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제4회 ‘POSTECH SF 어워드“ 개최 [이공학적 지식과 인문사회학적 상상력의 창조적 융합 실현 목표] [내년 1월 7일까지 ’SF 단편소설‘, ’SF 미니픽션‘ 부문 접수] POSTECH은 내년 1월 7일까지 ‘제4회’ POSTECH SF 어워드‘를 개최한다. SF(Science Fiction, 과학소설)는 문학과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상력의 원천이 된다. 소통과 공론 연 2023-11-28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공기 중에서 조립 가능한 배터리 개발 – POSTECH-울산과학대, 대기 중에 불순물 포획하는 다기능성 분리막 개발 – 드라이 룸 없이 공정비 절감하는 배터리 제조 환경 가능성 열어 2020년 노벨 화학상의 영예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개발한 인물들에게 돌아갔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소형 IT기기에서 전기자동차에 이르기까지 전기 기기의 필수 에너지 원천이 됐다. 최근 미국의 2021-01-281,197 대학소식 POSTECH 융합대학원 본격 출범 [“POSTECH은 광장이다, 융합은 언어다”…이건홍 융합대학원장 인터뷰] POSTECH 융합대학원은 20년 10월 설립 승인에 이어 소셜데이터사이언스 전공과정을 2월부터 개설하여 본격적으로 출범한다. 폭 넓은 학제적 지식을 바탕으로 융합 연구를 통해 인류 사회가 당면한 과제에 대해 다양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전문성을 갖춘 창의적 융합 인재를 2021-01-272,994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빛’ 제어해 ‘철통 보안’ 달성한다 [후방 위상 일치형 제2차 조화파] 빛을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것은 인류의 고차원적 지적 활동이다. 인간은 광기술 연구를 통해 정보를 원하는 방향으로 보내는 기술인 와이파이 통신을 실현하였고, 광학 라이다 기술을 활용하여 가까운 미래에는 자율형 자동차의 등장을 예고하고 있다. POSTECH 연구팀이 빛의 위상정보와 세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초박막 메 2021-01-26546 대학소식 POSTECH 융합대학원 소셜데이터사이언스 전공 기대 속 출발 2021년 2월, 융합대학원의 소셜데이터사이언스 전공(이하 SDS)이 힘찬 첫걸음을 시작한다. SDS는 데이터 기반 사회를 이끌어 갈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문이과간 융합교육을 바탕으로 올해 처음 마련됐다. SDS의 입학 전형계획이 발표되자 POSTECH 개교 이래 처음으로 인문사회 전공자도 입학할 수 있다는 소식에 기대와 관심이 주목됐다. POSTECH과 K 2021-01-222,290 연구성과 POSTECH-에이비엘바이오, 4-1BB 이중항체가 종양 성장 막는다 [4-1BB 이중항체 연구결과, SCI급 학술지 ‘Science Advances’ 등재] 생명과학과 이승우 교수, 박사과정 유기훈씨, 에이비엘바이오 공동연구팀은 이중항체 플랫폼 ‘Grabody-T’를 도입한 4-1BB 이중항체는 종양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내에서만 T세포를 특이적으로 활성화해 종양성장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2021-01-20606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위·변조 완벽 차단하는 디스플레이 나왔다 [편광 광학 암호화 가능한 나노 구조체 개발] 명품 가방, 유가 증권, 신분증 등에 부착되는 위변조 방지 장치들에도 불구하고 위조품은 날로 늘어가고 있다. 전통적인 위변조 방지 기술을 넘어 쉽게 위조할 수 없고,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차세대 위변조 방지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화학공학과 통합과정 정충환씨, 기계공학 2021-01-20602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창의IT 장진아 교수팀, 인공동맥혈관으로 몸 밖에서 동맥경화 본다 [인-배스(In-bath) 동축 세포 프린팅 기법 이용한 생체 외 죽상동맥경화증 모델 개발] 오래된 수도관에 녹이 슬거나 이물질이 침착하면 지름이 좁아지거나 막혀 수도관이 터져버린다. 인체의 혈관도 이와 같은데, 죽상동맥경화증은 혈관의 가장 안쪽 막에 콜레스테롤 침착해 혈관 내피세포의 증식이 일어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질환이다. 이런 혈관을 관찰하기 위 2021-01-18964 대학소식 수학 오용근 교수, ‘쿠라니시 구조와 가상 기초 체인’ 발간 수학과 오용근 교수 (IBS 기하학 수리물리 연구단장) 저서 <쿠라니시 구조와 가상 기초 체인 (Kuranishi Structure and Virtual Fundamental Chains)>이 국제 출판사 스프링거(Springer)에서 발간됐다. 학술 전문 출판사 Springer는 과학기술분야 학술 서적과 함께 학술지 <네이처>를 발행 2021-01-181,070 연구성과 신소재 이장식 교수팀, 플래시 메모리 한계 넘는 ‘강유전체 메모리’ 나왔다 [강유전체 낸드 플래시 메모리 개발] 초지능·초연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고집적·고성능 메모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낸드 플래시는 전하 트랩 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높은 전압에서 동작하는 데다 속도가 느리고 반복적인 동작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에서 기존 플래시 메모리보다 2021-01-141,353 대학소식 창의IT 김철홍 교수, ‘국제광전자공학회’ 석학회원 선정 창의IT융합공학과 김철홍 교수가 11일, 국제광전자공학회(SPIE, Society of Photo-Optical Instrumentation Engineers)의 석학회원(Fellow)에 선정됐다. 김 교수는 차세대 광음향·초음파 융합영상 시스템 연구 분야를 크게 발전시킨 공로로 이번에 석학회원으로 선정됐다. 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2021-01-12554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6162636465666768697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