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POSTECH, 2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 1차년도 연차평가 교육혁신전략 분야 전국 최우수 “S” 등급 획득 우리대학이 2022-2024 대학혁신지원사업 1차년도 연차평가 결과, ‘교육혁신전략’ 분야 에서 전국단위 최고 등급인 S등급을 받았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은 정부재정지원사업 분야 중 일반재정지원사업으로 대학별 자율 혁신을 통한 체질 개선과 양질의 대학 교육으로 미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현재 전국 117개교 대학들이 본 사업에 참 2023-09-27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환경 최원용 교수, 네이쳐 서스테이너빌리티 자문위원 선임 최원용 환경공학부‧화학공학과 교수가 네이처가 발행하는 학술지 네이처 서스테이너빌리티(Nature Sustainability) 자문위원에 선임됐다. 광촉매, 고도산화공정 등 환경화학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는 최원용 교수는 1988년 서울대 공업화학과를 졸업, POSTECH을 거쳐 96년 미국 칼텍(California Institute of Tech 2020-08-28610 대학소식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 한국 최초 MINE이 뽑은 ‘젊은 과학자상’ 수상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가 마이크로시스템 앤 나노엔지니어링 정상회의(Microsystems&Nanoengineering, MINE)에서 젊은 과학자상(Young Scientist Award)을 받았다. 이 상은 스프링거 네이처(Springer-Nature)사의 저널 ‘마인(MINE)’에서 주최한 젊은 과학자 포럼에서 수여된다. 노준석 교수는 2020-08-271,065 연구성과 신소재 이종람 교수팀, 이산화탄소도 재활용한다 [이산화탄소 재활용하는 구리 합금 촉매 개발] 산업 현장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매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지구 온난화가 전 지구적 문제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2015년부터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정부에서 제안한 2030년 온실가스 감축 시장 규모가 약 6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 2020-08-261,161 대학소식 POSTECH, THE 소규모 대학평가 2년 연속 세계 3위 세계대학평가기관인 영국 더타임즈(Times Higher Education, 이하 THE)가 최근 발표한 2020 소규모 세계대학평가(World’s Best Small Universities)에서 POSTECH(포항공과대학교)이 지난해에 이어 세계 3위에 올랐다. THE는 학생 수가 5,000명 미만의 대학을 대상으로 매년 세계 랭킹을 발표한다. 2020-08-252,071 연구성과 화학 김경환 교수팀, 빛이 밝힌 가벼운 물과 무거운 물 [POSTECH-스웨덴 공동연구팀, 4세대 가속기로 본 물 분자의 구조동역학 분석] 태양계의 여러 행성 중에 지구는 물이 있는 유일한 행성이다.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볼 때 푸른색을 띠는 것도 바로 이 물 때문이다. 물은 자연 상태에서 액체, 고체, 기체 상태로 존재하며 다양한 생명, 화학, 물리 현상의 근원이 된다. 한없이 투명해 보이는 이 물은 사실 액체 2020-08-251,011 대학소식 산경 정우성 교수팀, ‘도시화의 역설’ 산업 혁신이 양극화 가속한다 – 韓·美·獨 공동연구팀, 도시 공공데이터 분석해 도시 성장 모형 제시 – 도시와 시골의 경계 인구 120만…공공데이터 기반 성장 정책 필요 서울의 빌딩 숲을 지나 한강 변을 잠시만 달려도 한적한 시골의 논밭을 만날 수 있다. 지금까지 도시화가 되면서 도시의 문화 형태가 도시 이외의 지역으로 발전·확대된다고 믿어왔다. 과연 2020-08-24923 대학소식 생명 성영철 교수 부부 100억 기부…“포스트 코로나 시대 이끌 인재 양성 시급하다”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교육프로그램 개발‧우수 인재 유치 위해 활용] 생명과학과 성영철 교수와 이옥희 여사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이끌 인재 양성에 100억원을 기부했다. 성영철 교수와 이옥희 여사는 코로나19 이후 신종전염병 팬데믹을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융합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인재 양성과 혁신적인 바이오 벤처 육성이 시급하다고 보고, 지난 7 2020-08-202,229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샌드위치’ 촉매로 더 많이, 더 오래 [수소 발생 촉진하는 나노 다공성 백금 겹 촉매 개발] 18세기 귀족들이 오랜 시간 동안 카드 게임에 열중하기 위해 빵과 빵 사이에 고기나 채소를 넣어 간편하고, 빠르게 먹을 수 있도록 만든 음식이 바로 ‘샌드위치’다. 이 효율적인 음식은 열량이나 영양도 뛰어나다. 화석연료의 대체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수소에너지를 얻는데도 이 샌드위치 방식이 뛰어나다는 2020-08-19796 연구성과 창의IT 김철홍 교수-(주) 옵티코 공동연구팀, ‘2020 Microscopy Today 혁신 어워드’서 최우수 기술 선정 POSTECH-(주)옵티코가 개발한 기술이 미국 현미경 전문잡지 ‘마이크로스코피 투데이(Microscopy Today)’가 선정한 2020년 10대 현미경 기술로 선정됐다. 창의IT융합공학과 김철홍 교수, 김진영 연구교수, 통합과정 김종범씨 연구팀과 ㈜옵티코는 마이크로스코피 투데이가 주최한 ‘2020 현미경 혁신 어워드 경연(2020 Microscopy T 2020-08-181,082 대학소식 철강 서동우・김성준 교수, 재료 분야 권위지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3위 선정 철강대학원 서동우 교수와 김성준 교수가 재료 분야의 세계 권위지인 스크립타 머티리얼리아(Scripta materialia)에 공동저술한 논문이 이 저널에서 ‘2017년부터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Most Cited Article) 3위에 선정됐다. 선정된 논문은 “중망간 변태유기소성강: 최근의 진보와 도전(Medium Mn transformation-ind 2020-08-131,001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6162636465666768697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