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세계가 인정한 K-재생의료!” POSTECH 장진아 교수, 한국인 최초 바이오머티리얼즈 ‘젊은 연구자상’ 수상 [재생의료·생체재료 분야 연구 국제 학계 인정받아… 美 하버드의대 Wei Tao 교수와 나란히 선정]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재생의료 및 생체재료 연구 분야의 세계적 권위 학술지인 ‘바이오머티리얼즈(Biomaterials)’의 ‘젊은 연구자상(Biomaterials Award for Young 2025-01-2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POSTECH 미래 이끌 수레 두 바퀴···’의과학자-바이오산업’ [인터뷰] 박준원 前 부총장 (화학과 교수) 의과학대학원 2023년 첫 학기 시작, 전임 교수 5명, 박사과정생 20명 ‘소수정예’ 특정 질환 치료하면 ‘포항’, “과학·공학 연구역량, 의학 시너지 기대” “의사과학자(MD PhD) 육성 목표는 우리나라 바이오 산업 경쟁력 강화입니다. 학문과 산업은 수레 2021-09-015,047 연구성과 신소재 손준우 교수팀, 선택적 금속 석출 통해 투명 디스플레이 시대 앞당긴다 [주석 금속 선택적 용출 이용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주석 산화물의 전기전도도 향상]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허공에 손을 뻗으면 원하는 정보가 튀어나오고, 자동차 앞 유리에 내비게이션이 실행되는 모습을 영화나 공상과학이 아니라 현실에서 만날 수 있는 날이 다가오고 있다. 차세대 투명 디스플레이 실현을 위해서는 투명 산화물 반도체 내에서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2021-08-31850 연구성과 신소재 이종람 교수팀, ‘공장 굴뚝’이 광합성 연료 된다 [이산화탄소 연로로 전환하는 고효율 광전극 제작] 산업화의 상징이었던 ‘공장 굴뚝’은 이제 환경오염과 미세먼지를 떠올리게 하는 상징이 됐다.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을 에너지로 바꿀 수 있다면 어떨까? 현대사회의 필수적인 산업활동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광합성을 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 POSTECH이 미국 미시간대학교와 손잡고 부 2021-08-301,189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일 년에 한 번” 투약만으로 골관절염 완화 [신풍제약과 임상3상 시험 승인 획득] 계단을 오르내릴 때 무릎 통증을 느끼거나, 손가락 마디가 붓고 저린 증상 때문에 고통받는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뼈와 뼈 사이에서 완충 작용을 하는 부드러운 연골이 마모되면서 나타나는 퇴행성 관절염의 흔한 증상이다. 이런 골관절염에는 통증을 줄이기 위한 진통제나 소염제, 연골을 강화시키는 스테로이드제가 처방되고 있지만 2021-08-26784 연구성과 전자 김철홍 교수팀, 방사선 노출 없이 암 전이 진단 돕는 휴대용 광음향 검출기 개발 [투명 초음파 트랜스듀서와 고체 염료 레이저로 구성된 광음향 검출기 개발] 몸이 붓거나 저릴 때 겨드랑이를 치는 행동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는 우리 몸의 이물질을 처리하는 림프절을 자극해 순환을 돕는 행동이다. 유방암이나 흑색종과 같은 암은 이 림프절을 통해 전이되기 때문에 림프절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암의 진행이나 예후를 아는 데 필요하다. POSTE 2021-08-25720 대학소식 기계 김예슬 씨, ‘나노코리아 2021’서 금상 수상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예슬 씨(지도교수: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가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열린 ‘나노 코리아 2021(NANO KOREA 2021)’에서 금상을 받았다. 나노코리아2021은 나노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연구자의 사기를 북돋기 위해 개최되는 심포지엄으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일반 참가자(초청 발표 제외) 중 우수 2021-08-24893 연구성과 POSTECH-MPK 연구팀, 초임계 유체의 비평형 상분리 현상 관측 [POSTECH-MPK 연구팀, 초임계 유체 응용 연구 확장 위한 발판 마련] 초임계 유체에서 장시간 지속되는 비평형 상분리 현상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관측됐다. 물리학과·첨단원자력공학부 윤건수 교수,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연구소(MPK)·물리학과 김동언 교수 공동연구팀이 수 시간 지속되는 초임계 유체*1의 비평형 상분리 현상을 관측했다. 또한, 상분리 경 2021-08-23663 연구성과 신소재 정운룡 교수팀, 테이프 같은 도전(導電) 필름 개발…종이처럼 접어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디스플레이 실현되나? [고해상도 연신성 회로의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위한 연신성 이방성 도전 필름(S-ACF) 개발] 요즘 전자제품이 변신 중이다.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휴대전화부터 손목에 착 감기는 롤러블(Rollable) 전자시계, 더 넓은 화면으로 확장되는 익스텐더블(Extendable) 디스플레이와 같이 유연한 전자기기가 생활 속으로 들어왔다. 2021-08-18932 대학소식 POSTECH-중앙대, ‘동주공제(同舟共濟)’ 협력 나선다 POSTECH과 중앙대(총장 박상규)가 학생‧학술 교류와 인적‧물적 인프라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동주공제(同舟共濟)’형 협력에 나선다. POSTECH과 중앙대는 8월 17일 POSTECH에서 ‘학생교류 및 학술교류 협약’을 체결하고 교육, 연구, 산학협력 등 전 분야에 걸쳐 교류 활성화와 상호 발전을 위한 협력을 도모키로 했다. 협약내용에는 △학술대회 공 2021-08-18516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생산 효율 높인 체외 세포 배양 플랫폼 제작 공정 개발 [나노섬유 멤브레인이 결합된 미세유체 칩의 혁신적인 제작 공정 제시] 미세유체 칩은 액체가 흐르는 직경이 매우 작은 유로(流路)이다. 미세유체 칩 기술은 생체적합성이 높아 체외 조직이나 장기 모델을 만드는 데 필요한 세포를 배양하는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나노섬유 멤브레인이 결합된 미세유체 칩을 제작하는 획기적인 공정법을 내 2021-08-17625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7172737475767778798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