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글로벌 반도체 리더를 육성하라” POSTECH 반도체공학과 개소식 개최 POSTECH 반도체공학과 개소식이 지난 15일 진행됐다. 개소식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백인규 포항시의회 의장, 김병욱 포항시 국회의원, 최혁준 경상북도 메타버스과학국장, 김선식 삼성전자 부사장, 김성근 총장, 이병훈 반도체공학과 주임교수 등이 참석했다. 반도체 소자 · 재료와 공정, 회로설계 등 반도체 전 분야에 걸쳐 특화된 교육을 제공하는 반도체공학과는 2023-09-21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신소재 손준우 교수팀, ‘징검다리’ 놓아 저전력 반도체 소자 실현한다 [손준우 교수팀, 반도체 소자 속에 백금 나노 입자 ‘쏙‘…소비전력 절반 ‘뚝’] [메모리 효과 ‘100만 배’ 연장…차세대 저전력 소자 활용 기대] 청계천에 가면 징검다리를 건너는 시민들을 흔히 볼 수 있다. 하천 양쪽의 길을 잇는 징검다리만 있으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단 몇 걸음 만에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반도체 소자 속에도 이처럼 ‘징검다리’를 2022-08-23452 대학소식 POSTECH 영재기업인교육원, 차세대 기업인재 모집한다 [이달 말부터 내달까지 전국 중학생 대상 2023학년도 신입생 모집] 영재기업인교육원이 2023학년도 신입생 (14기) 모집을 앞두고 있다. 이달 말부터 내달까지 차세대 기업인으로 거듭날 전국의 중학생 80명을 모집할 예정이다. 영재기업인교육원은 기업가적 잠재성을 지닌 영재를 선발해 대한민국을 이끌어 갈 지식재산 기반의 미래 기업인으로 육성하기 위해 200 2022-08-22857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거울 대칭 구조’로 저주파 소음 싹 잡는다 [노준석·이안나 교수팀, 카이랄 구조 이용해 저주파 진동 줄이는 방법 개발] ‘위잉위잉’ 울리는 저주파 진동. 큰 소리가 나지 않아 쉽게 느끼지 못할 수도 있지만, 한 번 인지하면 그 괴로움은 이루 말할 수 없다. 특히나 최근에는 층간소음과 같은 저주파 진동을 지속적으로 들으면서 정신적인 피해를 호소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2022-08-22464 연구성과 IT융합·기계 장진아 교수팀, ‘더 크게, 더 진짜같이’…인공장기의 미래는? [장진아 교수팀, 3D 바이오프린팅 활용 인공장기 제작법 집대성] 3D 프린터로 ‘생생하게’ 움직이는 우리 몸속 장기를 만드는 기술은 어디까지 왔을까? 최근, 살아 있는 세포가 들어있는 바이오잉크로 인공조직을 만들어내는 바이오프린팅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인공조직을 조립하는 방법에 따라 더 큰 조직이나 인공장기를 만들 수 있어, 맞춤형 치료의 새로운 2022-08-19660 대학소식 POSTECH 학생들, 한국은행 통화정책 경시대회 동상 [산경 박용헌·채민주, 수학 김아라, 무은재 장윤우 씨 등 MP러닝 팀 전국결선대회서 수상] POSTECH 학생들로 구성된 ‘MP러닝’팀이 한국은행이 최근 개최한 ‘2022 통화정책 경시대회’ 전국결선대회에서 동상을 수상했다. MP러닝팀은 산업경영공학과 박용헌·채민주 씨, 수학과 김아라 씨, 무은재학부 장윤우 씨 등 4명의 학부생으로 이뤄졌다. 지난달 열린 2022-08-17556 대학소식 “Made in 공대”…POSTECH SF 어워드 수상작품집 출간 [1·2회 어워드 수상작 비롯해 총 11편 수록…온라인 서점 판매] ‘제1·2회 POSTECH SF 어워드’의 수상작품집이 최근 출간됐다. POSTECH SF 어워드는 소통과 공론 연구소(소장 김민정)가 주관하는 국내 유일의 이공계 대학(원)생 대상 SF 공모전이다. 수상작품집에는 제1회 단편소설 당선작 <어떤 사람의 연속성>(이하진), 미니픽션 2022-08-17311 연구성과 물리 박경덕 교수팀, 단일분자에 ‘이불 덮어’ 생명의 기원 밝힐 실마리 찾았다 [POSTECH·UNIST 공동연구팀, 세계 최초로 상온에서 1나노미터 단일분자 자세 변화 관측 성공] [“향후 난치병 원인·치료법 개발 연구에 적용 기대”] 약 1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크기의 단일분자는 상온에서 매우 불안정하게 존재한다. 약 100nm 크기의 코로나바이러스가 공기 중에 빠르게 확산되는 것을 생각하면 단일분자 관측이 얼마나 어려 2022-08-17514 대학소식 POSTECH, ‘2022년 ATE 가속기 여름학교’ 성료 POSTECH이 ‘2022 ATE(Accelerator Technology Expert) 가속기 여름학교’를 최근 성료했다. 가속기 분야 최정예 인력양성을 목표로 첫발을 뗀 ATE 가속기 여름학교는 포항가속기연구소 과학관에서 지난 8일부터 12일까지 5일간 진행됐다. POSTECH을 비롯해 6개 공동연구대(UNIST, GIST, 부산대, 서울대, 조선대, 2022-08-16301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세포’처럼 촉매 반응도 정밀하게 조절한다 [이인수 교수팀, 자기 물질 촉매와 플라즈몬 촉매 합친 나노반응기 개발] [“단계별 촉매 반응을 원격으로 조절…95% 수율의 시남알데하이드 생성”] 우리가 가만히 있을 때도 몸속 세포는 쉴 새 없이 움직이고 있다. 세포에서는 다양한 화학반응이 잇달아 일어나는데, 반응의 각 단계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조절되면서 생명이 유지된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이러한 2022-08-16402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어라, 들어갔나?” 얇디 얇은 렌즈로 내시경 불쾌감 확 줄인다 [한국·독일·호주 공동연구팀, 무색수차 초박막 메타렌즈와 결합한 메타 광섬유 개발] [“이미지 선명도 높이고, 부피 줄이고…내시경 불쾌감 해소 기대”] 종합건강검진을 할 때 빠질 수 없는 위 내시경 검사. 신체 내부를 관찰하기 위해선 몸속으로 카테터를 삽입해야 하는데, 이때 느껴지는 불쾌감과 통증 때문에 내시경 검사를 두려워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빛을 전 2022-08-11406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