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연구실적 주요수상실적 주요연구실적 화학 류순민 교수팀, “붕어빵처럼 닮았네?” 거푸집으로 만든 2차원 유기 분자 결정 [류순민 연구팀 , 질화붕소를 사용해 2차원 유기 분자 결정의 층상구조 형성]최근 거푸집을 사용하여 약 400여 점의 명품 귀금속을 불법으로 위조한 일당이 검거되었다. 금속을 녹인 후 명품 귀금속 모양대로 제작한 거푸집에 부어 수백 점의 가짜 명품을 탄생시킨 것이다. 이처럼 거푸집 하나면 분자 세계에서도 원하는 모양의 분자 결정을 마음껏 만들어 낼 수 있다 2023-06-02 READ MORE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위기를 기회로!“ 전화위복의 물리학 [POSTECH·미국 NEU 공동연구팀, 광(光) 손실 메타 격자를 활용한 빛 전송 성공]‘빛’은 아주 민감하고 취약하다. 물질의 특성에 따라 빛이 표면에서 흡수되거나 튕겨져 나올 수 있고, 열에너지 등 다른 에너지로 전환될 수도 있다. 또, 빛이 금속 표면에 도달하면 금속 내부의 전자에게 에너지를 빼앗기는데, 이러한 모든 현상을 ‘광(光) 손실’이라고 한 2023-05-22267 화공·융합대학원 차형준 교수팀, “해조류+가시광선=인공배양육 잉크?” [차형준 교수팀, 해조류 활용 고해상도 바이오잉크 개발]몇 년 전, 프랑스의 한 일간지에서 ‘지구를 위해 해조류를 요리하는 한국’이라는 기사를 보도한 적이 있었다. 물컹거리는 식감 탓에 서양인들이 거의 먹지 않는 해조류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육류 생산과 비교했을 때 탄소 배출량이 현저히 낮아 단순히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는 2023-05-17145 화공 박태호 교수팀, “주상전하 납시오!” 전하의 움직임에 주목하라 [박태호 교수 연구팀, 고전도율 고안정성 기반 정공 수송체 개발]태양전지는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발전방식이다. 특히,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1 태양전지는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유연한 소재에 적용할 수 있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의 효율은 전하를 이동시키는 정공수송체*2에 의해 좌우된다. 그 2023-05-11262 화공 조길원 교수팀, 자유자재로 늘릴 수 있는 반도체…일등공신은 빛을 이용한 분자 브레이크 [POSTECH∙성균관대 공동연구팀, 고신축성∙고성능 고분자 유기반도체 기술 개발]얼마 전 미국의 한 초등학생이 주행 도중 의식을 잃은 통학버스 운전기사를 대신해 버스를 멈춰 많은 학생들의 목숨을 구했다. 위기를 직감한 학생이 운전석으로 달려가 침착하게 브레이크를 밟은 덕분에 차는 도로 위를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었다. 자동차에 제동을 걸어 2023-05-09224 화공 김동표 교수팀, 불소계 신약 합성… 번개처럼 빠른 스피드로 [POSTECH·고려대 공동연구팀, 초고속 혼합 반응(기체·액체) 통해 불소 화합물 합성]‘1초’는 얼마나 짧은 시간일까? 1초는 하루 24시간의 86,400분의 1에 해당하며, 시속 300킬로미터(km)로 달리는 KTX 기차가 약 83미터(m)를 갈 수 있는 시간이다. 또, 사람이 눈을 한 번 감았다 뜨는데 평균 0.3초가 걸리기 때문에 세 번 정도 눈을 2023-05-03180 신소재/철강·에너지 김용태 교수팀, “산소 싫어, 수소 좋아” 촉매의 선택이 결정하는 연료전지의 수명 [김용태 교수팀, 수소차 연료전지 내구성을 높여주는 선택적 전기 촉매 개발]기차 운전석에는 깜빡이가 없다. 또, 좌회전이나 우회전처럼 핸들을 꺾어 방향 전환을 할 수 없다. 대신, 스위치를 눌러 레일에 설치된 선로전환기를 작동시키면 특정한 방향으로 열차를 보낼 수 있다. 방향 전환 스위치로 기차가 운행할 경로를 선택하는 것처럼 원하는 화학반응을 선택적으로 2023-05-02229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세계 최초 가시광선 대역 메타렌즈 대량 생산… ‘시너지’로 한계를 극복하다 [노준석 교수팀, 반도체 공정 이용하여 지름 1cm 메타렌즈 대량 생산 성공]휴대폰의 ‘카툭튀’를 없애거나 만화 드래곤볼에 나오는 ‘스카우터’와 같은 가상현실 기기를 만들 수 있는 광학소자가 있을까? 2019년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에서 선정한 10대 미래 기술 중 하나인 ‘메타렌즈’가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메타렌즈는 나노구조체의 배열로 이루어진, 매 2023-04-26344 화공·융합대학원 차형준 교수팀, 로미오와 줄리엣을 해피엔딩으로 바꾼 홍합 [POSTECH·동국대병원·네이처글루텍 공동연구팀, 홍합접착단백질과 히알루론산으로 관절염 치료 줄기세포 접착제 개발]첫눈에 서로에게 반해버린 로미오와 줄리엣. 절대 이루어질 수 없는 사이라는 것을 알지만 두 사람은 강력한 끌림에 의해 서로에게 다가간다. 하지만 결국 로미오와 줄리엣은 하나가 될 수 없었고,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게 된다. 서로를 강하게 원하 2023-04-25183 철강·에너지 조창신 교수팀, 친환경 에너지 시대… 해답은 바다에 있다? [조창신 교수 연구팀, 킬레이트제 사용 해수전지 우수성 확인]우리가 사는 지구 표면의 약 70퍼센트는 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그 중 97퍼센트가 바로 바닷물(해수)이다. 사실상 무한한 자원인 바닷물은 염분을 포함하고 있어 식수로는 적합하지 않지만 차세대 에너지원으로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최근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조창신 교수, 화학공학과 박사과정 2023-04-20111 환경 감종훈 교수팀, 수질오염 민원, 코로나가 줄였다 [감종훈 교수 연구팀, AI 활용 불만 신고서 감정변화 분석 성공]흔히 사람의 감정은 글에 묻어난다고 한다. 글을 읽으면 그 사람의 ‘감정’을 추측해볼 수 있다. 기분이 좋을 때 쓴 글에서는 장미꽃 향기가 나는 것 같지만 속상하거나 화가 난 상황에서 작성한 글을 보면 가시가 돋아나 있는 듯하다. 딥러닝을 통해 방대한 양의 정보를 학습한 인공지능이라면 사람이 2023-04-17145 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