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Photo Essay 2: 포스텍-포스코 산학연 공동관 우리 대학은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CES에 참가하여 스타트업 전용관인 ‘유레카파크’에서 포스텍 출신 스타트업을 알리는 부스를 운영했습니다. 작년에 비해 부스 규모를 2배로 확대하고 전시참여기업을 40% 늘려, 올해는 총 21개사의 스타트업이 각자의 독창적인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기술의 최전선 CES 현장에서 그 누구보다 빛난 포스텍 스타트업을 소개합니다! 2023-01-20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환경 민승기 교수팀, 빨라지는 여름 시작, 원인은 ‘인간’…더 뜨거운 봄철 폭염 앞으로 더 자주 찾아온다 [인간 활동이 봄철 이상고온에 영향 과학적 근거 제시, 온실가스 증가로 때 이른 더위 발생 가능성 2~3배 높아졌음 확인] 2017년 5월, 계절은 늦은 봄이었지만 대한민국은 한여름처럼 달아올랐다. 평균기온은 18.7℃로 1973년 이후 가장 높았고, 5월 29일에는 밀양이 무려 36.6℃에 오르며 5월 기온으론 역대 최고치(1962.5.31. 대구 36. 2018-12-18677 연구성과 화학 박문정 교수팀, 고질적인 배터리 문제 해결할 신개념 고분자 전해질 개발 [분극현상 없고 액체 누출 막는 고분자 전해질]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배터리가 없는 삶은 상상할 수 없다. 휴대전화부터 자동차까지 다양한 배터리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배터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여러 가지 이유로 초반의 성능이 유지되지 않아 교체해줘야 하는데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전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전압이 떨어지는 분극현상 때문이다. 화학과 2018-12-121,487 연구성과 생명 이승재 교수팀, 인간의 수명연장 2배까지 가능해질까? [Prefoldin-6이 생명체 수명연장의 연결고리] 우리나라 인구의 평균수명은 남성 기준으로 80세다. 최근 UN의 인구통계에서 사람의 기대수명을 120세로 정의 내리기도 했다. 그런데 이보다 2배를 더 살 수 있는 길이 열린다면 어떨까? 국내 연구진이 수명을 늘릴 수 있는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 비밀을 밝혀내 인간 수명의 획기적인 연장이 가능해질지 관심이 2018-12-071,581 대학소식 물리 성우경 명예교수, 세계 최초 대학원 교과서 출간…Springer에서 “생명현상의 통계물리학” 생명현상에 대한 물리적 설명과 이해는 21세기의 중요한 과제이다. 이미 20세기에 과학 혁명과 기술 문명을 이끌었던 물리학은 이제 다양한 생명현상에 대한 정량적이고 원리적인 이해를 통해 생명과학의 기초뿐만 아니라 생명공학, 생체재료, 의학 및 신약개발 등에의 응용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그 엄청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생명현상에 대한 물 2018-12-061,431 대학소식 POSTECH 융합문명연구원 개원 기념 강연 개최 POSTECH 융합문명연구원은 12월 5일 포스코 국제관 국제회의실에서 이기형 인터파크 홀딩스 대표이사 회장을 초빙하여 ’나의 기타 이야기: 창업, 사람, 화음‘ 이라는 제목의 개원 기념 강연회를 개최했다. 융합문명연구원은 21세기 융합문명시대의 의제를 선점하고 미래사회 대응방안을 모색하며, 나아가 지역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고자 올해 2018-12-05589 대학소식 컴공 방승양 명예교수, 후학 양성 기금 기부 12월 5일, 컴퓨터공학과 방승양 명예교수가 POSTECH을 방문, 후학 양성을 위해 5,000만원을 기부했다. POSTECH은 방승양 명예교수의 기부금으로 ‘방승양 기금’을 조성하고 컴퓨터공학 분야를 선도할 우수한 인재양성을 위한 학부생 및 대학원생 장학금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방승양 명예교수는 1986년 8월 POSTECH에 부임하여 전자계산학과 초대 2018-12-051,032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수질오염 해결할 ‘두 얼굴의’ 나노큐브, “더 쉽게” 만든다 [‘야누스’ 구조 가진 나노큐브 간단 합성법 개발] 태안 기름 유출 사고를 비롯해 호수와 하천, 바다의 수질오염은 아직도 빈번하게 일어나는 사고 중 하나다. 수질오염은 생활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빠른 방제책이 필요하다. 이 때 활용되는 방법 중 하나가 나노물질을 이용한 오염물질의 흡착이나 분해다. 오염물질을 물질에 붙도록 해 제거하거나, 물질 2018-12-041,436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사람과 유사한 체외 세포군집체 만들어 동물실험 단점 보완한다 [3차원 나노섬유 마이크로웰 플랫폼 개발] 약물이나 화장품을 개발할 때, 연구자는 처음부터 사람을 대상으로 독성 반응이나 효능 시험을 할 수 없다. 가장 먼저 실험실에서 세포 단위 실험을 하고 그 다음 동물 실험을 통해 실제 효능이 있는지, 그리고 부작용은 없는지 확인한 이후에나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동물은 사람과 생리학적으로 2018-11-291,289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스마트콘택트 렌즈 개발 ‘렌즈로 혈당 측정 기대’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이 혈당 측정용 콘택트렌즈를 개발, 내년에 소규모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에 들어간다. 이 기술은 구글도 개발 도중 포기할 만큼 까다로운 기술로 한 교수의 임상 결과에 많은 관심이 모이고 있다. ☞조선일보 관련 기사 보기 (11월 29일자) 2018-11-29792 대학소식 POSTECH, 금난새와 함께 클래식 공연 개최 [지휘자 금난새와 뉴월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공연에 포항시민 무료 초대] POSTECH은 11월 29일 대학 대강당에서 개교 32주년을 기념해 금난새 오케스트라 공연을 개최했다. 이번 공연은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지휘자이자 클래식 대중화의 아버지로 불리는 지휘자 금난새 특유의 쉽고 재미있는 해설을 통해 클래식은 어렵다는 선입견을 깨고 누구나 음악회를 즐겁 2018-11-2956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7172737475767778798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