 가라앉히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암 진행을 돕는 것 2023-03-19588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