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테키안 타일형 리스트형 최신호 보기 지난호 보기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2019 여름호 / MOVIE INSIDE MOVIE INSIDE / 그루트도 식물이니까요 “I am groot.”라는 말만을 반복하는 나무 형태의 외계 생명체 그루트, 다들 알고 계시나요? 그루트는 어린아이 같은 모습을 보여 주다가도 동료를 구하기 위해선 매우 강해지고, 동료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멋진 모습을 보여주며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그루트는 동료들을 지키다 자신의 몸의 한 조각만 남겨두 2019-07-18334 2019 봄호 / 포스텍 에세이 4차 산업혁명의 벽두에서 막스 베버를 다시 읽는다 독일의 사상가 막스 베버(Max Weber, 1864.4.21.~1920.6.14)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근대 자본주의와 산업사회의 핵심 메커니즘인 관료제를 심도 있게 조명했다. 그는 자본주의의 합리성 요구에 따라 출현한 관료제가 현대 산업사회에서 최대 효율성을 가능케 할 것이나 이에 따른 심각한 부작용 2019-04-18428 2019 봄호 / POST IT 포스텍 학부 출신 교수님 1호, 장영태 교수님을 만나 뵙다 이번 POST IT 코너에서는 포항공대 1회 졸업생 장영태 선배님과의 인터뷰를 담아보았습니다! 장영태 선배님께서는 현재 포스텍 화학과 교수님이시며, 우리 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를 모두 마친 ‘토종’ 포항공대 출신 1호 대학교수라는 수식어를 가지고 있으십니다. 뉴욕대학교,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교수를 거쳐, 201 2019-04-18483 2019 봄호 / 알리미가 만난 사람 만화가 윤태호 작가님 “우리는 아직 다 미생(未生)이다.” 심금을 울리는 명대사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미생’을 알고 있는가? 수많은 직장인의 공감을 이끈 드라마 ‘미생’은 윤태호 작가님의 웹툰 ‘미생’이 그 원작이다. 다음 웹툰에 연재된 ‘미생’은 누적 조회 수 11억 회 이상, 단행본 판매량 200만 부 이상이라는 초월적인 기록을 가지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2019-04-18318 2019 봄호 / 기획특집 / 스마트폰 카메라 기획특집 / 스마트폰 카메라 카메라 기능이 없는 휴대전화를 상상해 본 적이 있나요? 휴대전화에서 터치 한 번으로 카메라를 실행하고, 초고화질의 사진을 담아내는 요즘! 좋은 휴대전화를 고르는 것이, 얼마나 좋은 카메라를 내장하고 있느냐에 따라 결정되기도 한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이토록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다가와 있는 휴대전화 카메라의 역사가 고작 20년밖에 되지 않았다는 사 2019-04-182,222 2019 봄호 / 학과 탐방 Ⅰ / 기계공학과 기계공학과 안녕하세요, 기계공학과 학생회장 나경미입니다. 기계공학과는 주변에서 보이는 수많은 자동차, 공장, 가전기기 등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사람들이 친숙하게 생각하는 대표적인 공학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대학에서 배우기 전까지는 모르는 부분이 많을 수 있어 기계공학과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기계공학과에서는 더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구조물 및 기계를 설계하기 2019-04-18749 2019 봄호 / 학과 탐방 Ⅱ / 화학공학과 화학공학과 화학공학이란 화학 반응을 공업에 접목해 산업으로 연결하는 학문으로, 정유, 고분자, 반도체 등 우리 삶에 필수적인 물품을 대량생산하는데 주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화학 반응은 어느 과학 현상에서든지 발생하기 때문에 화학공학은 전자공학, 나노공학, 생명공학 등의 넓고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합니다. 이 때문에 오늘날에는 수많은 분야에서 화학공학자를 원하고 있습니다. 지금 2019-04-18576 2019 봄호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 포항가속기연구소 포스테키안 구독자 여러분은 현미경을 이용해서 실험해 본 적이 있나요? 여러분이 지금까지 주로 사용한 현미경은 아마도 빛과 렌즈를 이용하여 물체의 확대된 상을 보여주는 광학 현미경일 것입니다. 이론적으로는 이 광학 현미경을 이용해 얼마든지 상을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지만, 사용하는 광원의 파장 한계로 분해능이 떨어지고, 확대할수록 비치는 빛의 양이 줄어 상이 2019-04-18489 2019 봄호 / Hello Nobel 광학 집게 빛으로 물건을 잡을 수 있다고? 여러분들은 미세한 무언가를 잡기 위해서 어떤 도구를 사용하나요? 아마 족집게를 사용할 텐데요. 그렇다면 원자와 같이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잡기 위해서는 어떤 것을 이용해야 할까요? 이번 2018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아서 애슈킨(Arthur Ashkin)은 바이러스와 생체 세포뿐만 아니라 입자나 원자와 같은 작은 것들을 2019-04-18403 2019 봄호 / 최신 기술 소개 최신 기술 소개 새로운 가능성 하치모지 현재 모든 생명체는 아데닌(Adenine), 티민(Thymine), 사이토신(Cytosine), 구아닌(Guanine), 총 4개의 염기를 통해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2019년 2월, 과학자들이 사상 최초로 ‘여덟 개의 문자로 구성된 유전 언어(eight-letter genetic language)’ 합성에 성공하면서 2019-04-1850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 2022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22년 [175호] 여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다중우주(멀티버스) /알리미 온에어_포스테키안 새내기 라이프 /사이언스 블랙박스 _과학사의 4대 악마 2022-07-150 2022년 [174호] 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양자 컴퓨터 /알리미 온에어_포스테키안 제작기 /헬로 노벨_따스함, 차가움 그리고 접촉 2022-04-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