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테키안 타일형 리스트형 최신호 보기 지난호 보기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2020 봄호 / 선배가 후배에게 선배가 후배에게 / 힘든 지금을 소중히 여겨야 하는 이유 여러분은 입시가 끝난 이후의 삶을 상상해 본 적이 있나요? 저는 수능이 끝난 후 고사장을 나오는 순간을 생각하면 지금도 생생해서 마음이 울컥해지곤 합니다. 고사장 건물을 나오자마자 수많은 무리의 사람들이 웅성거리고 있었어요. 제 자식을 안절부절 기다리던 학부모님들이었습니다. 멀리서 펄쩍펄쩍 뛰며 제게 손을 흔드는 남 2020-06-16225 2020 봄호 / 기획특집 ① / 코로나19 기획특집 ① / 코로나19 : 팬데믹의 카오스, 코로나19 사상 초유의 초 . 중 . 고교 개학 연기, 김포공항 국제선 40년 역사상 최초 0명, 올림픽 역사상 최초 연기. 모두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자라 불리는 바이러스,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난 일들입니다. 2019년 12월 31일, 2019년의 마지막 날 중국에서 미지의 호흡기 폐렴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그리고 2020-06-021,298 2020 봄호 / 기획특집 ② / 코로나19 기획특집 ② / 코로나19 : 코로나19의 치료와 예방 앞선 내용에서 코로나 바이러스의 특징과 그 특징을 연구하여 꼭 맞는 치료제를 개발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치료제가 개발된 후 유통되기 위해서는, 바이러스나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와 안전성 등의 여러 기준을 정해진 과정을 통해 입증해야 합니다. 우후죽순 쏟아지는 개발 성공 소식에도 불구하고 당장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치 2020-06-02319 2020 봄호 / 기획특집 ③ / 코로나19 기획특집 ③ / 코로나19 : 백신 개발의 어려움과 극복을 위한 노력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전 세계의 연구자들이 신약과 백신 개발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과정에는 여전히 여러 가지 걸림돌들이 존재하고, 백신이 개발된다고 하더라도 SARS-CoV-2의 특성으로 인해 또다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그 해결책을 찾고자 연구 중이라고 2020-06-02315 2020 봄호 / 학과탐방 ① / 생명과학과 학과탐방 ① / 생명과학과 생명과학은 생명체인 ‘우리’와 그 주변에서 일어나는 유기적인 현상들을 탐구하는 학문으로, 복잡한 생태계의 비밀들을 풀어 인류 복지 증진에 가장 크게 기여한다는 점에서 고도의 창의성과 사명감이 요구되는 분야입니다. 생명이란 무엇일까? 똑똑한 포스테키안 독자 여러분마저도, 갑작스레 이러한 질문을 받게 된다면 당황하시게 될 것입니다. 누구나 쉽게 떠올 2020-06-02472 2020 봄호 / 학과탐방 ② / 물리학과 2020 봄호 / 학과탐방 ② / 물리학과 물리학은 자연 현상의 원리를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물리학에서 탐구하고자 하는 자연 현상은 고등학교 물리학 교과서에서 소개하고 있는 것들뿐만 아니라, 흔히 물리학의 탐구 대상이라고 생각하기 힘들었던 것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물리학의 탐구 대상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 대상들을 탐구하기 위해 물리학과에서 어떤 준비 과 2020-06-02294 2020 봄호 / Creative Postechian Creative Postechian / 스타트업 기획자가 된 공대생 안녕하세요, 저는 창의IT융합공학과 16학번 김민수입니다. 저는 2018년부터 ‘마이다스 H&T’라는 스타트업에서 기획자로 근무 중입니다. ‘마이다스 H&T’는 신축, 유연 소재 기반의 압력 센서로 헬스케어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기업이며, 현재 압력 센서 기반의 ‘영유아 돌연사 방 2020-06-02231 2020 봄호 / Hello Nobel Hello Nobel / 빈곤 퇴치에 실질적인 연구방법으로 접근한 3명의 과학자 지난 2019년 노벨 경제학상의 수상자는 ‘빈곤 문제의 해법’을 연구한 개발경제학자인 MIT(미국 매사추세츠공대)의 ‘아브히지트 바네르지’ 교수와 ‘에스테르 뒤플로’ 교수, 하버드대의 ‘마이클 크레이머’ 교수에게 돌아갔습니다. 특히 뒤플로 교수는 50년 역사의 노벨 경제학상에서 두 번째 여성 수 2020-06-02176 2020 봄호 / 최신 기술 소개 최신 기술 소개 Latest Technology – ① 고체 너머의 물체를 고해상도로 촬영 가능한 카메라, 투시 카메라 만약 우리가 어떤 고체 너머에 있는 물체를 관측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만약 이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과학의 많은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X선과 함께, 투과성을 지닌 방사선 전자파를 ‘테라(TERA)헤르츠파’라고 2020-06-02269 2020 봄호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 / 바이오 신약 사업의 핵심 인프라 세포막단백질연구소 세포막은 세포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지질막으로 여기에 많은 수의 단백질이 박혀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림 1a). 세포막 단백질은 세포 내부와 외부 간의 에너지 대사, 외부 신호 감지, 물질 수송 및 통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인간 세포에 존재하는 27,000여 개의 단백질 가운데 대략 30 2020-06-02291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 2020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22년 2021년 2020년 [169호] 겨울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가상 인간 / 알리미가 만난 사람 _인터렉티브 디벨로퍼, 김종민님 / 포스텍 프리뷰_강석형 교수님 2021-01-180 2020년 [168호] 가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우주 탐사 / 알리미가 만난 사람 _김무환 총장님과의 만남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의료기기혁신센터 2020-10-200 2020년 [167호] 여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빅데이터 기술, 미래의 선거 / 포스트 잇_에드믹바이오 대표이사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지능로봇연구센터 2020-07-270 2020년 [166호] 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코로나19 / 알리미가 만난 사람_닥터프렌즈와의 만남 / 학과탐방_생명과학과, 물리학과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세포막단백질연구소 2020-05-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