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임명소식] POSTECH 교수 3인, ‘Y-KAST’ 회원 선정
[한국 과학계를 이끌어갈 차세대 과학기술 리더 20인 중 동문 포함 5명 배출] 화학과 최창혁 교수, 기계공학과 안지환 교수, 환경공학부 조강우 교수가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oung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이하 Y-KAST) 이학부 및 공학부 회원으로 선정됐다. Y-KAST는 만 43세 이하의 우수한 젊은 과학자 중 박사학위 이후 두각을 나타낸 인물을 매년 선정하여 과학기술 반전에 기여할 차세대 리더들을 발굴한다. 이들은 독창성과 잠재력이 뛰어난 연구성과로 각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학부 회원으로 선정된 최창혁 교수는 ‘단원자 전기촉매’ 연구 분야를 개척하며, 전극-전해질 계면 화학구조가 전기화학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있게 연구하고 있다. 특히, 학계에서 지금까지 균등화 촉매에만 해당한다고 여겨졌던 특성들이 불균등화 촉매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혁신적인 발상은 현재 전기화학 반응 촉매 설계의 중요한 이론적 기초로 자리 잡았다. 안지환 교수는 공학부 회원으로 선정됐으며, 기계공학의 열·에너지 공학과 나노 기계 공학의 융합 연구를 이끌고 있다. 그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와 수전해 전지(SOEC)의 성능과 내구성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며, 차세대 반도체 공정인 원자층 증착(ALD) 기술을 에너지 소자에 성공적으로 적용해 큰 성과를 거두었다. 그의 연구는 최근 다수의 국제 학술지에 게재되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또 다른 공학부 회원인 조강우 교수는 환경전기화학 촉매 및 공정 연구를 통해 하수와 폐수를 자원으로 변환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그의 대표적인 연구는 폐수 전해공정을 활용해 산소발생반응 대신 활소염소종과 활성산소종(오존 등)을 생성하거나 유기물을 직접 산화하여 폐수를 정화하는 기술로, 재생에너지와 결합해 수소 등 에너지를 생산하는 신개념 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이외에도 무기화학과 재료화학 분야 차세대 선두주자로 떠오르고 있는 화학 박진희 동문(現 DGIST 교수)과 나노섬유 기반 새로운 하이드로젤 재료 개발로 주목받고 있는 환경 오동엽 동문(現 인하대 교수) 등 POSTECH 동문 2인도 각각 Y-KAST 이학부 및 공학부 회원으로 선출됐다. 한편, 올해 Y-KAST에는 정책학부와 이학부, 공학부, 농수산학부, 의약학부 등 다섯 개의 부문에서 총 20명이 새롭게 선정됐으며, 이들의 평균 나이는 만 40.4세로 앞으로 한국 과학기술계의 미래를 이끌 중요한 역할을 맡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상/임명소식] POSTECH 강석형 교수, ‘해동반도체공학상’ 학술상 수상
[인공지능(AI) 기반 설계 자동화 연구로 반도체 설계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전자전기공학과 강석형 교수가 11일 개최된 ‘반도체 기술 로드맵 포럼 및 정기총회’에서 해동반도체공학상 학술상을 받았다. ‘해동반도체공학상’은 고(故) 김정식 대덕전자 회장 유지에 따라 반도체 인재 육성을 통한 학문과 기술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제정된 국내 최고 권위의 반도체 상이다. 강 교수는 반도체 설계 자동화(Electronic Design Automation) 분야에서 학문적 · 산업적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그의 연구는 DAC(Design Automation Conference), ICCAD(International Conference on CAD) 등에서 100편 이상 발표됐으며, 2,200회 이상 인용되는 등 학문적 영향력을 인정받아 왔다. 특히, 강석형 교수는 10년간 가장 영향력 높은 논문의 저자에게 수여하는 상인 '10-Year Best Retrospective Most Influential Paper Award'(ACM/IEEE ASP-DAC), ‘최우수논문상(ACM/IEEE ISLPED 2020)’, 설계 자동화 대회 우수상인 ‘CAD Contest Award’ 등을 수상하며 연구의 우수성을 세계적으로 입증했다. 또한, 삼성과 SK하이닉스, LG디플레이, 인텔(Intel), 구글(Google), 퀄컴(Qualcomm)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강 교수의 연구가 산업 전반에 널리 적용되며, 한국이 반도체 설계 자동화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강 교수는 “이 상은 함께 연구한 학생과 동료들의 노력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우리나라 반도체 기술의 발전을 위해 항상 노력하는 연구자가 되겠다”라는 소감을 전했다.
[수상/임명소식] POSTECH 김희철 교수, 류승운·조대근 박사, 2024년 에쓰-오일 차세대과학자상 및 우수학위논문상 수상
POSTECH 연구진이 에쓰-오일과학문화재단에서 수여하는 제6회 차세대과학자상 및 제14회 우수학위논문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한국대학총장협회가 공동 주관하여 12월 5일 재단 본사에서 열렸다. 물리학과 김희철 교수는 양자장론과 양자중력 물리현상의 기하학적 연구에서 우수한 업적을 이루었으며, 특히 양자중력 연구 분야에서 결함 연산자를 활용한 혁신적인 연구 방법론을 개척한 공로로 차세대과학자상을 수상하였다. 고분자연구소 류승운 박사 (지도교수: 박태호 남고 석좌교수)는 “유기태양전지의 분자구조-모폴로지-성능 관계 연구”를 주제로 한 박사학위 논문에서 독창성, 혁신적 접근법, 높은 응용성을 인정받아 화학공학 분야 우수학위논문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또 다른 우수학위논문상 수상자인 조대근 박사 (지도교수 이현우)는 박사학위 논문 “오비탈 동역학의 생성, 관측 및 응용”을 통해 전자의 오비탈 자유도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고체 물리 현상에 대한 뛰어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물리학 분야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에쓰-오일 차세대과학자상 및 우수학위논문상은 에쓰-오일 과학문화재단의 후원으로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서 매년 기초과학 및 공학 분야의 젊은 과학자를 선발·포상하고 있다. 차세대과학자상은 노벨상 수상 분야인 물리학, 화학, 생리의학과 에쓰-오일 중점 분야인 화학공학/재료공학, IT, 에너지에서 각 1명씩 선정하여 상패 및 상금 각 4천만원을 시상한다. 우수학위논문상은 수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화학공학/재료공학, IT 총 6개 분야에서 2팀씩 선발하여 학생에게는 상패 및 상금 각 1천만원, 지도교수에게는 상금 각 4백만원을 수여한다.
[행사] POSTECH, ‘2024년 ATE 실습중심 가속기학교’ 성료
POSTECH과 UNIST(울산과학기술원), GIST(광주과학기술원), 부산대, 서울대, 조선대, 동국대 WISE캠퍼스 등 7개 대학으로 구성된 ‘미래기반 가속기 전문인력 양성 사업단’(이하 ATE(Accelerator Technology Experts) 사업단)‘이 지난 4일부터 사흘간 진행된 '2024년 ATE 실습중심 가속기학교‘를 성황리에 마쳤다. ATE 사업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가속기 인력양성 및 활용지원 사업'의 가속기 인력양성 부문에 선정되어, 체계적인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고 있다. 이 사업은 대형 입자가속기의 건설과 운영에 필요한 전문인력의 부족 사태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TE 실습중심 가속기 학교‘는 각 참여대학에서 추천된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실험과 실습 중심으로 진행됐다. 일반적인 여름학교 프로그램과 달리, 소수 인원을 대상으로 실제 빔라인 실험이 가능한 포항 방사광가속기 PLS-II의 5D 및 9C 빔라인 시설을 활용했다. 올해 가속기 학교의 강현철 교장(조선대 신소재공학과 교수)은 “기존의 이론 중심의 교육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실제 운전이 되는 가속기 시설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석·박사 과정 학생들의 가속기에 대한 이해도를 고취시키고 현장 경험을 축적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라고 가속기 학교의 운영 방향을 설명했다. 또, 앞으로도 가속기 시설을 활용해 내실있는 교육과 실습을 병행할 수 있는 실습중심 가속기 학교를 확대해 나가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정모세 사업단장(POSTECH 첨단원자력공학부 · 물리학과 교수)은 “국내 대형 가속기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학-연 협력이 중요한데, 과거 30여 년간 포항 방사광가속기를 건설 및 운영하며 쌓아온 노하우를 다음 세대 학생들에게 교육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가속기 학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그리고 포항가속기연구소 후원으로 진행되었다.
[행사] POSTECH 인공지능연구원 · 한국무역협회, ‘제3기 인공지능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 개최
[우리나라 이끄는 37명의 경영자들, AI 전문 경영인으로 거듭나] 인공지능연구원은 지난 10일 서울 코엑스에서 ‘인공지능 최고경영자과정 3기’ 수료식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인공지능 최고경영자과정’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하는 경영자 양성 과정(13주)이다. 이날 수료식에는 기우성 셀트리온 부회장, 김신규 파마리서치 대표이사, 오영달 포스코청암재단 전무, 양완모 삼성증권 상무 등 우리나라 경제를 이끄는 기업 대표와 임원 37명의 수료생이 참석했다. 이번 3기 과정은 POSTECH과 한국무역협회가 공동 주최했으며, 교육은 한국무역협회 대회의실(서울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진행됐다. 과정 동안 POSTECH 교수진과 AI 분야 최고 전문가들이 강사진으로 참여해 데이터 AI, 알고리즘, AI 제조·로봇, 비즈니스·금융, 의료·바이오 등 다양한 최신 기술과 트렌드를 소개했다. 이를 통해 교육생들은 경영자의 시각에서 AI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얻고, ‘인공지능 전문 경영인’으로서의 역량을 강화할 기회를 가졌다. 수료생들은 교육과정을 마친 후 "AI 기술의 미래 방향과 글로벌 트렌드를 경영자의 눈높이에 맞춰 구성한 점이 매우 유익했다"라며 교육의 효과를 높이 평가했다. 또, 서영주 인공지능연구원장은 “이번 교육을 통해 얻은 지식과 통찰을 바탕으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이끌어 갈 최고의 리더로 거듭나기를 바란다”라며, “4기 교육과정은 더욱 품질을 높여 2025년에 진행할 예정”이라는 말을 전했다. 한편, 1기(35명)와 2기(32명)에 이어, 이번 3기에서는 총 37명이 수료했다. 수료생들에게는 POSTECH 총장과 한국무역협회 회장 명의의 이수증서가 수여되며, POSTECH 동문 및 원우회 회원 자격이 부여된다.
[수상/임명소식] 생명과학과 이승우 교수, ‘2024년도 보건의료기술진흥원 유공자 포상’ 장관표창 수상
생명과학과 이승우 교수는 암 및 호흡기바이러스 면역 치료제 개발 우수연구를 수행해 보건의료기술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공로로 '2024년도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시상식에서 보건복지부 장관표창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승우 교수는 기초 및 응용 면역학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바이오텍이 개발한 신약 물질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수상/임명소식] POSTECH 한세광 교수, ‘2024 한국생체재료학회’ 대상 수상
[세계적 연구성과와 산업화 기여로 생체재료학 분야 학문적 · 실용적 성과 인정받아] 신소재공학과 · 융합대학원 한세광 교수가 최근 열린 ‘2024 한국생체재료학회 추계 학술대회’에서 생체재료학회 대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이번 수상은 생체재료 분야에서 한 교수의 학술 연구, 기술 발전, 산학협력, 산업화에 대한 기여가 높이 평가된 결과다. 2005년 POSTECH에 부임한 한 교수는 세계적 연구자로 자리매김하며 학문적 우수성과 산업적 성과를 모두 인정받아왔다. 그는 2020년 한국공학한림원 회원에 이어 최근 2025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으로 선정됐다. 또한, ‘네이처 리뷰즈 머티리얼즈(Nature Reviews Materials)’, ‘네이처 포토닉스(Nature Photonics)’,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 등 세계적 학술지에 18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130건의 특허를 출원 및 등록하며 연구를 실제 산업화로 연결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한세광 교수의 업적은 국제적으로도 주목을 받고 있다. 그는 최근 세계생체재료 학회연합(IUSBSE)에서 신임 펠로우로 선정됐으며, 생체재료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바이오머티리얼즈(Biomaterials)’, ‘바이오머티리얼즈 리서치(Biomaterials Research)’의 부편집장을 역임하고 있다. ‘ 그는 “생체재료학회 대상 수상은 큰 영광이며, 이를 계기로 생체재료 분야에서 한국의 위상을 더욱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한편, ‘2024 한국생체재료학회 추계 학술대회’는 생체재료 분야 연구자와 산업계 전문가들이 최신 연구 동향과 기술 성과를 공유하는 장으로, 한 교수의 수상은 국내 생체재료 연구의 국제적 성과를 조명하는 계기가 되었다.
[행사] 세계 최고 권위 데이터베이스·빅데이터 학술대회 ‘ACM SIGMOD’ 한국에서 최초로 열린다
[POSTECH 한욱신 교수 · 서울대 심규석 교수, ACM SIGMOD 2028 유치 쾌거] 인공지능대학원 · IT융합공학과 한욱신 교수가 서울대 심규석 교수 와 함께 ‘ACM SIGMOD 2028‘ 유치에 성공했다. 두 교수는 이번 대회의 공동 학회장(General Co-Chair)을 맡아 학술대회를 총괄할 예정이다. ACM SIGMOD(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Special Interest Group on Management of Data)는 1975년부터 개최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빅데이터 분야 세계 최고 학술대회로 매년 전 세계에서 약 1,000명의 연구자와 산업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행사다. ’ACM SIGMOD‘를 우리나라에서 유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행사는 2024년 기준 미국(40회)과 캐나다(3회), 유럽(3회)을 비롯한 소수 국가에서만 개최되었으며, 아시아에서는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다. 이번 유치는 우리나라가 빅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기술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욱신 교수는 “’ACM SIGMOD 2028‘ 유치는 데이터베이스 · 빅데이터 분야에서 한국의 기술력을 세계에 알리고, 국내 연구와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ACM(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은 1947년에 설립된 세계 최초의 컴퓨터 과학 분야 학술 및 교육 연합체로 현재 약 1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본부는 미국 뉴욕시에 있다.
[수상/임명소식] POSTECH, ‘2024 대한민국 창업우수대학’ 종합대상 수상
[혁신적 창업 생태계와 글로벌 도약을 위한 창업 지원으로 국내 최고 창업 역량 입증] POSTECH이 매일경제와 한국창업보육회가 공동 주관하는 ‘2024 대한민국 창업우수대학’ 평가에서 종합대상(일반대학 부문)을 받으며 다시 한 번 국내 최고 수준의 창업 지원 역량을 입증했다. 이번 평가는 일반대학 248개, 전문대학 166개를 대상으로 △창업 인프라(30점) △창업지원(25점) △창업 성과(45점) 등 세 가지 항목에서 대학의 종합적인 창업 역량을 평가했다. POSTECH은 모든 평가 항목에서 고르게 높은 점수를 기록하며 일반대학 부문에서 최고 점수를 달성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POSTECH은 ‘JTBD(Job to be Done)’ 방법론을 활용해 통계적·과학적 분석을 기반으로 창업 교육을 설계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에 필수적인 PoC(Proof of Concept)와 투자 유치 중심의 ‘US Launch’ 등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실질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또한, 기술지주회사 ‘포스텍홀딩스’를 통해 470억 원의 직접 투자와 4,300억 원의 후속 투자를 유치해 지속 가능한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 이정수 POSTECH 산학처장은 “POSTECH은 견고한 창업 생태계와 투자 역량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최고의 테크 스타트업 산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라며, “기술 패권 시대를 맞아 딥테크 스타트업 육성에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시상식은 11일 오후 2시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진행됐으며, POSTECH과 함께 전문대학 부문에서는 전북과학대가 종합대상을 수상했다.
[수상/임명소식] 물리학과 김범준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POSTECH 물리학과 김범준 교수가 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연구재단 (이하 연구재단)이 수여하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2월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과기정통부와 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우수과학자 포상 사업의 일환으로,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를 통해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연구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하여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천만원을 수여하는 상이다. 김범준 교수는 이리듐산화물(Sr2IrO4)로 이뤄진 양자 물질에서 세계 최초로 스핀 네마틱 상을 관측해 양자컴퓨팅과 초전도체 등 미래 혁신기술의 경쟁력을 제고하였는데, 이러한 공로를 높이 평가 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 연구성과는 지난 2023년 12월 국제학술지 Nature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 김범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이론적으로 반세기 전에 예측된 스핀 네마틱 상의 존재를 실험적으로 확인한 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이 물질상의 특성을 잘 이해하게 되면 고온초전도체 등에 새로운 응용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조선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