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기계/화공/전자 노준석 교수팀, 소중한 정보, 빛의 열쇠로 안전하게 잠금 해제 [노준석 교수팀, 자외선-가시광선에서 스핀·파장 다중화 가능한 메타 플랫폼 개발] 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 전자전기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성준화 씨 연구팀은 가시광선 및 자외선을 아우르는 영역에서 빛의 회전 방향과 색깔로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과학과 응용 물리 분야 국제 학술지 2024-10-08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배터리의 긴 수명 책임질 새로운 전극 소재 찾았다 [POSTECH-KAIST, 금속간 상태도에 따라 불규칙적 금속배열 갖는 금속물질 개발] 2017년 애플의 ‘아이폰 배터리 게이트’는 ‘배터리의 노화가 진행되면 휴대폰의 성능이 자동으로 저하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큰 문제가 됐던 사건이다. 이 논란은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에 수명이 있으며, 배터리의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충전 효율이 떨 2019-06-111,322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온도’ 변화로 ‘세포시트’ 만드는 새로운 3차원 플랫폼 개발 [온도감응형 하이드로젤 기반 3차원 세포배양 플랫폼 개발] ‘세포시트 (cell sheet)’ 공학 기술은 세포배양 플랫폼에 세포를 시트(sheet)처럼 키운 후 ‘세포시트’만을 수확하여 손상부위에 이식하는 기술로, 재생의료기술 중에서도 외부물질 이식에 따른 면역반응이나 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큰 관심을 모으고 있는 분야다. 기계공학과 김동성 교수, 박사 2019-06-101,160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 교수팀, 몸 속 일산화질소 잡아먹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나노젤’ [일산화질소 포집해 염증성질환 치료하는 나노젤 개발] 일산화질소는 몸 속에서 혈압 상승을 방지하거나, 동맥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지만, 한편으로는 전신 홍반 루푸스나 크론병은 물론,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심각한 염증성 질환을 유발하는 ‘두 얼굴’을 가진 분자다. POSTECH 연구팀이 이 일산화질소를 잡아먹는 새로운 개념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2019-06-041,361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UNIST 이준희 교수 공동연구팀, 고속충전·고용량 배터리용 ‘반금속 실리콘’ 만든 ‘1% 도핑’ – 탄소 없이 고전도성 실리콘 음극재 합성 – 저온서 1%의 황 도핑 후 반금속 확인…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 전기차 배터리의 용량과 충전속도를 높일 소재로 ‘실리콘’이 꼽힌다. 실리콘 용량이 기존 음극 소재인 흑연보다 10배 이상 크기 때문이다. 문제는 실리콘의 전기 전도도가 낮다는 것인데, 이를 ‘1% 도 2019-06-031,283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하이브리드 나노입자 조절하는 ‘보이지 않는 손’ 찾았다 [금속@실리카 코어-쉘입자 합성법 발견]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조절하는 촉매나 암과 같은 난치병을 쉽게 치료하는 신약까지, 금속과 다른 나노입자를 합성해 만드는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는 새로운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다양한 구성을 갖는 금속@실리카 코어-쉘 나노입자는 그 활용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안정적이고 성질을 조절할 2019-06-03965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묵직한 VR기기, 메타물질로 ‘다이어트’ 시킨다 [빛의 스핀 이용해 여러 홀로그램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술 개발] 프로야구를 야구장에서 보는 것처럼 실감나게 관람할 수도 있고, 실제 현실처럼 게임을 즐길 수도 있는 ‘VR(가상현실, Virtual Reality)’은 놀랍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머리에 묵직한 VR기기(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써야 즐길 수 있는 기술이다. 보통 3시간가량 진행되는 야구를 2019-05-28978 연구성과 POSTECH 4세대 방사광 가속기 POSTECH은 2016년, 첨단 기술의 집약체인 4세대 방사광 가속기를 세계 3번째로 설치, 운영 중이다. 전자가 자기장 속을 지날 때 휘어지면서 접선방향으로 나오는 빛을 이용하는 장치인 방사광가속기는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했을 때 생기는 밝은 빛(X선)으로 미세한 물질이나 현상을 관찰하는 장치다. 쉽게 말해 ‘건물만큼 거대한 슈퍼현미경’이다. 단백질 2019-05-248,563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끊어진 신경, 홍합단백질 튜브로 안전하게 잇는다 [생체모방기술 이용해 홍합접착단백질로 나노섬유 신경도관 개발] 신경 세포는 피부나 근육과 달리 한 번 손상되면 재생능력이 떨어져 회복이 어렵다. 특히 손가락이나 사지가 질병이나 사고로 크게 손상됐을 경우, 접합 수술을 하고 나서도 신경이 온전히 회복되지 않아 떨림이나 통증이 후유증으로 남는 경우가 많았다. 국내 연구팀이 홍합접착단백질과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 2019-05-221,337 연구성과 신소재 최경만-장현명 교수 공동연구팀, 배터리 에너지 변환·저장 장치 효율 높일 기술 개발 [모델 연구 통해 높은 성능의 촉매 구조 디자인 제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시대, 일상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이 바로 배터리다. 휴대전화부터 자동차, 태블릿PC, 스피커, 노트북 컴퓨터, 심지어 태양광 에너지와 같은 재생 에너지도 배터리로 저장된다. 그렇기 때문에 배터리의 성능을 높이고 안전성을 확보하며, 더 오래 사용할 수 있게 하는 2019-05-21798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창의IT 장진아 교수 공동연구팀, 사람 각막과 유사한 인공각막 3D프린터로 만든다 [인간 각막 구조 모사해 격자 패턴으로 투명한 각막 제작] 지금까지 각막이 심각하게 손상되면 사람의 각막을 이식받아야 했다. 하지만 각막기증을 기다리고 있는 사람은 국내에서만 2018년 기준으로 2000여명이고, 평균 6년 이상을 기다려야 각막을 기증받을 수 있었다. 그래서 인공 각막 개발을 위해 많은 과학자들이 노력하고 있는데 기존의 인공 각막은 돼지의 2019-05-141,358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6162636465666768697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