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POSTECH, 포항의 ‘이적’을 위한 ‘기적’같은 특강 진행 [문명시민교육원 · 박혜란 작가, ‘좋은 부모가 된다는 것’ 특강] 나라마다 육아 방식이 다르고, 세대마다 육아 방식이 다르다. 어떤 문화권에서는 통용되는 부모의 훈육 방식이 또 다른 문화권에서는 외면을(손가락질을) 받을 수도 있다. 과연 어떤 부모가 ‘좋은 부모’일까? 어떻게 해야 ‘좋은 부모’가 될 수 있을까? 문명시민교육원은 4월 1일 ‘좋은 부모가 2023-03-28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투명망토’ 소재로 카이랄 물질 신호 ‘쑥’ 높인다 [POSTECH·서울대·독일 파더본대 공동연구팀, 인공 카이랄 메타물질 통해 비선형 신호 증대] [카이랄 물질 신호 증폭해 거울 대칭성 활용 가능성 높여] 왼손을 거울에 비추면 오른손처럼 보이지만 왼손용 고무장갑을 오른손에 낄 수는 없다. 이처럼 어떤 물체와 그 물체의 거울 이미지가 겹치지 않는 성질을 카이랄리티(Chirality, 거울 대칭성)라고 한다. 2022-04-11450 연구성과 기계 김기현 교수팀, 결막 술잔세포, 손상부터 회복까지 영상 추적한다 [POSTECH‧서울대병원‧을지대병원 공동연구팀, 살아있는 토끼 눈에서 비침습 결막 술잔세포 검사 성공] 국내 연구진이 사람과 비슷한 토끼의 결막 술잔세포를 영상으로 검사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안구건조증 토끼 모델에서 손상부터 회복까지를 추적한 이 연구성과는 향후 사람의 안구건조증 진단‧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기계공학과 김기현 교수‧통합과정 김 2022-04-07324 대학소식 수학 오용근 교수, 호암상 수상자로 선정 [사교기하학·사교위상수학 선도 연구자로서 과학상 물리·수학부문서 수상] 수학과 오용근 교수(61, IBS 기하학수리물리연구단 단장)가 호암재단으로부터 2022 삼성호암상 과학상 물리·수학 부문 수상자로 6일 선정됐다. 미국 UC버클리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미국 위스콘신대를 거친 오 교수는 2013년 POSTECH에 부임했다. 그는 사교(斜交)기하학과 사교위 2022-04-06919 대학소식 국내 대학 최초 ‘e스포츠 콜로세움’ POSTECH서 선보여 [e스포츠펍서 전 세계 대학 5만 명과 두뇌싸움 겨뤄] [MZ세대 문화 반영한 ‘어뮤즈먼트 POSTECH’ 프로젝트 실현…우리은행 지원으로 날개 달아] POSTECH이 국내 대학 최초로 전세계 대학생들과 e스포츠(e-Sports)로 겨루는 콜로세움을 세웠다. e스포츠 콜로세움은 스포츠 경기를 관전하며, 가볍게 식사할 수 있는 스포츠펍(Sports pub) 2022-04-061,335 대학소식 POSTECH, 2022 포항강소연구개발특구 이노폴리스캠퍼스 참가자 모집 [24일까지 모집…예비창업자·초기 창업기업 전주기 지원] 산학협력단(단장 김상우 교수)이 포항강소연구개발특구 이노폴리스캠퍼스 사업에 참여할 예비창업자를 이달 24일까지 모집한다. 이노폴리스캠퍼스 사업은 창의적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보유한 (예비)창업자를 발굴해 실전 창업 교육부터, 아이디어 고도화와 검증, 시제품 제작 지원, 법인 설립 및 투자 유치 연계에 2022-04-05181 연구성과 화공 정대성 교수팀, OPD 광센서에 분자 더해 강한 빛에서도 물체 감지한다 [정대성 교수팀, 분자 스위치 합성해 OPD 성능 높여] 작은 분자를 더함으로써 유기 포토다이오드(organic photodiode, 이하 OPD)가 강한 빛에서도 물체를 감지하도록 한 기술이 개발됐다. OPD는 빛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해, 색과 밝기를 감지하는 광센서다. 다만 태양과 같이 강한 빛을 받으면 물체를 쉽게 감지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 2022-04-05288 대학소식 철강·에너지소재 강윤배 교수, 일본 ‘ISIJ International’ 부편집장 임명 [일본 학위·경력 전무한 외국인으로서는 ‘최초’…4월부터 4년간 활동]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강윤배 교수(46)가 일본철강협회(ISIJ, The Iron and Steel Institute of Japan)의 국제학술지 ‘ISIJ International’의 부편집장(Associate Editor)으로 최근 임명됐다. ISIJ International은 세 2022-04-04144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스마트 렌즈로 ‘실시간’ 연속혈당 측정한다 [한세광 교수팀, 스마트 콘택트렌즈 연구자 임상시험 성공] [바이메탈 나노입자 충진 다공성 수화젤로 고민감도 당센서 구현] 구글렌즈로 알려진 눈물 속의 당을 분석해 당뇨병을 진단하는 콘택트렌즈 기술이 이미 화제가 된 바 있었지만, 당센서의 민감도가 낮아서 혈당(血糖)과 누당(淚糖)의 상관관계가 검증되지 않아 임상시험이 중단되었는데, 최근 국내 연구진에 의해 2022-04-04510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홍합, ‘이것’ 때문에 물속에서도 접착력 유지한다 [차형준 교수팀, “표면접착력 잃은 단백질에 홍합 속 ‘시스테인’ 단백질 더하면 접착력↑”] [기존 수중접착소재에 더하면 접착력 향상 ‘기대’] 화장실 벽에 접착식 칫솔꽂이를 잘못 붙이면, 얼마 지나지 않아 바닥으로 떨어지고 만다. 화장실에 있는 수분이 표면 접착력을 떨어지게 만들기 때문이다. 반대로, 홍합은 물속 한가운데서도 바위에 단단히 붙어 ‘질긴’ 2022-03-31295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치매의 적’ 단백질 응고, 인공세포로 샅샅이 파헤친다 [IBS‧POSTECH·대구가톨릭대 연구팀, 인공세포 이용해 세포 내 단백질 응고 생성·전파 과정 밝혀] 현대 의학이 발전을 거듭해왔지만, 아직까지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는 질병이 있다. ‘치매’라고도 불리는 알츠하이머병이 그것인데, 단백질의 응고가 질병을 일으키는 이유 중 하나로 알려졌을 뿐 정확한 진행 과정을 알기는 어려웠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인공 2022-03-30393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