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연구실적 주요수상실적 주요연구실적 POSTECH-건국대, ‘각막궤양’ 각막 이식 없이 빛으로 꽉 채워 치료한다 [POSTECH 조동우, 장진아‧건국대 김준영 교수팀, 각막재건 위한 세포외기질 기반 점착성 실란트 개발]콘택트렌즈는 우리나라 인구의 약 10%(5~600만명, 대한안과학회 통계)가 사용하는 대중적인 시력 교정기구다. 콘택트렌즈 사용자가 흔히 저지르는 실수가 바로 렌즈를 낀 상태에서 잠을 자는 행위인데, 이는 눈 각막 상피의 저항력을 약화시켜 감염을 일으키 2023-01-19 READ MORE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화학 이인수 교수팀, 뚜껑 열었다 닫았다 하며 세포 기능 조절하는 나노 구조체 합성 - 화학-효소 구획된 실리카 나노 반응기 설계- 살아있는 세포 내부 인공 촉매 세포 기관으로...세포 기능 조절 가능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속도를 내면서 일상으로의 복귀도 기대가 높아지고 있지만 희귀 혈전증 같은 예기치 못한 부작용 때문에 두려움 또한 커지고 있다. 생명 활동은 체내의 물질이나 에너지가 이동하면서 유지되는데, 특정 효소나 보조 인자를 수용하 2021-06-29624 전자 이병훈 교수팀, ‘이미지 센서의 눈’ 그래핀으로 밝히다 [그래핀-실리콘 포토디텍터의 광검출능 향상법]디지털카메라나 휴대전화기에 내장된 포토센서는 이제 이미지를 인식하는 차원을 넘어 지문인증이나 얼굴인식 등 생체 인식도 가능해졌다. 물체의 이미지를 인식해 ‘이미지 센서의 눈’이라고 불리는 광검출기, 즉 포토디텍터는 그만큼 더 정교하고 안정된 인식능력이 요구된다. 간편한 방법으로 포토디텍터의 광검출 능을 높이는 방 2021-06-281,170 화공 조길원 교수팀, “와인의 눈물” 역이용해 반도체 인쇄 성능 높인다 [POSTECH∙성균관대 공동연구팀, 고성능 유기반도체 단결정 인쇄기술 개발]와인이 담긴 잔을 흔든 다음 그대로 두면 얇은 막이 형성되어 와인이 눈물같이 밑으로 흘러내리는데 이것을 “와인의 눈물”, 또는 “마랑고니 효과”라고 한다. 이는 물과 알코올처럼 서로 다른 표면장력을 가진 액체들이 만날 때 즉시 혼합이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 2021-06-25533 환경 이기택 교수팀, “해양 탄산칼슘 증가하면 탄소흡수력 복원된다” [POSTECH-美해양대기청...해양 탄산칼슘이 탄소흡수력에 미치는 영향 밝혀]대기와 맞닿은 해양 표층(euphotic zone)에서 서식하는 미생물(pteropods, foraminifera and coccolithophores)의 탄산칼슘 형성 과정은 해양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핵심 메커니즘 중 하나로 작용한다.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 화석연료 2021-06-21603 기계 이승철 교수-KRISS 공동연구팀, “살려주세요” 산속 조난 위치 소리로 찾는다 - 실시간 음원 위치 추적기술 개발- 소리 위치‧크기를 실시간으로 파악, 기존보다 10배 이상 정확도 향상국내 연구진이 소리가 나는 곳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시각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기술은 기존보다 10배 이상 정확하며, 연산시간은 10분의 1 수준이다.기계공학과 이승철 교수, 이수영 박사과정 연구팀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 2021-06-18545 화학 이은성 교수팀, 120년 유기 라디칼 역사를 새롭게 쓰다 [생체 내 안정한 첫 유기 라디칼 개발]라디칼은 화학변화가 일어날 때 분해되지 않고 다른 분자로 이동하는 원자의 무리로, 짝지어지지 않은 홀전자를 가진 원자나 분자를 말한다. 전자가 짝지어지지 않았기에 매우 불안정하여 반응성이 큰 특징이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유기 라디칼을 개발했다. 특히 이번에 개발된 라디칼은 생체에 2021-06-18555 화공 한정우 교수팀, 수소에너지로 지구 온도 상승 막아라 [수성가스 전환 위한 니켈-페로브스카이트 촉매 개발]산업혁명 이후 과도한 탄소 사용으로 인해 지구 온난화로 폭염, 폭설, 태풍, 산불 등 이상기후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5 ℃를 초과하면, 인간을 비롯한 생태계가 생존하기 힘들기 때문에 지구 온도 상승을 1.5 ℃ 이내로 억제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 2021-06-16799 생명 임신혁 교수-이뮤노바이옴㈜ 공동 연구팀, 난치성 과민 면역질환의 발병과 진행 멈춘다 [POSTECH 공동연구팀, 효모에서 찾은 특정 구조 다당체의 염증성 질환 발병 억제 및 치료 효과 동물모델에서 확인]난치성 과민 면역 질환인 염증성 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1과 자가면역질환인 다발성경화증*2의 치료제 개발에 청신호가 켜졌다. 생명과학과 연구팀, 이뮤노바이옴㈜ 공동 연구팀이 효모로부터 추출한 다당체 혼합물 2021-06-152,137 산경 정우성 교수 공동연구팀, 경제 발전할수록, 도심 녹지가 시민 행복에 직결 - IBS-POSTECH, 10m 공간해상도 위성 이미지로 세계 60개국 도시 환경 분석- 빅데이터로 분석한 행복의 원천 …“녹색 도시에 살수록 더 행복”경제가 발전한 도시일수록 도심 속 녹지 공간이 시민의 행복에 큰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차미영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수리및계산과학연구단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 CI(Chief In 2021-06-11418 생명 황인환 교수 공동연구팀, 면역증강제 필요 없는 조류독감 백신 나온다 [POSTECH 황인환 교수 外, 식물 생산 재조합 단백질 이용한조류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닭이나 오리, 철새와 같은 가금류에서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인 조류독감이 사람에게도 전염된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중국, 유럽 등 여기저기 옮겨 다니는 철새를 따라 전파되기 때문에 통제하기도 어렵다. 그래서 한번 전파되면 급속도로 번져 2021-06-101,654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