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연구실적 주요수상실적 주요연구실적 POSTECH-건국대, ‘각막궤양’ 각막 이식 없이 빛으로 꽉 채워 치료한다 [POSTECH 조동우, 장진아‧건국대 김준영 교수팀, 각막재건 위한 세포외기질 기반 점착성 실란트 개발]콘택트렌즈는 우리나라 인구의 약 10%(5~600만명, 대한안과학회 통계)가 사용하는 대중적인 시력 교정기구다. 콘택트렌즈 사용자가 흔히 저지르는 실수가 바로 렌즈를 낀 상태에서 잠을 자는 행위인데, 이는 눈 각막 상피의 저항력을 약화시켜 감염을 일으키 2023-01-19 READ MORE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화공 차형준 교수팀, 상처난 눈 ‘홍합과 양막’으로 재생시킨다 [POSTECH-동아의대 공동연구팀, 광가교 홍합접착제 활용 혁신적인 안구 표면 재건 기술 제시]눈은 가장 먼저 물체의 존재나 형상을 인식할 수 있는 감각기관이다. 눈을 구성하는 결막(conjunctiva)은 안구의 전반부를 감싸고 있는 얇은 점막인데, 점액과 눈물을 분비하여 눈의 윤활과 함께 미생물의 침입을 막아 안구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외부 2021-06-09592 기계 이승철 교수팀…AI, 전자현미경 사진도 더 깨끗하게, 선명하게 [POSTECH-한국재료연구원 공동연구팀, 사람 개입 없이 인공지능 스스로 재료 미세구조 이미지 품질 향상시키는 기술 개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최근 인공지능은 스마트폰 카메라에 적용되어 오토포커싱, 얼굴인식, 100배 줌 등의 기능을 제공하면서 일상생활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주는 한편, 신소재 연구개발 과정에도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POSTEC 2021-06-03750 POSTECH 연구팀, 전자정렬 상태와 공존하는 2차원 초전도체 발견 [양자상전이와 초전도성 연구에 대한 새로운 시야 제공]흑연과 다이아몬드, 그리고 그래핀처럼 같은 원소로 이뤄진 물질이라도 차원을 달리하면 새로운 성질이 나타난다. 새로운 2차원 물질에서 전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전자정렬 현상과 저항 없이 흘러 다니는 초전도 현상이 공존하는 전자 상태가 발견됐다.물리학과 김준성 교수(기초과학연구원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2021-05-27948 생명 김태경 교수팀, 자폐성 장애 원인 유전자 발현 억제 가능할까? [POSTECH–단국대 공동연구팀, 취약 X 증후군과 BET 계열 단백질 간의 기능적 상관관계 규명]자폐성 뇌발달장애나 지적장애 등은 다양한 유전자의 변이로 발현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폐증과 연관이 있는 취약 X 증후군(Fragile X syndrome)은 긴 얼굴, 큰 발 등 신체적 기형뿐 아니라 언어발달 지연, 사회성 결핍, 과잉행동 같은 발 2021-05-20918 화공 차형준 교수팀, 물속에서도 ‘착’붙는 홍합단백질의 비밀 풀었다 - 표면접착단백질 구성 요소들의 상호작용 메커니즘 제시- 접착분자들의 새로운 시너지 밝혀...홍합의 표면접착단백질 디자인 원리 규명거센 파도와 조류에도 끄덕 않고 바위에 착 붙어 생존하는 홍합. 이런 홍합의 수중접착을 모방해 피부나 뼈의 접착뿐만 아니라 지지체 표면개질용 재료, 심지어는 약물전달체, 세포전달체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홍합의 능 2021-05-17636 화학 박준원 교수팀, 신경 갉아먹는 뇌 속 응집 물체의 정체 밝히다 [4중 힘 매핑으로 밝힌 치매 ·파킨슨 원인 물질인 ‘헤테로’ 나노응집체 구조]뇌 신경세포 손상으로 기억력과 인지기능이 점점 떨어지는, ‘치매’로도 불리는 알츠하이머병, 손과 팔에 경련이 일어나 정상적인 거동이 어려워지는 파킨슨병은 대표적인 퇴행성 뇌 질환이다. POSTECH 연구팀이 알츠하이머와 파킨슨이 함께 일어나도록 하는 원인 물질의 구조를 규명했다. 2021-05-17685 신소재 오승수 교수-이동화 교수 공동연구팀, ‘DNA 복합구조’ 재현, 생로병사의 실마리 찾다 [다양한 DNA 공여체-수용체 상호작용 연구...차세대 DNA 복합 구조 설계·예측에 활용]DNA는 살아있는 모든 유기체나 많은 바이러스의 유전암호를 갖고 있다. 이 유전암호를 풀면,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DNA의 복합구조를 재현하는데 성공했다.신소재공학과 오승수 교수 2021-05-12627 기계 진현규 교수-신소재 최시영 교수 공동연구팀, ‘스핀 제벡’ 소자로 열에서 전기 만든다 [고효율 스핀 제백 열전소자 구현 방향 제시]지열이나 폐열, 체열, 태양열 등 다양한 형태의 열에너지를 회수해 탄소의 발생 없이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열전기술이 차세대 에너지 변환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열전기술의 핵심에는, 고체물질로만 구성되어 있어 소음, 진동, 오염물질의 배출이 없이 에너지 변환을 가능케 하는 열전소자가 있다. POSTECH 연 2021-05-11762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손가락만 한 라이다 장치 나온다 [나노 광학 기반 초소형 라이다 (LiDAR) 기술 세계적 학술지에 소개]POSTECH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광학 기반 라이다 기술이 나노과학 및 공학 분야의 최고 학술지인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에 초청 논문으로 소개됐다.이번 논문에서는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박사후연구원 김인기 박사, 화학공학과 2021-05-11855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메타물질 전용 초고속 오픈소스 시뮬레이션 ‘MAXIM’ 무료 배포 [메타물질 설계에 최적화된 초고속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온라인 무료 배포]POSTECH 연구팀이 빛을 자유자재로 조절해 모습을 숨기거나 정보를 암호화하고, 입체 동영상을 광속으로 전달할 수 있는 물질인 ‘메타물질’을 설계할 수 있는 최적화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 무료로 배포했다.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윤관호 박사(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04-28921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