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POSTECH, 2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 1차년도 연차평가 교육혁신전략 분야 전국 최우수 “S” 등급 획득 우리대학이 2022-2024 대학혁신지원사업 1차년도 연차평가 결과, ‘교육혁신전략’ 분야 에서 전국단위 최고 등급인 S등급을 받았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은 정부재정지원사업 분야 중 일반재정지원사업으로 대학별 자율 혁신을 통한 체질 개선과 양질의 대학 교육으로 미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현재 전국 117개교 대학들이 본 사업에 참 2023-09-27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POSTECH 경북씨그랜트센터, 바닷속 양식장도 무선 CCTV로 관리한다 POSTECH이 바닷속 물고기의 활동을 실시간으로 들여다보는 스마트 양식 기술을 경북지역 양식장에 도입했다. POSTECH 경북씨그랜트센터(센터장 유선철)와 경북어업기술센터(소장 김종태)는 실시간으로 어류의 활동성을 관측할 수 있는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과 수온·용존산소 통합측정기를 경북지역 양식장에 시범 설치하고 이를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이 사업은 여름 2020-08-12529 연구성과 POSTECH 연구팀, 알아서 별 모양 다 만들어주는 똑똑한 AI [플라스틱 성형 공정 추천하는 인공신경망 시스템 개발] 플라스틱은 가볍고, 값이 싸며, 열을 가하면 어떠한 모양으로도 만들어 낼 수 있어 ‘20세기 신이 내린 선물’이라 별명이 생겼다. 플라스틱 제품은 품질의 균일성을 유지하는 것이 관건인데, 공정 조건에 따라 민감하게 변하기 때문에 ‘공정 자율화’를 이루기란 어려웠다. 또, 한 번 설정된 공정을 바꾸려면 2020-08-111,222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소리가 조절하는 화학반응, 눈으로 관찰 [소리로 분자 거동 제어 … 소리를 화학반응에 접목한 첫 연구] 일부 농가에서는 식물에게 음악을 들려주는 ‘음악농법’을 쓴다. 음파가 세포벽에 물리적 자극을 주어 광합성 등 대사를 증진시키는 원리이다. 식물의 생장뿐 아니라 가축의 사육, 질병 치료 등에도 소리가 폭넓게 사용된다. 하지만 소리는 에너지가 낮아 화학반응에는 이용할 수 없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정 2020-08-112,095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독기 빠진’ 황 촉매 있다?! [독성 없는 연료전지용 니켈 기반 합금 촉매 설계]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s, 이하 SOFC)는 수소 또는 탄화수소연료를 공기와 반응시켜 전기와 물을 발생시키는 친환경 에너지원이다. 다른 발전원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오염물질을 적게 배출하며, 태양열이나 풍력 발전보다 공간 효율성도 높다. 하지만 SOFC는 수소와 탄 2020-08-06664 연구성과 신소재 강병우 교수팀,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밀도 높여야 오래 간다 [양이온 상호 확산을 통한 극대화된 산소 이온 반응을 가지는 고성능 리튬 이차전지 개발] 전기차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전기차의 주행거리는 연료탱크인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좌우된다.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이 문제가 되면서 전기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지만, 장거리 이동을 고려한다면 전기차 구매를 꺼리게 된다. POSTEC 2020-08-031,450 연구성과 화학 김성지 교수팀, 독성 없고, 효율 높은 태양전지 소재 개발 [비독성 육면체·육팔면체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개발] 페로브스카이트 광학 소재는 뛰어난 광학 성질을 가지고 있어 LED, 태양전지, 자외선 또는 방사선 검출 소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환경에 해로운 납(Pb) 이온을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독성이나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 상용화의 걸림돌이 됐다. 최근 납 성분이 없이, 효율은 2020-07-30952 연구성과 POSTECH 연구팀, 표면 오염 및 김 서림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코팅 기술 개발 [광학용 센서를 위한 초발수성 김 서림 방지 코팅 기술 개발] 최근 미래 자동차가 큰 관심을 받으면서, 자율주행차 또한 많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자율주행을 위해선 전방 사물 인식 센서인 ‘라이다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가 자동차의 눈 역할로써 매우 중요하다. 라이다 LiDAR는 주행 경로뿐만 아니라 전방에 위 2020-07-291,014 대학소식 POSTECH-CJ제일제당, CJ 맞춤형 인재 키운다 POSTECH 생명과학과와 CJ제일제당이 인재 육성 및 채용을 위한 산학협력 협정식을 27일 우리대학 생명공학연구센터 대회의실에서 가졌다. 이번 협정식에서 POSTECH과 CJ제일제당은 산학협력을 통하여 CJ제일제당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고, 양성한 인력을 CJ제일제당에서 채용함으로써 상호 발전을 도모하기로 했다. CJ제일제당은 POSTECH 생명과학과 학· 2020-07-28850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생체 내 화학반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나노촉매” 개발 [자기장 유도 발열 ‘속 빈 나노반응기’ 개발] 우리 몸속의 다양한 생체반응에서 촉매반응을 담당하는 효소들은, 특정 분자에 한정된 반응이나 낮은 안정성 등 약점 때문에 다양한 진단 및 치료에 직접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많은 연구자들은 이러한 효소의 특성을 보완하거나 생체 내에서 효소와 만나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인공촉매를 이용한다면, 질병 2020-07-282,369 연구성과 신소재 최시영 교수팀, ‘미지의 신소재’ 합성하는 비밀 밝히다 [원자구조 이미징을 통해 물질 합성의 근원 밝혀] 반도체나 모바일 기기 분야에서 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소재를 먼저 찾아야 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와 전자를 관찰해 소재의 본질을 꿰뚫는 ‘소재 이미징’을 통해서 신소재가 발굴된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소재 이미징 기술을 통해 품질이 뛰어난 신소재 합성의 근본적인 구조를 밝혔다. 신소재공학과 최 2020-07-271,533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6162636465666768697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