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글로벌 반도체 리더를 육성하라” POSTECH 반도체공학과 개소식 개최 POSTECH 반도체공학과 개소식이 지난 15일 진행됐다. 개소식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백인규 포항시의회 의장, 김병욱 포항시 국회의원, 최혁준 경상북도 메타버스과학국장, 김선식 삼성전자 부사장, 김성근 총장, 이병훈 반도체공학과 주임교수 등이 참석했다. 반도체 소자 · 재료와 공정, 회로설계 등 반도체 전 분야에 걸쳐 특화된 교육을 제공하는 반도체공학과는 2023-09-21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보도자료]POSTECH, 이병석 국회의원 초청 특강 이병석 국회 국토해양위원장(58)이 27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을 방문하여 특별강연을 갖는다. ‘환동해시대의 중심 도시, 포항의 도전과 과제’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특강은27일 오후 12시부터 POSTECH 지능로봇연구소 강당에서 열린다. 이 위원장은 특강을 통해 환동해시대를 선도하는 거점도시로서의 포항의 역할과 그 중요성에 대해 강조한다. 특히 동해안권 신재생 에너지 클러스터 형성과 동해안 해양자원 R&D 거점 구축 등 지역 특화 산업의 발전과 나아갈 방향에 … 더 보기 "[보도자료]POSTECH, 이병석 국회의원 초청 특강" 2009-08-27875 대학소식 [보도자료]금원기업 김진홍 사장, POSTECH에 발전기금 출연 고 이원국 사장 약정한 연산석학기금 10억원 중 부족분 자신이 부담 25일 POSTECH에서 기금 1억5,000만원 전달식 가져 “제 인생의 스승이신 고 이원국 사장님의 뜻을 따르고 싶었습니다. POSTECH과의 기금 출연 약속을 제가 이행할 수 있어서, 가신 분의 은혜에 보답했을 뿐만 아니라 저 개인에게도 큰 영광입니다.” 한 기업인이 자신이 근무했던 직장 사장이 고인이 되면서 마저 이행치 못한 … 더 보기 "[보도자료]금원기업 김진홍 사장, POSTECH에 발전기금 출연" 2009-08-241,029 대학소식 [보도자료]울진군의회 의원 POSTECH 방문 울진군의회 장덕중 의장, 김용수 부의장 등 의원 8명과 울진군의회⋅군청 관계자들은 20일 오전 POSTECH을 방문, 이 대학 대회의실에서 백성기 총장을 비롯한 주요 보직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울진군과 POSTECH의 공동 발전전략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울진군과 POSTECH은 울진군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POSTECH 해양대학원을 울진에 설립하는 등 상호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이 자리에서는 성공적인 해양대학원 설립 추진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 것을 … 더 보기 "[보도자료]울진군의회 의원 POSTECH 방문" 2009-08-24848 연구성과 POSTECH 박사과정생, 생체 회로의 주기성 조절 원리 규명 (2008.7.3) 7월 4일자, 사이언스(Science)지 인터넷판 게재 심장 박동, 세포 주기, 생체 시계와 같은 주기성을 가지는 생체 회로의 조절 원리가 국내 과학자가 참여한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이 지원하고 있는 국가핵심연구센터사업(NCRC)를 수행하는 POSTECH 시스템생명공학부 박사과정 최윤섭(25세)씨는 스탠퍼드 대학과의 공동 연구에서 유전자 혹은 단백질들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생체 회로의 주기성 조절 원리를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 … 더 보기 "POSTECH 박사과정생, 생체 회로의 주기성 조절 원리 규명 (2008.7.3)" 2009-08-181,132 연구성과 배아줄기세포의 다분화능력 유지하는 ‘보이지 않는 손’ 찾았다 (2008.7.7) POSTECH 한진관 교수팀 밝혀내, “Rap2 유전자가 Nodal 신호전달계 관여”척추동물의 등ㆍ배 구조형성에 대한 새모델 제시장기 위치 기형, 암 치료에 새로운 기반 마련 환경에 따라 특정한 기능을 지닌 세포로 분화하는 배아줄기세포의 ‘다분화능력(pluripotency)’을 유지시키는 신호의 조절에 관여하는 ‘보이지 않는 손’의 움직임이 최초로 규명됐다. 생명과학과 한진관 교수팀은 척추동물의 등-배(dorsal -ventral) 구조 형성을 제어하는 액티빈/노들(Activin/Nodal) 신호 조절 기작에 Rap2 GTPase라는 … 더 보기 "배아줄기세포의 다분화능력 유지하는 ‘보이지 않는 손’ 찾았다 (2008.7.7)" 2009-08-18907 연구성과 물리학 통해 췌장염 ‘소방관’ 찾았다 (2008.7.23) POSTECH-미국 공동연구팀, 물리학적 방법 활용해 췌장염 완화하는 물질 분비 메커니즘 규명미국 생화학 학회지 최신호 통해 발표 … 췌장염 치료 전기 마련 췌장 속 염증이 생겼을 때 염증을 완화하는 뮤신(mucin) 단백질을 분비하도록 하는 ‘소방관’ 수용체의 메커니즘이 생물물리학적 방법을 통해 밝혀졌다. 물리학과 김승환 교수ㆍ김민환 박사팀은 미국 워싱턴대 의대 고득수ㆍ버틸 힐레(Bertil Hille)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세포 내 … 더 보기 "물리학 통해 췌장염 ‘소방관’ 찾았다 (2008.7.23)" 2009-08-181,020 연구성과 초고밀도 나노막대를 이용한 고효율 고분자 태양전지 ‘길 연다’ (2008.7.24) 韓ㆍ美 공동연구팀 고분자태양전지 활용되는 전도성 고분자 나노막대 제조기존의 필름 구조를 나노막대 구조로 대체 … 태양전지 효율 높일 듯 옷에 넣을 수 있는 소형이나 수첩, 핸드백 등에 부착하는 휴대용으로 개발할 수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는 고분자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화학공학과 블록공중합체자기조립단 김진곤 교수와 박사과정 이정인씨 연구팀은 POSTECH 박수문 교수(화학),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재웅 박사, … 더 보기 "초고밀도 나노막대를 이용한 고효율 고분자 태양전지 ‘길 연다’ (2008.7.24)" 2009-08-181,477 연구성과 생명과학과 남홍길 교수, 세계 3대 과학 저널 ‘그랜드슬램’ (2008.10.23) 이번 네이처지 연구 성과 게재로 3대 저널 차례로 발표하는 쾌거 거둬 식물 개화ㆍ눈동자 유전자 등 규명하면서 식물 연구에 세계적 입지 굳혀 POSTECH 남홍길 교수팀이 세계 3대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셀(Cell), 네이처(Nature)에 차례로 연구 성과를 발표하면서 ‘그랜드 슬램’을 달성하였다. POSTECH은 생명과학과 남홍길 교수 연구팀이, 영국 레스터대 트웰(Twell) 교수팀과 경북대 오성앵 박사와 공동으로 진행한 ‘속씨식물의 중복수정을 위한 … 더 보기 "생명과학과 남홍길 교수, 세계 3대 과학 저널 ‘그랜드슬램’ (2008.10.23)" 2009-08-181,913 연구성과 화학과 정성기 교수팀, 혈뇌장벽 투과할 수 있는 약물전달기술 개발 (2009.6.22) 뇌에 침투한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 화학과 정성기 교수팀이 생체기능조절물질개발사업단(단장 유성은)과 BK21사업(POSTECH 분자과학사업단 주관) 지원으로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 : BBB)을 투과할 수 있는 약물전달체를 개발했다. 정성기 교수팀은 “소르비톨이라는 약물전달체를 이용하여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증식을 억제하는 대표적 약물인 AZT (azidothymidine;지도부딘)를 생쥐의 혈뇌장벽을 투과하여 뇌조직으로 전달하는 데 성공하였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화학회에서 발간하는 화학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Chemical Communications“의 인터넷판(advance article, … 더 보기 "화학과 정성기 교수팀, 혈뇌장벽 투과할 수 있는 약물전달기술 개발 (2009.6.22)" 2009-08-181,375 연구성과 한-미 공동연구팀, 의식·무의식 판단 기준, 물리학적 방법으로 제시 (2008.12.2) POSTECH-美 미시건의대 공동연구팀마취와 의식 메커니즘 물리학적으로 풀어내 마취제ㆍ진정제 효과 측정에 활용 /‘대리표지자’개발 활용 기대 공포영화의 소재로 활용되어 온 ‘수술 중 각성(intraoperative awareness)’을 방지할 수 있는 길이 물리학과 의학의 학제간 연구를 통해 열렸다. POSTECH 김승환 교수팀, 이운철 미국 미시건의대 연구원(POSTECH 박사), 서울 아산병원 노규정 교수 공동연구팀은 마취를 통한 의식의 소실과 회복 메커니즘을 뇌파분석을 통해 정량적으로 처음 … 더 보기 "한-미 공동연구팀, 의식·무의식 판단 기준, 물리학적 방법으로 제시 (2008.12.2)" 2009-08-1898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12122132142152162172182192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