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Photo Essay 2: 포스텍-포스코 산학연 공동관 우리 대학은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CES에 참가하여 스타트업 전용관인 ‘유레카파크’에서 포스텍 출신 스타트업을 알리는 부스를 운영했습니다. 작년에 비해 부스 규모를 2배로 확대하고 전시참여기업을 40% 늘려, 올해는 총 21개사의 스타트업이 각자의 독창적인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기술의 최전선 CES 현장에서 그 누구보다 빛난 포스텍 스타트업을 소개합니다! 2023-01-20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2018학년도 POSTECH 학위수여식 개최 [박사 230·석사 206·학사 317명 배출] POSTECH은 2월 8일, 졸업생과 학부모, 교내외 인사 3,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학체육관에서 2018학년도 학위수여식을 가졌다. 이번 학위수여식에는 박사 230명, 석사 206명, 학사 317명 등 모두 753명이 학위를 받았다. 학사과정 전체 수석에게 수여되는 ‘설립이사장상’은 평균 평점 4.1 2019-02-071,859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작고 성능 좋은 차세대 메모리 CB램, 질소 도핑으로 간단하게 성능 높여 [질소 도핑한 GST 물질 이용해 CB램 소자 제작] 의료기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 등의 손안의 기기가 늘어나면서 그 안에 들어가는 작고 성능 좋은 차세대 메모리 개발에 전 세계 많은 과학자가 나서고 있다. 전원이 꺼져도 정보가 그대로인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는 F램, Re램 등이 있는데 POSTECH 연구팀이 Re램의 일종인 CB램(CBRAM)의 2019-02-07740 대학소식 인문사회학부, 포항 시민대상 ‘문명시민강좌’ 개최 <칼의 노래>, <남한산성>의 소설가 김훈, <알쓸신잡> 속 물리학자로 알려진 김상욱 경희대 교수, 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 <미생>의 만화가 윤태호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작가’들이 POSTECH에 모인다. 인문사회학부는 3월,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포스텍 문명시민강좌(이하 문명시민강좌)’를 2019-01-311,122 연구성과 창의IT 정성준・화공 조길원 교수 공동연구팀, 플렉시블 반도체, 이젠 3D프린터로 인쇄한다 [3D 프린팅 기술로 반도체 소자 맞춤·대량생산] 3D 프린터 인쇄 공정을 통해 이제 반도체도 만들 수 있게 됐다. 국내 연구팀은 그동안 얇게만 만들었던 반도체 인쇄 기술에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해 전자소자와 회로를 3차원으로 쌓아 올려 인쇄해냈다. 이때 사용된 기술은 유기인쇄전자 기술인데, 신문을 인쇄하듯 프린팅 기술로 전자소자와 회로를 맞춤형으로 대량 2019-01-301,096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 공동연구팀, “몸값 비싼” 금속 촉매, ‘결함’ 있는 지지체로 효율 높인다 [POSTECH-KAIST 공동연구팀, 단일원자촉매 설계 높일 기술 제안] 금, 백금은 아름다운 광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산출량이 적어 ‘비싼 몸값’을 자랑하는 귀금속이다. 한편으로, 이런 귀금속은 대기 중에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다양한 화학 촉매로도 활용되고 있다. 차량 배기관에 백금촉매를 설치하면, 일산화탄소나 탄화수소 등 배기가스를 이산화탄 2019-01-281,064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홍합 접착으로 줄기세포 붙들어 정착 돕는다…심근경색 · 손상 장기 치료 기대 [상 분리 액상 접착물질을 이용한 줄기세포 전달체 개발] 줄기세포는 아직 특정 세포로 분화되지 않아서 어떤 세포나 조직으로도 만들어질 수 있는 만능 세포다. 이 줄기세포를 활용하면 손상된 장기를 근본적으로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미래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줄기세포는 사람의 몸속이라는 특수한 수중 환경 때문에 표적 장기로 전달되고 유지되는 것이 모 2019-01-25871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UNIST 공동연구팀, 반응 속도와 자극을 ‘빛으로 원격제어’하는 플라스몬-촉매-나노반응기 개발 [근적외선으로 제어 가능한 인공반응기 설계·합성 독성 최소화·약물 효과 극대화 가능한 치료 플랫폼 활용가능] 우리 몸속에서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수많은 생화학 반응이 일어나고 있다. 약물 개발이나 화학적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인공 반응기를 통해 인공적으로 촉매반응을 일으켜야 한다. 이때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 촉매 반응 속도와 자극을 원하는 대로 원격 2019-01-17930 대학소식 POSTECH 일주수학학교 개최 POSTECH 포항수학연구소 (PMI)는 최윤성 교수의 주관으로 제 14회 일주(一洲)수학학교를 1월 7일부터 11일까지 서울 역삼동 신라스테이에서 개최했다. 일주(一洲)학술문화재단과 포항수학연구소의 “L-함수 연구실”의 지원으로 개최된 일주수학학교는 ‘바나흐 공간과 관련 연구주제들(Banach Spaces and Related Topics)’을 주제로, 2019-01-14602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 교수팀, 암 꼼짝마! 암 찾아 레이저·면역 세포 활성화로 동시에 2번 공격하는 나노머신 개발 [광감각제와 면역 증강제로 암 동시 치료 전략 제안] 지난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는 항암치료 패러다임을 바꿨다는 평가를 받는 면역 항암제 개발 초석을 다진 2명의 과학자가 받았다. 암을 정복하기 위해 지금도 전 세계 많은 과학자가 항암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화학과 김원종 교수와 통합과정 임수석 씨는 먼저 광역학 효과로 1차로 암을 공격하 2019-01-11977 대학소식 김성준·이병주 교수 한림원 ‘정회원’, 차형준·김형섭·김광재 교수 한림원 ‘일반회원’ 선정 철강대학원 김성준·신소재공학과 이병주 교수가 과학기술 학술단체인 한국공학한림원의 정회원에, 화학공학과 차형준·신소재공학과 김형섭·산업경영공학과 김광재 교수가 일반회원으로 선정됐다. 한국공학한림원은 우리나라 공학기술 분야 최고 권위 단체로, 10개월 간의 엄격한 다단계 심사를 거쳐 정회원을 선발한다. 김성준 교수는 자동차용 고강도 철강소재, 일체화성형 원재료 2019-01-10720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7172737475767778798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