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 류순민 교수팀, “붕어빵처럼 닮았네?” 거푸집으로 만든 2차원 유기 분자 결정 [류순민 연구팀 , 질화붕소를 사용해 2차원 유기 분자 결정의 층상구조 형성] 최근 거푸집을 사용하여 약 400여 점의 명품 귀금속을 불법으로 위조한 일당이 검거되었다. 금속을 녹인 후 명품 귀금속 모양대로 제작한 거푸집에 부어 수백 점의 가짜 명품을 탄생시킨 것이다. 이처럼 거푸집 하나면 분자 세계에서도 원하는 모양의 분자 결정을 마음껏 만들어 낼 수 있 2023-06-0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전자‧IT융합‧기계 김철홍 교수팀, 광음향 영상의 물리적·실용적 한계 극복을 위한 광음향 조영제의 최신 연구 동향 [김철홍 교수팀, 지난 4년간의 혁신적인 광음향 조영제 연구 소개]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 김철홍 교수 연구팀이 광음향 영상 조영제에 대한 지난 4년간의 혁신적인 연구를 총정리했다. 이 연구 결과는 권위지 중 하나인 ‘케미컬 리뷰(Chemical Reviews)’에 게재됐다. 수십 년 동안 광음향 영상은 생체 의학 영상 기술로서의 2023-03-13162 연구성과 신소재 정성준 교수팀, 반창고 대신 상처에 붙이는 살아있는 세포 스티커 개발 [정성준 교수팀, 잘라서 환부에 손쉽게 이식할 수 있는 세포 스티커 기술 개발] 최근 국내외 연구팀이 손을 잡고 손쉽게 잘라서 상처에 바로 이식이 가능한 세포 스티커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해당 세포 스티커는 화상 상처와 같은 넓고 복잡한 모양의 환부에도 이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처 재생 치료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소재공학과 정성준 2023-03-12285 연구성과 화공 정대성 교수팀, 친환경 유기 소재 기반 수분해 광촉매 개발 [POSTECH 공동연구팀, 친수성 곁가지 및 불소 치환 통한 수소 생산 고분자 광촉매 성능 향상]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해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 연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수소에너지는 원료가 되는 물이 지구상에 풍부하게 존재하며, 수소를 연소시켜도 산소와 결합해 극소량의 질소와 물로 변하므로 공해 물질로 인한 환경오염 염려가 없어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2023-03-10171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모든 빛에 작동하는 ‘소용돌이 빔’ 개발 [노준석 교수팀, 자외선에서 가시광까지 작동하는 다기능 소용돌이 빔 생성 및 감지가 가능한 편광판 개발]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폭증하는 데이터 통신량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경제적인 초고속 광신호 전송용 초소형 광통신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소용돌이 빔은 빛이 진행하면서 이동축을 중심으로 소용돌이 형태의 모양을 갖는 빛을 일 2023-03-09192 연구성과 환경 이형주 교수팀, 인공위성은 알고 있다…“이산화질소 배출”의 숨은 범인 [이형주 교수팀, 유럽인공위성 통해 이산화질소 노출 평가] [“고층 아파트 밀집단지도 주요 배출원…대기환경정책 반영 필요”] 이산화질소는 초미세먼지와 오존의 원료 물질이자, 대표적인 대기 오염 물질 중 하나다. 이 물질은 주로 공장 굴뚝이나 자동차 배기가스를 통해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최근 POSTECH 연구팀은 유럽우주국 위성 자료 분석을 통해 2023-03-08129 연구성과 환경 민승기 교수팀, 여름 같은 가을, 일상화 되나? [민승기 교수팀, 2021년 10월 전례 없는 한반도 이상고온 원인 규명] 2021년 10월에 대한민국에 전례 없는 이상고온이 발생했다. 10월 상반기 (10월 1일~15일) 평균 기온은 19.9°C로 예년 평균보다 3.9°C나 높았으며 이는 수천 년에 한번 발생할 수 있는 매우 이례적인 사례였다. 한여름 폭염을 일으키는 기압계 패턴이 뒤늦게 나타나면서 남 2023-03-0789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팀, 흡연과 안구질환 인과관계 밝힐 “인공 눈” 개발 [조동우·장진아 교수팀, 하이브리드 멤브레인 프린팅 기술 이용해 망막색소상피 모델 개발 및 흡연 영향 분석] 흡연이 인체와 눈 건강에 해롭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통계적으로도 흡연자들에게 안구질환 발생 비율이 높다. 하지만 그 인과관계에 대해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는데,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연구팀이 ‘인공 눈’을 개발해 2023-03-06167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홍합단백질로 줄기세포는 붙잡고, 뼈 재생은 빠르게 [POSTECH-경북대-고려대 안암병원 공동연구팀, 골 유도 재생술 효과 극대화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 코팅 개발] 성공적인 치과 임플란트 치료를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임플란트 주변 치주조직의 상태인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임플란트의 장기적 성공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플란트 주변에 충분하고 건강한 치조골의 존재는 필수적이다. 치조골이 부족하여 임플란 2023-03-05154 연구성과 신소재 최시영 교수팀, 머신러닝으로 나노보다 작은 세상 정확하고 빠르게 본다 [POSTECH-연세대, 주사투과전자현미경 원자구조영상 해석기술 개발] 조류독감,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과 인간이 싸워나갈 수 있는 것은 바로 미생물의 구조를 살필 수 있는 “눈”이 있기 때문이다. 안토니 레벤후크가 17세기 처음 미생물을 단식 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래, 지금까지 인간은 현미경을 통해 미생물을 관찰하고 다양한 생존 방법을 발견해왔다. 최근에 2023-03-03166 연구성과 IT융합 박성민 교수팀, 방광 관찰하는 초유연 하이드로젤 센서 개발 [POSTECH-KAIST 공동연구팀, 초유연 하이드로젤 기반 이식형 센서 및 신호 분석 플랫폼 개발] 현대인의 내장이 예민해지고 있다. 과민성대장증후군이나 과민성방광증후군과 같이 감염이 없고 다른 명백한 질환이 없으면서도 갑작스런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늘고 있는 것도 이런 경향을 엿볼 수 있다.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KAIS 2023-03-02160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