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 류순민 교수팀, “붕어빵처럼 닮았네?” 거푸집으로 만든 2차원 유기 분자 결정 [류순민 연구팀 , 질화붕소를 사용해 2차원 유기 분자 결정의 층상구조 형성] 최근 거푸집을 사용하여 약 400여 점의 명품 귀금속을 불법으로 위조한 일당이 검거되었다. 금속을 녹인 후 명품 귀금속 모양대로 제작한 거푸집에 부어 수백 점의 가짜 명품을 탄생시킨 것이다. 이처럼 거푸집 하나면 분자 세계에서도 원하는 모양의 분자 결정을 마음껏 만들어 낼 수 있 2023-06-0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신소재 김용태 교수팀, 수소차 내구성 문제 말끔히 해결한다 [선택적 전극촉매반응을 통한 자동차용 연료전지 내구성 향상] 자전거가 비에 젖으면 프레임과 체인 등이 부식되거나 녹이 슬어 오래 쓸 수 없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주기적으로 기름칠을 해줘야 한다. 전지(cell, 電池)는 이런 산화반응과 환원반응*1이 분리되어 일어나도록 고안한 장치로 전자를 이동시켜 전기에너지를 만든다. 하지만 이 역시 산소를 만나면 부 2020-07-081,863 대학소식 POSTECH-한국생산기술연구원, AI로 제조혁신 나선다 POSTECH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원장 이낙규)이 AI(인공지능)를 기반으로 한 제조 혁신에 함께 나선다. POSTECH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7일 POSTECH에서 AI기반 제조 혁신을 통한 생산기술 개발과 실용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교육, 연구, 교류와 장비 상호 활용 등 공동협력 체제를 구축키로 했다. 한편, 이번 협약은 POS 2020-07-07474 대학소식 수학 김현광 교수, 대한수학회 교육상 수상 [다년간 수학 교육, 저술 활동 등 수학 인재양성에 공헌] 수학과 김현광 교수가 3일 ‘2020년도 대한수학회 봄 연구발표회’에서 교육상을 받았다. 김현광 교수는 학생지도와 후학 양성에 전력하여 정수론, 부호이론, 조합론 분야에서 박사학위 12명, 석사학위 21명을 배출했다. 2004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위촉한 ‘과학엠버서더’ 활동 2020-07-06706 대학소식 POSTECH, ICT혁신인재4.0사업 선정 [대학원 교육과정에 연구교육 일체형 프로그램 운영] POSTECH이 2020년 ‘ICT혁신인재4.0사업’에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전문기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와 협약체결을 하고 본격적으로 사업 수행을 시작한다. 이 사업은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미래 공학자들을 육성하기 위해 새롭고 도전적인 산학 연구 프로젝트를 교육 과정에 녹여내는 ‘연구교육 일체형 프로 2020-07-06881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실리콘보다 전도성 4배 높은 ‘유사 그래핀’ 합성 [활용 목적에 맞게 물성 조정 가능…‘맞춤형’유기 반도체 소재 기대] 그래핀과 똑 닮은 새로운 유기 반도체 소재가 개발됐다. 화학과 김기문 교수팀(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장)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진은 분자의 자기조립 자기조립(Self-assembly)*1 특성을 활용해 실리콘보다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2차원 전도성 고분자 2020-07-03779 대학소식 POSTECH, 과기부 기초연구지원 리더연구 4명·우수연구센터 1개 선정 우리대학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내 최고수준의 기초연구자를 지원하는 리더연구 지원대상과 우수연구집단을 지원하는 우수연구센터에 다수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리더연구 지원대상 17명과 우수연구집단을 지원하는 우수연구센터 18개를 선정했다. 그중 우리대학은 리더연구 4명, 우수연구센터 1개가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개인연구 사업인 리더연구에서 POSTE 2020-07-031,268 연구성과 POSTECH-KCC, 국내 최초 공장 폐열로 전기 만든다 – 무기단열재 생산 김천공장에서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만드는 열전발전 실증 실험 성공 – 창의IT융합공학과 백창기 교수 연구팀의 ‘열전모듈 기반 에너지 회수기술’ 적용 – 산업 현장의 폐열 활용한 열전발전 가능성 확인,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주목 POSTECH과 KCC가 산학협력을 통해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해 전기에 2020-07-02837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효과적으로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꾸는 포피린-풀러렌 4분자체 발견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살아가는데, 이는 잎에 있는 엽록소가 빛에너지를 흡수해 양분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이처럼 식물의 광합성을 모방한 ‘인공광합성’ 기술은 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태양에너지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광합성을 모방해 빛을 양분으로 만드는 태양전지용 초분자체를 발견 2020-07-021,427 대학소식 전자 홍원빈 교수, 제55회 발명의 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표창 전자전기공학과 홍원빈 교수가 대한민국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가 주관하는 ‘제55회 발명의 날 기념식’ 시상식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홍 교수는 새로운 안테나 기술 패러다임인 ‘밀리미터파 5G(5세대 이동통신) 단말 안테나 원천기술 발명 및 상용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미국 미시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 2020-07-01591 대학소식 POSTECH 인공지능대학원·인공지능연구원 문연다 “AI 고급인재 양성으로 4차 산업혁명 견인” [3월 첫 학기 시작…세계적 인정 받는 교수진 연구 이력 화려] POSTECH이 1일 인공지능연구원(구. 정보통신연구소) 중강당에서 인공지능대학원과 인공지능연구원 개원식을 개최했다. 인공지능대학원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선도하고 세계 AI 산업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인공지능 분야 석∙박사급 고급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지난 3월 첫 학기를 시작했 2020-06-302,213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6162636465666768697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