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기존 병리학을 뛰어넘는 비표지 조직학, AI와 만나다 [김철홍 교수팀, 비표지 광음향 조직학 이용해 가상 염색·분할·분류가능 딥러닝 모델 개발] 전자전기공학과 · IT융합공학과 · 기계공학과 · 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연구팀과 가톨릭대 의과대학 서울성모병원 정찬권 교수 공동 연구팀은 인간 간암 조직검사를 위한 비표지 광(光) 음향 조직 영상 분석 인공지능(AI)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광 2024-09-03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학 최창혁 교수팀, 양이온이 길러내는 ‘산업의 쌀’ 에틸렌 [POSTECH·KAIST 공동 연구팀, “전기이중층 양이온 종류·농도가 이산화탄소 전환 성공의 핵심 열쇠”] 무색(無色)의 기체 에틸렌이 ‘산업의 쌀’이라고 불리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는 에틸렌이 플라스틱과 비닐, 합성고무 등 다양한 석유화학 물질의 원료가 되기 때문이다. 최근 석유 대신 이산화탄소로 에틸렌을 만드는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이 화제 2022-10-04782 연구성과 신소재 이종람 교수팀, ‘금속’ 괴롭히는 산화 반응 이용해 친환경 화합물 “펑펑” [POSTECH·서울대 공동연구팀, 촉매의 이종 접합 구조와 이산화탄소 환원 효율 상관관계 규명] [“접합 계면에서 생기는 응력으로 포름산 전환 효율 극대화”] 귀걸이나 목걸이를 오래 보관하다 보면 거뭇하게 색이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금속이 산소에 닿으면 일어나는 산화 반응 때문이다. 이 산화 반응은 이산화탄소(CO2)를 유용한 연료로 바꿀 때 쓰이 2022-09-291,003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1회 충전으로 ‘630km’ 달리는 ‘이 배터리’는? [POSTECH·UNIST 공동연구팀, 에너지밀도 극대화한 무(無)음극 배터리 개발…에너지 밀도 ‘40%’ 높여] 작년 한 해에만 국내 신규 등록 전기차가 ‘10만 대’를 돌파했다. 전 세계에서 이 같은 기록은 한국과 노르웨이 둘 뿐이다. 이제는 흔히 볼 수 있는 전기차의 배터리 수명과 충전 속도를 좌우하는 핵심 소재가 바로 ‘음극재’다. 국내 배터리 업계 2022-09-27735 연구성과 물리 이대수 교수팀, 1억분의 1m 위로 데이터 그리는 ‘마법의 펜’ [POSTECH·숭실대·서울대 공동연구팀, 뾰족한 탐침 ‘콕’ 찍어 나노미터 크기에 데이터 저장하는 방법 제시] [준안정 상태 물질 활용…기존 연구 대비 데이터 저장 용량 10배 높여] SNS 팔로워가 수만 명에 달하는 해외 예술가 ‘프랭크 홀젠버그(Frank Holzenburg)’는 생동감 넘치는 그림을 손톱보다 작은 크기로 그려 화제를 모았다. 종이 위 2022-09-26556 연구성과 전자 최수석 교수팀, “당신의 건강은 무슨 색?”…건강·움직임 정보 색깔로 볼 수 있을까 [최수석 교수팀, 스트레처블 광 소자의 전기 조절 색 변화 원리 최초로 밝혀] [“전류 세기에 따라 달라지는 색 정확히 표현할 수 있어… 신축성 웨어러블 기기·차세대 디스플레이에 활용 기대↑”] 모든 사람의 공통적인 바람은 ‘건강한 삶’일 것이다. 최근 웨어러블 기기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심박수뿐만 아니라 심전도 등 다양한 건강 정보와 운동 상태 확인이 가 2022-09-21650 연구성과 화공 이기라 교수팀, 흩어지는 빛에서 원하는 ‘색’만 뽑는다 [이기라 교수팀, 미(Mie) 산란 강하게 일으키는 구형 나노입자 대량 생산 기술 개발] [특정 파장의 빛만 반사…위조 방지 장치·라이다 센서에 활용 가능성 ↑] 하늘의 구름은 왜 하얗게 보일까? 우유는 왜 흰색일까? 이는 빛이 구름 속 물방울 또는 우유 속 기름방울과 만나 생기는 미 산란(Mie Scattering) 때문이다. 미 산란은 물질을 구성하는 2022-09-20672 연구성과 IT융합·기계·전자 박성민 교수팀, 스마트폰 카메라로 내 몸 건강도 ‘찰칵!’ [박성민 교수팀, 일반 카메라 센서만으로 생체 신호 정확히 측정하는 알고리즘 개발] 일상에서 즐거운 순간을 기록해주는 스마트폰의 카메라. 이 카메라로 내 몸속 건강도 들여다볼 수 있다면 어떨까? 국내 연구팀이 스마트폰의 카메라 센서로 생체 신호를 정확히 측정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별도의 센서 없이도 스마트폰만 있으면 손쉽게 혈압이나 혈관 나이를 측정하고, 2022-09-16471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팀, 몸 밖에서 ‘전이성 암’ 모사해 맞춤의료 길 연다 [POSTECH·부산대 공동연구팀, 3D 바이오프린팅 기술 이용해 혈관·림프관 포함된 인공 암 모델 개발] [“환자에게서 채취한 세포로 암 모델 제작하면 맞춤형 치료 실현할 수 있어] 한산도대첩에서 이순신 장군은 일본군과 싸워 크게 승리를 거뒀다. 이는 주변의 지리적 환경을 파악하고 적군의 경로를 예측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결과다. 우리 몸의 ‘적’인 암도 2022-09-07634 연구성과 환경 감종훈 교수팀, 한반도 가뭄의 ‘250년’ 기록을 파헤치다 [감종훈 교수팀, ‘자가교정 유효가뭄지수(scEDI)’ 개발…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의 강수량 기록 총망라해 비교·분석] [“가뭄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객관적으로 평가…향후 선제적 대응 기대”] 올해 극심한 가뭄과 폭염으로 많은 농민이 어려움을 겪었다. 사회·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일으키는 가뭄은 오늘날의 문제만은 아니다. 특히 벼농사 중심의 농업 사회였던 조 2022-09-05497 연구성과 화학 장영태 교수팀, “내 세포는 얼마나 뜨거울까?” [韓·日 공동연구팀, 세포 소기관별 온도 빛으로 볼 수 있는 형광 온도계 개발] 회사에서 팀마다 각기 다른 업무를 처리하듯이, 세포에서도 여러 소기관이 각자 맡은 역할을 쉴새 없이 해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세포 소기관의 온도가 미세하게 변화하는데,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세포 속 변화를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 최근 한국과 일본 공동연구팀이 이처럼 미 2022-09-01606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