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테키안 타일형 리스트형 최신호 보기 지난호 보기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2021 가을호 / 지식더하기 ① 선형계획법 Linear Programming ; LP 한정된 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여러분이 한 기업의 대표라고 생각해 봅시다. 회사는 여러 제품을 생산하는데, 이 제품을 생산하는 데 걸리는 시간, 비용, 이익 등은 모든 제품이 다를 것입니다. 또한, 앞선 요소들과 더불어 한정된 자원을 모두 고려하여 회사의 이익이 최대가 되도록 각 상품의 생산 2021-10-19421 2021 가을호 / 지식더하기 ② 응력 Stress 여러분, 혹시 에펠탑이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 아시나요? 바로, 여러 부재가 삼각형 형태로 연결된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커다란 구조물을 만들 때는 여러 재료를 서로 연결하여 전체적인 뼈대를 구성하는데, 외부에서 힘을 받으면 쉽게 일그러지는 사각형 구조보다 트러스 구조는 비교적 안정적이어서 교량이나 건축물 등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2021-10-19202 2021 여름호 / POSTECH ESSAY 재미있는 컴퓨터공학 컴퓨터공학은 재미있는 학문이고 프로그래밍은 즐겁다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객체지향프로그래밍’ 과목의 수업을 할 때마다 학생들에게 항상 하는 이야기가 있다. ‘컴퓨터공학은 재미있는 학문이고 프로그래밍은 즐겁다’라는 것이다. 솔직히 몇 명의 학생들이 이 이야기에 공감하는지, 또 몇 명의 학생들이 이 이야기에 공감하지 않는지는 모르겠다. 몇 명의 학생들은 그저 2021-07-20553 2021 여름호 / 알리미가 만난 사람 촉망받는 물리학도에서 예술가가 되기까지 배요섭 선배님과의 이야기 여러분은 급격하게 진로가 바뀐 적이 있나요? 포스텍에서 얻은 경험을 백 프로 활용하여 ‘뛰다’라는 공연창작집단에서 연출가로 활동 중이신 배요섭 선배님. 분명 진로가 바뀌었지만, 그 이전의 경험들이 새로운 도전에 좋은 양분이 되었다고 하는데요. 촉망받는 물리학도에서 예술가가 되기까지 선배님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볼 2021-07-20384 2021 여름호 / 알턴십 알리미의 일일 인턴 체험기 포스텍 입학팀 안녕하세요, 전국의 포스테키안 구독자 여러분! 이번 여름호 포스테키안, 알리미들의 두 번째 알턴십은 ‘포스텍 입학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알리미들은 평소에도 포스텍 입학팀과 활발한 교류를 통해 포스텍을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알리미가 아닌, 입학팀의 일일 인턴이 되어 입학팀의 업무를 체험하게 되었습니다. 평소 2021-07-20370 2021 여름호 / 포커스 고등학생 기자단 포커스 1기, 포스텍 조민수 교수님을 만나다! 안녕하세요! 상산고등학교 3학년 표승현, 이동준입니다. 포커스 1기로 첫 활동을 하게 되어 정말 기쁩니다. 이번 호에서는 ‘컴퓨터 비전’ 분야 연구자로 저명하시고, 또 포스텍 내에서는 훌륭한 인품으로 소문이 자자하신 컴퓨터공학과 조민수 교수님을 모시게 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의 현주소와 미래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2021-07-20308 2021 여름호 / 기획특집 ① / 표준 모형의 위기, 뮤온 g-2 <표준 모형의 위기, 뮤온 g-2> Muon g-2, The Crisis of Standard Model 수많은 발전을 거듭한 물리학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이론은 무엇일까요? 다양한 답변이 나올 수 있겠지만, 우주의 모든 물질을 이루는 기본 입자들에 대한 이론인 ‘표준 모형(Standard model)’이 바로 그중 하나라고 생각되는데요. 물질을 이루는 입자를 넘 2021-07-20320 2021 여름호 / 기획특집 ② / 표준 모형의 위기, 뮤온 g-2 밝혀지는 양자 세계, 기본 입자들의 물리적 특성 Muon g-2, The Crisis of Standard Model 과학자들은 기본 입자들의 상호작용을 설명한 표준 모형의 개념을 정립하는 것을 넘어, 각각의 입자들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해왔습니다. 특히,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세계에 대한 학문인 양자역학을 도입함으로써 입자들의 수많은 물리 현상 2021-07-20272 2021 여름호 / 기획특집 ③ / 표준 모형의 위기, 뮤온 g-2 표준 모형을 넘어선 새로운 물리학, 뮤온 g-2 실험 Muon g-2, The Crisis of Standard Model 앞서 폴 디랙이 뮤온과 전자의 g-상수 값으로 2를 제시하였다는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그러나 실제 측정한 두 입자의 g-상수 값은 모두 2보다 약간 큰 값을 가지게 되는데요. 컴퓨터를 통해 정확한 g-상수 값을 얻어낸 과학자들은 이 계산 결과를 2021-07-20646 2021 여름호 / HELLO NOBEL 유전자 편집기 크리스퍼CRISPR의 유래와 현황, 그리고 미래 [2020 노벨 화학상] 수상자 :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Emmanuelle Charpentier) 제니퍼 다우드나 (Jennifer Doudna) 수상 이유 : 유전자 편집기 CRIPSR발견 및 개발 지구상의 모든 생물은 정보와 나노 기계의 이중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컴퓨터의 정보는 자기테이프나 하드 2021-07-2025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 2022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23년 2022년 [177호] 겨울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클릭화학 / 포스텍 연구실 탐방기_Polymer-based Energy Materials Lab /알리미 온에어_알리미의 신년 파티 2023-01-160 2022년 [176호] 가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알리미 온에어_포스텍 vs 카이스트 학생 대제전 /사이언스 블랙박스_진짜 과학으로 반박하는 유사 과학 2022-10-170 2022년 [175호] 여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다중우주(멀티버스) /알리미 온에어_포스테키안 새내기 라이프 /사이언스 블랙박스 _과학사의 4대 악마 2022-07-150 2022년 [174호] 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양자 컴퓨터 /알리미 온에어_포스테키안 제작기 /헬로 노벨_따스함, 차가움 그리고 접촉 2022-04-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