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기계 안지환 교수팀, 그린 수소, 해답은 반도체 기술에 있다 [POSTECH·서울과학기술대·UC Merced 공동 연구팀, 반도체 공정으로 고체 산화물 수전해 전지 효율 향상] 최근 파티 비롤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은 2030년을 기점으로 석탄과 석유, 천연가스의 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그리고, 그 근거로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 에너지 기술의 눈부신 발전을 언급했다. 이러한 친환경 에너지 기술 중 2023-09-22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팀, 염증 직접 치료하는 ‘기능성 스텐트’ 3D 프린터로 출력한다 [방사선 식도염 치료 위한 바이오잉크 탑재형 식도 스텐트 개발] 항암치료를 어렵게 하는 것은 치료 과정에서 찾아오는 합병증이다. 대표적인 것으로 방사선 식도염이 있는데,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으로 목이 아파서 침을 삼키기 어려워지다 아무것도 먹지 못하고 결국 탈수증상으로 몸 상태가 나빠져 치료를 이어가기 힘들어진다. 하지만 이런 방사선 식도염을 직접적으로 치 2020-11-091,179 연구성과 화공 박태호 교수팀, 이제는 양자점 탠덤 태양전지로! 최고 효율 달성 [POSTECH-토론토대 공동 연구팀, 양자점과 유기 고분자 접합…효율 개선] 태양전지는 햇빛이 있으면 어디에서나 전기를 만들어낼 수 있어 가정용부터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되며 우리에게 친숙한 친환경 발전방식 중 하나다. 주된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지만, 이보다 좋은 효율의 태양전지 소재를 찾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그중에서도 서로 다른 2020-11-02694 연구성과 생명 김상욱 교수팀, 항암제 치료효과 예측하는 머신러닝 기술 개발 [환자유래 인공 미니장기의 항암제 반응성과 항암제 표적 단백질과 연관된 유전자의 전사체 정보 학습] 약물유전체학*1의 등장으로 기존에 축적된 다양한 약물반응데이터를 토대로 자체적인 알고리즘을 도출, 사람마다 다른 약물 반응성을 예측하는 머신러닝 연구가 활발하다. 사람의 생체반응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양질의 학습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 2020-10-301,381 연구성과 신소재 정운룡 교수-화학 박수진 교수 공동연구팀, 늘어나는 배터리, 늘어나는 회로와 만나다 [늘어나는 배터리로 작동되는 독립형 전자 장치 개발] <스파이더맨>, <토르>, <카멜리칸> 등 마블 영화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뭐니 뭐니 해도 주인공의 화려한 액션이다. 조금 면밀히 살펴보면, 이런 화려한 액션은 역시 ‘옷빨’이다. 몸에 딱 붙어서 힘을 강화하거나 전기를 발생시키기도 하고, 총알을 막아내기도 한다. 그렇다면 2020-10-27861 연구성과 POSTECH 경북씨그랜트센터, 똑똑한 물질로 바다의 여인 지킨다 [첨단 IT 기술 활용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개발] POSTECH이 경북지역 해녀 문화를 보전하고, 물질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첨단 I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해녀 안전시스템을 개발해 보급에 나섰다. 경북 동해안에 사는 해녀는 1,500여 명으로 제주를 제외하고 가장 많다. 하지만 60대 후반이 넘는 고령자가 대부분이며, 해마다 장시간 물질이나 무리 2020-10-221,177 연구성과 전자 양현종 교수팀, ‘AI 전자현미경’이라면 초보자도 척척!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전자현미경 개발] 인간의 지적 욕망은 현미경의 개발로 더 작은 것, 미세한 것 심지어 살아 움직이는 것까지 들여다볼 수 있게 됐다. 여기에 한 발 더 나가 인간의 눈(휴먼 비전) 한계를 넘어서 기계의 눈(머신 비전)을 장착한 인공지능 현미경이 나왔다. 초보자가 활용해도 전문가 수준의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전자전기공학과 양현종 2020-10-20977 연구성과 신소재 강병우 교수팀, 전기차 6분이면 90% 충전할 수 있다 [입자 크기 줄이지 않고 부피당 고에너지 밀도와 고출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이차전지 양극 소재 비밀 밝혀] 최근 테슬라(Tesla)를 필두로 하여 세계적으로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기차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이차전지의 동력만으로 자동차를 움직이기 때문에 배터리의 성능이 곧 자동차의 성능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느린 충전 시간과 2020-10-191,258 연구성과 화공 정대성 교수팀, 자유롭게 색 재현하는 OPD 광센서 나온다 [화학적 도핑 이용한 광다이오드의 자유로운 색 조절] 포토다이오드는 빛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센서이다. 유기 포토다이오드는 응답속도가 빠르고, 색 대응 파장대의 조절이 가능해 컬러필터 없이 색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보고된 색 조절 기술들은 대부분 포토다이오드를 두껍게 만들어 광 왜곡을 일으키기 때문에 작고 얇은 화면 2020-10-15814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화공 김진곤 교수 공동연구팀, 햇살이 뜨거워도 온도 떨어지는 단열재 나왔다 [POSTECH-고려대 공동연구팀, 에너지 소비 없는 주간 복사 냉각 소재 개발] 바야흐로 가을이 깊어지고 있다. 아침저녁으로 일교차가 크게 나타나는데 이것은 지표면의 복사 냉각에 의한 기온역전 현상 때문이다. 낮 동안 태양으로부터 열을 받아 기온은 올라가며, 해가 진 밤 동안에는 지표면의 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최근 POSTECH‧고려대 공동연구팀이 낮 2020-10-13819 연구성과 신소재 최시영-물리 이대수 교수 공동연구팀, AI로 세상에 없던 메모리 소자용 재료 만든다 [AI로 원자 구조 변이 제어해 새로운 물리 현상 구현] “땅의 길을 열어준 재료가 고무라면, 하늘길을 열어준 재료는 알루미늄”이라는 말이 있다. 인류사를 바꾼 전환점에는 항상 새로운 소재의 발견이 있었다. 메모리에 적용되는 소재 역시 도핑된 실리콘 소재, 저항변화 소재, 자발적 자화소재, 그리고 자발적 분극소재 등 새로운 재료가 나타나면서 혁신적으로 진화 2020-10-12972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