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 류순민 교수팀, “붕어빵처럼 닮았네?” 거푸집으로 만든 2차원 유기 분자 결정 [류순민 연구팀 , 질화붕소를 사용해 2차원 유기 분자 결정의 층상구조 형성] 최근 거푸집을 사용하여 약 400여 점의 명품 귀금속을 불법으로 위조한 일당이 검거되었다. 금속을 녹인 후 명품 귀금속 모양대로 제작한 거푸집에 부어 수백 점의 가짜 명품을 탄생시킨 것이다. 이처럼 거푸집 하나면 분자 세계에서도 원하는 모양의 분자 결정을 마음껏 만들어 낼 수 있 2023-06-02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POSTECH, 연구의 고정관념 뒤집다…Science 논문 2편 게재 – 화학과 김경환 교수, 물 연구 근본 바꾸는 가설 실험으로 입증 – 신소재공학과 정운룡 교수, 이온 전도체 활용 ‘인공 피부’ 개발 POSTECH 연구 성과 2건이 20일(현지시각)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최신호에 동시 게재됐다. 이전에 없던 연구를 개척하며 만들어낸 성과다. 특히 기초와 응용 분야에 2020-11-233,093 연구성과 신소재 정운룡 교수팀, 보다 실제 피부처럼 “느낄 줄 아는” 전자피부 나왔다 – POSTECH-스탠포드 공동연구팀, 온도-기계 자극 구분하는 ‘다기능성이온-전자피부’ 개발 -다양한 움직임 측정 가능…휴머노이드 피부, 온도센서 등 다양한 분야 활용 우리에게 만약 피부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촉각도, 추위도, 통증도, 느낄 수 없어 브레이크가 없는 차처럼 어떤 상황에서도 전혀 대응할 수 없게 된다. 피부는 단순히 장기를 보호 2020-11-23976 연구성과 화학 김경환 교수팀, ‘존재한 적 없던’ -70℃의 “물” 찰나(刹那)의빛으로 보다 – POSTECH-스톡홀름대 공동연구팀, 4세대방사광가속기로 과냉각물 실험적 관측 성공 – 영하 70℃물로 ‘무거운 물’-‘가벼운 물’로 상변이 과정 관측…학부생 참여 ‘눈길’ 생명의 탄생과 유지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지구 생명체에게 필수적인 존재, 물은 아직도 신비에 싸인 존재다. 영하 20도에 달하는 한파 속, 강 표면은 얼어붙어도 2020-11-23787 연구성과 화공 김원배 교수 공동연구팀, “산소 빈자리“ 많을수록 온실가스 전환 잘 된다 [망간산화물 촉매의 CO2 전환반응 성능 향상] 세계 각국에서는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를 줄이고, 이를 부가가치가 높은 물질로 전환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POSTECH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공동연구를 통해 최근 이산화탄소를 연료나 플라스틱 등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원료물질인 일산화탄소로 바꿀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 화학공학과 김원배 교수· 2020-11-17823 연구성과 화공 조길원 교수팀, ‘효율’과 ‘내구성’ 두 마리 토끼 잡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재 개발 [유기스페이서 분자설계를 통한 고성능∙고안정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구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저비용 공정이 가능하며 우수한 광전기적 특성을 가져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핵심 소재인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이 빛과 수분에 취약하여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의 광전효율과 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할 2020-11-13658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화공 김영기 교수 공동연구팀, 손가락 터치만으로 홀로그램 바꾼다 [홀로그램용 메타물질에 전기, 온도, 터치에 반응하는 액정 결합] 손동작만으로 홀로그램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구현하는 영화 ‘아이언맨’ 장면의 실현을 앞당길 기술이 소개됐다. 기계공학과 ·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팀과 화학공학과 김영기 교수팀이 꿈의 소재라는 메타물질*1에 액정기술을 접목, 외부자극에 반응하는 초소형 홀로그램 장치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머리카락 2020-11-11623 연구성과 POSTECH 공동연구팀, AI가 새로운 고엔트로피합금 개발 앞당긴다! [고엔트로피 합금 상 예측 위한 딥러닝 기술 개발]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 그리고 노력이 필요하다. POSTECH 공동연구팀이 “합금 이상의 합금”으로 불리는 고엔트로피 합금을 개발하기 위해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도입하며 신소재 개발에 한 발짝 다가섰다. 기계공학과 이승철 교수·통합과정 이수영씨, 2020-11-101,053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팀, 염증 직접 치료하는 ‘기능성 스텐트’ 3D 프린터로 출력한다 [방사선 식도염 치료 위한 바이오잉크 탑재형 식도 스텐트 개발] 항암치료를 어렵게 하는 것은 치료 과정에서 찾아오는 합병증이다. 대표적인 것으로 방사선 식도염이 있는데,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으로 목이 아파서 침을 삼키기 어려워지다 아무것도 먹지 못하고 결국 탈수증상으로 몸 상태가 나빠져 치료를 이어가기 힘들어진다. 하지만 이런 방사선 식도염을 직접적으로 치 2020-11-091,141 연구성과 화공 박태호 교수팀, 이제는 양자점 탠덤 태양전지로! 최고 효율 달성 [POSTECH-토론토대 공동 연구팀, 양자점과 유기 고분자 접합…효율 개선] 태양전지는 햇빛이 있으면 어디에서나 전기를 만들어낼 수 있어 가정용부터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되며 우리에게 친숙한 친환경 발전방식 중 하나다. 주된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지만, 이보다 좋은 효율의 태양전지 소재를 찾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그중에서도 서로 다른 2020-11-02647 연구성과 생명 김상욱 교수팀, 항암제 치료효과 예측하는 머신러닝 기술 개발 [환자유래 인공 미니장기의 항암제 반응성과 항암제 표적 단백질과 연관된 유전자의 전사체 정보 학습] 약물유전체학*1의 등장으로 기존에 축적된 다양한 약물반응데이터를 토대로 자체적인 알고리즘을 도출, 사람마다 다른 약물 반응성을 예측하는 머신러닝 연구가 활발하다. 사람의 생체반응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양질의 학습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 2020-10-301,318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