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테키안 타일형 리스트형 최신호 보기 지난호 보기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2019 여름호 / POST IT POST IT / 포스텍 출신 유학파 예술인&기업인 이지연 선배님 포스텍 물리학과 출신의 유학파 예술인이자 기업인! 이번 POST IT에서는 현재 포스텍 총동창회 회장직에 재임 중이시며, 건강식품 원료를 유통, 제조하는 ‘온플랜비’의 대표를 맡고 계신 이지연 선배님을 찾아뵈었습니다. 이공학도로서는 조금 독특한 진로를 선택하셨는데요, 그 동기가 무엇이었는지, 경험을 통 2019-07-18428 2019 여름호 / 알리미가 만난 사람 알리미가 만난 사람 / “알면 사랑한다” 최재천 교수님과의 만남 과자를 옮기는 개미를 관찰하고 사슴벌레를 키우고 싶다고 부모님께 조른 경험이 있는가? 어린 시절, 필자에게도 자연은 정말 좋은 친구였고 가장 큰 놀이터였다. 어린 시절의 동물과 자연에 대한 남다른 호기심과 애정이 꿈으로 이어져 평생을 연구하시는 과학자가 있다. 포스테키안 독자 여러분들에게는 <생명이 있는 2019-07-18337 2019 여름호 / 알리미가 간다 알리미가 간다 / 알리미가 청주에 떴다 전국을 순회하며 고등학생들의 여러 고민을 해결해 주러 다니는 알리미! 그런 알리미가 이번에는 천안을 방문했습니다. 입시를 치르느라 바쁠 친구들이지만, 시간을 쪼개어 알리미와 고민도 해결하고 포스텍에 대한 궁금증을 풀었답니다. 친구들과 어떤 이야기를 하였는지 한 번 살펴볼까요? – Q1. 포스텍 진학을 결심하게 된 결정적인 계 2019-07-18451 2019 여름호 / 선배가 후배에게 선배가 후배에게 / 인생의 갈림길에서,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기를 남들에게 본인의 미래를 묻기보다, 본인의 미래를 어떻게 설계해 나갈지 생각하는 시간을 길게 가지시는 여러분이 되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포항공대 화학공학과 4학년이며, 대학원생이 되어 학업을 계속하기로 한 이재욱입니다. 저의 과거 이야기를 해 보면, 우선 중학교 시절엔 게임에 미쳐 있었습니다. 장 2019-07-18397 2019 여름호 / 기획특집 / 블랙홀 기획특집 / 블랙홀 시험 기간, 공부에 몰두하다 문득 밤하늘을 올려다 본 적이 있나요? 포항은 별이 잘 보이기 때문에 무수히 쏟아지는 신비를 마음껏 만끽할 수 있답니다. 우주는 드넓어, 우주 저 너머에 존재할 눈에 담지 못할 천체를 생각하면 때로는 가슴이 두근거리기도 합니다. 4월 10일, 이런 신비를 연구하는 분야에 새로운 장이 열렸습니다. 바로 인류 역사상 최초로 블랙 2019-07-183,509 2019 여름호 / 학과 탐방 Ⅰ / 산업경영공학과 학과 탐방 Ⅰ / 산업경영공학과 산업경영공학은 인간 중심 학문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의 사소한 문제부터 기업과 나아가 사회의 중요한 의사결정을 제언하는, 실제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학문입니다. 산업경영공학은 단일 분야의 기술을 넘어선 융합 과학의 시대에 맞추어 서비스, 정보, 지식 산업 및 경영공학 분야를 포괄하는 방향성 속에 어느 때보다 빠른 속도로 발전해 오고 있습니다 2019-07-18525 2019 여름호 / 학과 탐방 Ⅱ / 전자전기공학과 학과 탐방 Ⅱ / 전자전기공학과 여러분이 입학하여 공부를 해보기 전까지 전자전기공학과는 전자기학 또는 회로, 기계공학과는 로봇, 컴퓨터 공학과는 코딩 등의 이미지가 강할 것 같습니다. (저도 입학하여 전공과목을 듣기 전까지는 그랬답니다) 하지만 과연 로봇은 기계공학과에서만 만들까요? 실제로 로봇을 살펴보면 기계공학과에서는 로봇의 관절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을지 연 2019-07-18554 2019 여름호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 / 금융 및 위험관리 연구센터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여러분들은 우리 사회의 위험에 어떤 것이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여러 번 발생했던 금융위기와 고령화, 자연재해 등 다양한 종류의 위험이 우리 주변에 항상 도사리고 있죠? 포스텍에는 이러한 위험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 또 특히 IMF 사태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비우량 주택담보대출로 2007년에 2019-07-18296 2019 여름호 / Hello Nobel Hello Nobel /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 항암면역치료 새삼 얘기하지 않아도 인류 건강에 가장 위협적인 질병은 암(癌, Cancer)입니다. 최근 통계에 의하면 인간 수명의 증가로 미래에는 2명 중 한 명은 암으로 고통받을 수밖에 없다고 합니다. 예나 지금이나 질병의 생물학적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는 길은 멀고도 험합니다. 하지만 인간의 생명을 구하는 일은 그 원리를 2019-07-18324 2019 여름호 / 최신 기술 소개 최신 기술 소개 뇌파를 읽어주는 언어 해독기 뇌세포와 얼굴, 성대의 미세한 움직임을 분석해 말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말을 대신 표현해줄 수 있는 언어 해독기가 최초로 개발되었습니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언어 해독 방안을 연구해 왔고, 뇌파로 컴퓨터와 같은 기계를 조정할 수 있는 뇌-기계 인터페이스를 개발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는 해독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 2019-07-18345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 2022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22년 [175호] 여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다중우주(멀티버스) /알리미 온에어_포스테키안 새내기 라이프 /사이언스 블랙박스 _과학사의 4대 악마 2022-07-150 2022년 [174호] 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양자 컴퓨터 /알리미 온에어_포스테키안 제작기 /헬로 노벨_따스함, 차가움 그리고 접촉 2022-04-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