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테키안 타일형 리스트형 최신호 보기 지난호 보기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2021 겨울호 / 공대생이 보는 세상 <수학과가 본 겨울나기> Dept. of Mathematics 역시 구운 고구마를 데우니까 따듯해지네. 아, 그런데 고구마에 열을 가한 건 한 부분인데 어떻게 모든 부분이 따듯해질 수 있는 걸까? 열은 한 공간에서의 온도 분포로 정의되어 일정한 식에 의해 시간에 따라 전도되는데, 이 과정을 수식화한 것을 열 방정식이라고 해. 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열은 고온에서 2022-01-19285 2021 겨울호 / 지식더하기 ① 편미분과 기울기 벡터 Partial Derivative & Gradient Vector 여러분에게 미분이란 어떤 존재인가요? 우주는 미분으로 쓰여있다는 유명한 교수님의 말처럼 미분을 조금만 들여다보면, 단순히 계산을 넘어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을 설명하고 있다는 걸 느낄 수 있습니다. 여러분에게 익숙한 2차원상의 미분에서 뻗어 나가 편미분을 배워보고, 미분이 세상을 2022-01-19550 2021 겨울호 / 지식더하기 ② 아미노산 적정 Amino Acid Titration 포스테키안 구독자 여러분! 여러분은 산과 염기의 적정에 대해 알고 있을 것 같은데요. 우리에게 친숙한 물질인 아미노산을 적정에 이용하면 어떤 것들을 알 수 있을까요? 아미노산의 특징부터 이를 이용한 적정까지, 함께 알아봅시다! 아미노산의 특징 아미노산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것처럼 우리 몸의 3대 영양소 중 하나인 단백 2022-01-193,306 2021 가을호 / POSTECH ESSAY 포스텍 교수님 이야기 내 삶 속의 화학 Interactions and Reactions 1999년 봄. 세기말과 금융 위기로 요동치던 시절 나는 처음으로 포항에 발을 들였다. 설레는 마음으로 대학 생활을 시작하던 그때만 해도 내가 학부에서 대학원까지 화학에 대한 꿈을 키워나가며 10년이 훌쩍 넘는 시간을 포항에 머무르게 될 줄은 정말 몰랐다.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더 넓은 2021-10-19513 2021 가을호 / 알리미가 만난 사람 마음 속에서 불타는 것이 있다면, 인생은 그것을 하기 위해서 사는 것 같아요. 유주현 선배님과의 이야기 이공계에서 뻗어 나갈 수 있는 진로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대부분의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이공계의 특성만큼이나 다양한 진로가 있을 수 있는데요. 이번 <알리미가 만난 사람>에서는 포스텍 1기 졸업생으로서, 대학원, 대기업, 그리고 창업까지 도전을 거듭하며 2021-10-19557 2021 가을호 / 알턴십 인류의 미래를 위한 야생 식물 종자 저장 및 분석 기관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시드뱅크 알턴십 3번째 이야기! 이번 알턴십은 캠퍼스를 벗어나 전국으로 확장하려 합니다.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시드뱅크에서 일일 인턴이 되어봤습니다. 시드뱅크 종자보전연구실에서 종자의 활력 검정과 종자 저장 과정을 직접 보고 체험해 볼 수 있었는데요. 환경에 관심이 많은 독자분 2021-10-19195 2021 가을호 / 포커스 고등학생 기자단 포커스 2기, 포스텍 이지오 교수님을 만나다! 안녕하세요! 창평고등학교 3학년 윤신유입니다. 성공적이었던 포커스 1기의 뒤를 이어 포커스 2기로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구조생물학’ 분야의 석학이자 최근에 신설된 세포막단백질연구소의 소장이신 생명과학과 이지오 교수님을 인터뷰하게 되었습니다. 최근 급부상하며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는 구조생물학에 대 2021-10-19296 2021 가을호 / 기획특집 ① / 메타버스, 가상 세계의 새로운 패러다임 <메타버스, 가상 세계의 새로운 패러다임> Metaverse, New Paradigm of the Virtual World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많은 대면 행사가 취소되고 있는 지금, 바이러스로부터 자유로운 공간이 있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바로 ‘메타버스’입니다. 최근 사람들은 메타버스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걱정 없이 사회·경제·문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2021-10-19342 2021 가을호 / 기획특집 ② / 메타버스, 가상 세계의 새로운 패러다임 데이터 처리를 위한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 Edge Computing 앞서 메타버스의 구현을 위한 게임 엔진을 알아보았는데요. 다양한 기업이나 산업체에서 메타버스의 실현을 위해 렌더링 엔진, 물리 엔진 등 여러 기술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때, 더 빠르고 실감 나는 메타버스의 구현이 이루어지기 위해선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통신망인 네트워크의 발달이 필수 2021-10-19282 2021 가을호 / 기획특집 ③ / 메타버스, 가상 세계의 새로운 패러다임 사람과 메타버스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의 발전, BCI 앞서 메타버스를 구현하기 위한 게임 엔진과 MEC를 알아보았습니다. 이렇게 최첨단 기술이 집합되어 구성된 메타버스! 이젠 우리가 직접 그 세계에 들어가 봐야겠죠? 최근, 어떻게 하면 사용자가 메타버스를 보고 느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현실처럼 몰입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머리 탑재형 디스 2021-10-19253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 2020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20년 [169호] 겨울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가상 인간 / 알리미가 만난 사람 _인터렉티브 디벨로퍼, 김종민님 / 포스텍 프리뷰_강석형 교수님 2021-01-180 2020년 [168호] 가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우주 탐사 / 알리미가 만난 사람 _김무환 총장님과의 만남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의료기기혁신센터 2020-10-200 2020년 [167호] 여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빅데이터 기술, 미래의 선거 / 포스트 잇_에드믹바이오 대표이사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지능로봇연구센터 2020-07-270 2020년 [166호] 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코로나19 / 알리미가 만난 사람_닥터프렌즈와의 만남 / 학과탐방_생명과학과, 물리학과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세포막단백질연구소 2020-05-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