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 장영태 교수팀, 생명 밝히는 형광분자, 포름알데히드로 쉽고 간단하게 [장영태 교수팀, 포름알데히드 활용해 효율적인 유기형광분자 합성법 개발] 최근 화학과 장영태 교수, POSTECH 기초과학연구원 이순혁 박사 연구팀이 가장 단순한 탄소 분자인 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하여 기존보다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유기형광분자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종합화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 학술지인 ‘앙게반테 케미(Ang 2024-09-30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인터뷰] 국종성·민승기·최원용 교수 연구팀, 폭우에 폭염에…지구 몸살에 ‘과학 기술’로 처방나선 이들 페루와 칠레에 기록적인 폭우가 내리고, 인도네시아에서는 심한 가뭄이 들었다. 적도 부근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는 평년보다 최고 4℃ 이상 높았다. 한반도에도 극심한 게릴라성 집중호우가 발생, 인명과 재산 피해를 입혔다. ‘엘니뇨’를 연구하는 기후학자들에게 1997~1998년은 중요한 해다. 역사상 최대 규모의 슈퍼 엘니뇨가 전 세계의 2019-08-061,582 연구성과 신소재 조문호 교수팀, 원자 두께 ‘멤브레인 반도체’ 세계 최초로 3차원 구현 [원자층 반도체에 균일한 돌기 만들어…양자컴퓨터‘큐빗’소자 가능성 모색] 거북선의 지붕처럼 오돌토돌 정교한 가시가 돋친 새로운 구조의 반도체 소자가 개발됐다. 신소재 조문호 교수 (기초과학연구원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단장 염한웅) 부연구단장 / POSTECH 무은재 석좌교수) 연구팀은 원자 두께 반도체 표면에 돌기가 돋은 형태의 신소재를 2019-07-311,425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AI가 자연에 없는 ‘투명망토’ 물질 설계한다 [딥러닝 활용한 메타물질 설계법 개발] SF소설이나 게임 등에 자주 등장하는 ‘투명망토’ 물질로 알려진 메타물질은 사실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인공물질이다. 빛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의 인공원자를 정밀하게 설계해 빛의 편광이나 회전을 조절, 자연계에 없는 새로운 광학 성질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문제는 원하는 특성의 물질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번 설계하고 2019-07-151,528 연구성과 [POSTECH의 연구성과] 환경 국종성 교수팀, 식물성 플랑크톤에서 북극 온난화 원인 찾다 바닷속에 살고 있는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대기중 이산화탄소를 흡수, 저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지구 온난화로 해빙이 녹을 경우, 오히려 식물성 플랑크톤이 온난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고 한다. 어떻게 된 일일까. 식물성 플랑크톤의 두 얼굴! 식물성 플랑크톤은 물고기의 먹이로, 해양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또 광합성으로 대기 중 2019-07-101,215 연구성과 환경 최원용 교수 공동연구팀, ‘철든’얼음에서 찾아낸 지구온난화 해결의 실마리 [온실가스 흡수하는 극지방 미세조류 번성과정 규명] POSTECH과 극지연구소 (소장 윤호일)는 극지방의 얼음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에 의해 지구온난화의 속도가 늦춰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바다에 사는 미세조류는 대표적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지구온난화를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데, 극지방의 얼음에서 미세조류의 성장을 돕는 철 이온이 방출되는 2019-07-03887 연구성과 생명 김상욱 교수팀, 유전자 변이의 질병유발 확률 계산이 가능한 정밀의료기술 개발 [유전자변이 질병확률 예측] 생명과학과 김상욱 교수 연구팀이 유전자 변이로부터 질병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정밀의료 기술을 개발했다. 차세대 염기서열 해독법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환자의 유전자 변이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정밀의료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음에 따라 유전자 변이의 질병 확률을 정확하게 계산 할 수 있는 생물정보학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연구팀 2019-06-264,449 연구성과 [POSTECH의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구멍 숭숭 뚫린 초분자로 신약 만든다 분자의 세계에는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가 있다. 그런데 왼손 분자는 병을 고치는 능력이 있지만, 오른손 분자는 오히려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킨다. 약을 만들 때는 왼손과 오른손이 둘 다 생겨나는데, 이 중 필요한 것만 만드는 획기적인 방법이 없을까. ‘왼손잡이 분자’만 걸러낸다? 김기문 화학과 교수는 지난 2000년 5월, 분자계의 왼손과 오 2019-06-211,156 연구성과 화공 조길원-전자 정윤영 교수 공동연구팀, 어떤 상황에서도 정확하게 내 목소리 인식하는 ‘시리(Siri)’‘빅스비’ 패치형 센서 [피부 부착형 음성인식용 진동센서 개발] 사무실에서 대화하거나 회의하는 도중 갑자기 스마트폰의 음성비서 앱이 켜지며 대화를 반복하는 오류나, 시끄러운 카페에서 아무리 불러도 앱이 반응하지 않는 오류는 이제 흔한 해프닝이 됐다. 핸드폰 속에 들어 있는 마이크가 소음이나 방해물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화학공학과 조길원 교수‧박사과정 이시영 씨, 전자전기공학과 2019-06-201,182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배터리의 긴 수명 책임질 새로운 전극 소재 찾았다 [POSTECH-KAIST, 금속간 상태도에 따라 불규칙적 금속배열 갖는 금속물질 개발] 2017년 애플의 ‘아이폰 배터리 게이트’는 ‘배터리의 노화가 진행되면 휴대폰의 성능이 자동으로 저하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큰 문제가 됐던 사건이다. 이 논란은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에 수명이 있으며, 배터리의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충전 효율이 떨 2019-06-111,322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온도’ 변화로 ‘세포시트’ 만드는 새로운 3차원 플랫폼 개발 [온도감응형 하이드로젤 기반 3차원 세포배양 플랫폼 개발] ‘세포시트 (cell sheet)’ 공학 기술은 세포배양 플랫폼에 세포를 시트(sheet)처럼 키운 후 ‘세포시트’만을 수확하여 손상부위에 이식하는 기술로, 재생의료기술 중에서도 외부물질 이식에 따른 면역반응이나 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큰 관심을 모으고 있는 분야다. 기계공학과 김동성 교수, 박사 2019-06-101,15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6162636465666768697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