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POSTECH-건국대, ‘각막궤양’ 각막 이식 없이 빛으로 꽉 채워 치료한다 [POSTECH 조동우, 장진아‧건국대 김준영 교수팀, 각막재건 위한 세포외기질 기반 점착성 실란트 개발] 콘택트렌즈는 우리나라 인구의 약 10%(5~600만명, 대한안과학회 통계)가 사용하는 대중적인 시력 교정기구다. 콘택트렌즈 사용자가 흔히 저지르는 실수가 바로 렌즈를 낀 상태에서 잠을 자는 행위인데, 이는 눈 각막 상피의 저항력을 약화시켜 감염을 일으 2023-01-19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가혹한 온도 변화에도 살아남는’ 안정한 고활성 촉매 나왔다 [고안정성·고활성 CO산화용 세륨산화물 촉매 설계] 자동차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에서 환경 보존 및 생성물의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 촉매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특히, 자동차 정화장치의 경우에는 빈번하게 고온과 저온에 반복적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촉매 물질이 초기에는 높은 활성을 갖더라도 이러한 온도변화에 대해 낮은 안정성을 보인다면 산업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2020-12-22588 연구성과 생명 신근유 교수팀, 인체장기 완벽 재현한 조립형 ‘미니장기’ 나왔다 [POSTECH–-서울대병원 연구팀, Nature지에 신개념 어셈블로이드 발표] 줄기세포를 시험관에서 키워 사람의 장기 구조와 같은 조직을 구현한 것을 ‘오가노이드(organoid)’라고 한다. 흔히 ‘미니 장기’ 또는 ‘유사 장기’라고 한다. 인체 장기의 구조와 기능을 재현할 수 있어 인공장기를 만들거나 신약 개발을 위한 차세대 기술로 꼽힌다. 최근 국내 2020-12-173,431 연구성과 화학 류순민 교수팀, 2차원 물질로 ‘2배 강한 빛’ 제어한다 [2차원 접합체에서 일어나는 2차 조화파 간섭 규명] 최초의 레이저인 루비(ruby) 레이저가 1960년에 발명된 이후로 빛을 제어하려는 인간의 욕망은 통신, 의료, GPS, 광센서, 광컴퓨터 등 다양한 산업으로 뻗어나가고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2차원 물질로 구성된 이종접합체에서 일어나는 비선형 광학 현상을 규명함으로써 빛을 제어하려는 목표에 2020-12-15615 연구성과 신소재 조문호 교수팀, 빛으로 결함 제어해 2차원 반도체 도핑한다 [파장 따라 가시광선에서는 p형, 자외선에서는 n형으로 … 2차원 ‘카멜레온 반도체’ 구현] 2차원 반도체*1 물질을 빛만으로 도핑*2할 수 있게 됐다. 기초과학연구원 (IBS, 원장 노도영)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 (단장 염한웅) 조문호 부연구단장 (신소재공학과 무은재 석좌교수) 연구팀은 2차원 반도체 물질을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이용해 도핑할 2020-12-15971 연구성과 물리 이현우 교수팀, 전원 꺼져도 안 지워지는 고속 메모리 가능해진다 [POSTECH-서울대 공동연구팀, 고속 메모리의 에너지 효율 문제 해결 방안 발견] 개인용 컴퓨터에 들어 있는 SRAM, DRAM은 높은 속도로 동작이 가능하지만 전원이 꺼지는 순간 모든 정보를 잃어버린다. 반면, 전원이 꺼져도 정보가 유지되는 정보저장 장치들은 동작 속도가 느리다. 이런 장치들 중 비교적 빨라서 각광 받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도, 핵 2020-12-08822 연구성과 창의IT 박성민 교수팀, 이제 고혈압 치료도 복강경 수술로! [POSTECH-서울대병원 공동연구팀, 복강경 신장신경차단술 개발] 고혈압은 만성적으로 동맥의 혈압이 올라간 상태를 말한다. 최고혈압 140, 최저혈압 90을 넘기면 고혈압이라고 진단하는데,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갑작스럽게 사망하는 경우가 많아 ‘조용한 살인자’라고 불린다. 더욱이 고혈압 환자 중 약 10%는 약물치료로도 혈압이 조절되지 않아 현재까 2020-12-01652 연구성과 융합생명 김경태 교수팀, 뇌 질환 치료 가능해진다! [뇌발달 및 퇴행성 뇌질환 핵심 분자의 국소발현 조절기작 밝혀] 치매, 자폐증, 조현병과 같은 뇌 신경질환은 이제 질병을 넘어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이들 질병이 발병하는 명확한 이유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상황이다.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연구팀은 이 같은 뇌 신경질환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해 뇌 질환 치 2020-11-24849 연구성과 POSTECH, 연구의 고정관념 뒤집다…Science 논문 2편 게재 – 화학과 김경환 교수, 물 연구 근본 바꾸는 가설 실험으로 입증 – 신소재공학과 정운룡 교수, 이온 전도체 활용 ‘인공 피부’ 개발 POSTECH 연구 성과 2건이 20일(현지시각)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최신호에 동시 게재됐다. 이전에 없던 연구를 개척하며 만들어낸 성과다. 특히 기초와 응용 분야에 2020-11-233,014 연구성과 신소재 정운룡 교수팀, 보다 실제 피부처럼 “느낄 줄 아는” 전자피부 나왔다 – POSTECH-스탠포드 공동연구팀, 온도-기계 자극 구분하는 ‘다기능성이온-전자피부’ 개발 -다양한 움직임 측정 가능…휴머노이드 피부, 온도센서 등 다양한 분야 활용 우리에게 만약 피부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촉각도, 추위도, 통증도, 느낄 수 없어 브레이크가 없는 차처럼 어떤 상황에서도 전혀 대응할 수 없게 된다. 피부는 단순히 장기를 보호 2020-11-23901 연구성과 화학 김경환 교수팀, ‘존재한 적 없던’ -70℃의 “물” 찰나(刹那)의빛으로 보다 – POSTECH-스톡홀름대 공동연구팀, 4세대방사광가속기로 과냉각물 실험적 관측 성공 – 영하 70℃물로 ‘무거운 물’-‘가벼운 물’로 상변이 과정 관측…학부생 참여 ‘눈길’ 생명의 탄생과 유지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지구 생명체에게 필수적인 존재, 물은 아직도 신비에 싸인 존재다. 영하 20도에 달하는 한파 속, 강 표면은 얼어붙어도 2020-11-23727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