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연구실적 주요수상실적 주요연구실적 화학 장영태 교수팀, 암, 이제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다 [POSTECH·싱가포르 A*STAR 공동 연구팀, TiY의 종양줄기세포 염색 효과에 이어 치료 효과 입증]‘암’은 더 이상 불치병이 아니다. 그러나 작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1년 우리나라 사망자의 사망원인 1위는 바로 ‘암’이다. 여전히 우리는 ‘암’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암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빠른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매우 2023-03-27 READ MORE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전자·반도체 정윤영 교수팀, 범퍼카처럼 ‘쾅’ 부딪혀 메모리 성능 높인다 [정윤영 교수팀, 의도적으로 결함 만들어 데이터 저장량 증가시키는 기술 개발][“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에 멀티 데이터 구현… 고성능 인공지능 반도체로 활용 가능”]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범퍼카. 이곳저곳을 시원하게 질주하는 것도 즐겁지만 주변 사람과 일부러 ‘쾅’ 부딪히면서 스트레스를 풀 수도 있다. 이러한 범퍼카처럼 입자를 의도적으로 충돌시켜 플래시 2022-06-21674 화공 차형준 교수팀, ‘홍합’으로 흉터 없이 피부 되살린다 [차형준 교수팀, 홍합접착단백질 기반 무(無)봉합 피부 이식용 의료접착제 개발][두 가지 약물로 피부 재생효과 ‘극대화’]피부 이식술을 할 때 환자들의 가장 큰 걱정거리는 수술 후 남는 흉터와 이식된 피부의 재생이다. 피부 이식술을 주도하는 의료인의 숙련도에 따라 봉합 후 흉터의 깊이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봉합 부위의 상처가 회복되는 데만 한 달이 넘게 2022-06-16754 신소재 손준우·이동화 교수팀, 파이프라인도 ‘카멜레온’처럼 색깔 바꾼다 [손준우·이동화 교수팀, 온도에 따라 색깔 바뀌는 고체 산화물 개발][“300℃의 고온에서도 변형 無…산업 적용 가능성 ↑”]뜨거운 커피가 담긴 머그컵에 무심코 손을 댔다가 황급히 뗀 경험이 한 번쯤 있기 마련이다. 온도에 따라 ‘카멜레온’처럼 색깔이 바뀌는 컵을 사용하면, 직접 손을 대지 않고도 컵이 충분히 식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컵뿐만 아니라 산업 2022-06-14757 기계 이승철 교수, 물리 이론 학습하는 인공지능 탄생, 응용문제도 ‘척척’ [KRISS‧포스텍 공동연구팀, 물리 이론 학습하는 AI 음향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음향‧소음‧진동 실시간 감지 및 최적화 가능해 스마트 팩토리, 디지털 트윈에 활용 전망]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박현민)과 포항공과대학교 공동연구팀이 음향 물리 이론을 학습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AI 기반 2022-06-13664 기계 김동성 교수팀, ‘이슬을 톡’…물방울로 전기 만든다 [POSTECH·경희대·안동대 공동연구팀, 연잎 모사한 물방울 기반 발전기 개발][물방울 기반 발전기 중 최고 효율(13.7%) 달성…6µL 빗방울로도 작동]여름이 되면 더욱 생각나는 강과 바다. 우리에게 시원한 풍경을 선사할 뿐만 아니라, 전기 에너지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는 ‘착한’ 에너지원이다. 그동안 전기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선 이처럼 대량의 물이 2022-06-13536 IT융합‧전자‧기계 김철홍 교수팀, 빛 이용해 ‘두근두근’ 뛰는 손가락 혈관 본다 [POSTECH·삼성종합기술원 공동연구팀, 광혈류측정기·광음향현미경 결합 시스템 개발][“맥파 신호 변화에 따른 혈관 이미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손목에 차기만 해도 우리의 건강 상태를 수시로 알려주는 스마트워치. 이 스마트워치는 빛을 이용해 측정한 맥파 신호를 바탕으로 심박수를 알려준다. 이때 심박수의 변화는 수치로만 확인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 2022-06-09390 기계 조동우·IT융합 장진아 교수팀, “통증은 이제 그만”…인공 조직으로 어깨 되살린다 [POSTECH·美 하버드의대 공동연구팀, 파열된 회전근개 회복 위한 복합 조직 플랫폼 개발]하루 종일 책상 앞에서 일하는 대부분의 직장인은 몸 이곳저곳이 쑤시기 마련이다. 특히 과거에 주로 나이가 많은 사람들이 겪던 어깨 통증은 최근 젊은 사람들에게서도 적잖게 나타나고 있다. 어깨에 통증이 생기면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기 어려워 옷을 갈아입기조차 힘들어진다 2022-06-02582 화학 김기문 교수팀, 빛과 소리만으로 용액 위에서 ‘미로’ 찾을 수 있다 [POSTECH·IBS 연구팀, 빛·소리에 의해 화학반응 조절하는 기술 개발][“색깔로 패턴 시각화…복잡한 길 따라 물체 움직일 수도 있어”]물 위에 검은콩 하나가 떠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콩은 일정한 규칙 없이 그저 물 위를 둥둥 떠다닐 것이다. 그런데 이 콩과 같이 액체 위에 떠 있는 작은 물체를 빛과 소리만으로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는 기술이 나 2022-05-311,238 산경 정우성 교수팀, 출판사도 한통속?…부실 학술지 인용 ‘뻥튀기’ 잡았다 [POSTECH·숭실대·KISTI 공동연구팀, 논문 4천만 건 분석해 출판사의 인용 카르텔 최초로 밝혀]혼자 하는 것보다 함께 하는 것이 쉽다. 좋은 일뿐 아니라 나쁜 일도 그렇다. 최근 돈만 내면 수준에 부합하지 않는 논문도 출판해주는 부실 학술지 논란이 일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피인용지수가 높은 논문은 모두 우수 논문으로 인식되는 오해를 악용해, 부실 2022-05-301,556 화공 차형준 교수팀, 절단된 신경, 빛과 홍합이 바로 이어 붙여 재생한다 [POSTECH·이화여대·가톨릭의대 공동연구팀, 홍합접착단백질 기반의 신경재생용 광(光)가교 하이드로젤 의료접착제 개발][무봉합 신경문합술로 신경재생 효과 ‘쑥쑥’]절단된 신경을 수술용 봉합실 없이 바로 이어붙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홍합접착단백질을 이용한 이 기술은 의료진의 시간적 부담을 덜 뿐만 아니라, 봉합실에 의한 환자의 2차 손상을 막을 수 있 2022-05-26635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